$\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의 유입 및 전파확산경로 예측을 위한 가금 산업의 유통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lookout network system on domestic fowl industry for predicting HPAI(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outbreak and dispers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인복
참여연구자 문운경 , 강문성 , 정남수 , 서일환 , 이형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4
주관부처 농림수산식품부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등록번호 TRKO201800000694
DB 구축일자 2019-04-20

초록

IV. 연구개발결과

본 연구에서는 HPAI의 유입에서부터 확산까지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질병의 전파를 예측 및 예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발생한 HPAI 사 례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밀 역학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지역별 가금산업의 유통 현황 전반에 대한 조사사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중국, 몽골, 대만, 태국 등 우리나라와 인접한 HPAI 발생국에 대한 HPAI 발생 위험요소인 철새도래지, 가금사육농장, 재래시장, 공항만 등에 대한 현지 방문 역학 조사를 통하여 각 나라의 HPA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has been focused o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HPAI inflow and spread between farms by means of poultry distribution process including production, slaughter, manufacturing process, and selling. It was considered the movement of poultry related productions with fee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10
  • CONTENTS ... 12
  • 목차 ... 20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8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0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1
  • 1절 연구 진행 방법 및 각 세부과제별 연계 방안 ... 31
  • 2절 질병 확산에 대한 기후 및 지형적 요인 분석을 위한 공기유동학적 모델 개발 ... 35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5
  • 2. 연구사 ... 38
  • 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의 공기 중 확산 근거 및 확산 메커니즘 분석 ... 38
  • 나. 바이러스의 확산 분석을 위한 현장실험 사례 분석 ... 39
  • 다. 공기 오염물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 ... 40
  • 라. 질병 확산 모델 관련 연구 ... 42
  • 3. 재료 및 방법 ... 48
  • 가. 연구 대상 지역 ... 48
  • 나. 현장실험 장비 ... 51
  • 다.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툴 ... 53
  • (1) 격자 설계 ... 54
  • (2) 난류 모델 ... 55
  • (3)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 이론 ... 57
  • (4) 대기 안정도 ... 59
  • (5) 병렬 처리 모델링 ... 62
  • 라. 연구 방법 ... 64
  • (1) 기상 데이터 분석 ... 64
  • (2) 도로 인근 확산 분석 ... 64
  • (3) 농장에서 발생하는 공기오염물질 분석 ... 68
  • (4)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69
  • (가) 연구 대상지역에 대한 3차원 계산 영역 설계 ... 69
  • (나) 시뮬레이션 입력 조건 및 경계조건 설계 ... 70
  • 4. 연구 결과 및 고찰 ... 76
  • 가. 기상 데이터 분석 ... 76
  • (1) 20년 평균 기상 분석 ... 76
  • (2) 과거 HPAI 발생 시기 기상 분석 ... 79
  • 나. 도로 인근 확산 실험 ... 83
  • 다. 농장에서 발생하는 공기오염물질 분석 ... 87
  • 라.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개발 ... 93
  • (1) 연구 대상지역에 대한 3차원 계산 영역 설계 ... 93
  • (2) 방풍림 모델 적용 방안 ... 97
  • (3) 규모별 농장 모델링 방안 마련 ... 100
  • (4) 모델의 부분적 검증 ... 103
  • (5) 3차원 지형 설계 ... 109
  • 마.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로 예측한 공기 중 질병 확산 ... 115
  • (1) 입자별 확산 경향 ... 115
  • (2) 환경조건에 따른 확산 현상 분석 ... 145
  • (3) 가중치를 적용한 3차원 매트릭스 구현 ... 146
  • (4) CFD모델링 결과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151
  • (5) 2008년도 기상 자료를 적용하여 과거 HPAI 발생 사례를 바탕으로 CFD모델 검증 ... 152
  • 5. 결론 ... 170
  • 3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의 유입 및 전파확산경로에 대한 위험요인평가 및 방제연구 ... 172
  • 1. 가금 사육실태 및 유통시스템 조사 ... 172
  • 가. 가금별 사육실태 ... 172
  • (1) 오리 ... 172
  • (2) 닭 ... 173
  • (3) 종계 ... 173
  • (4) 산란계 ... 174
  • (5) 토종닭 ... 174
  • (6) 메추리 ... 175
  • (7) 관상용 가금류 ... 175
  • 나. 토종닭 산업 유통현황 조사 ... 176
  • (1) 유통 및 산업 현황 ... 176
  • (가) 토종닭 산업화의 배경 ... 176
  • (나) 토종닭 사육실태 ... 177
  • (다) 토종닭 소비실태 ... 177
  • (2) 토종닭 국내 최대 생산지 및 유통 문화 ... 178
  • (3) 노계(폐계)의 유통실태 ... 178
  • (4) HPAI 발생지역별 토종닭 유통실태 소비실태 ... 179
  • (가) 호남권(전남·전북) HPAI 발생지역 ... 179
  • 다. 상설 및 정기(5일장) 재래시장 ... 180
  • 라. 도축현황 ... 181
  • 마. 가금 관련 산업시설 위치 조사 ... 182
  • 바. 사육 가금류의 병성감정현황 및 예찰 ... 187
  • (1) 사육 가금류의 병성감정결과 ... 187
  • (2) 사육 가금류의 혈청검사결과 ... 187
  • (3) 철새 및 재래시장 등 가금류에 대한 예찰 ... 188
  • 사.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 ... 188
  • (1)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 조사 ... 188
  • (2) 국내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현황 ... 190
  • (3) 고병원성 AI 해외발생 동향('08년 이후~'10.2.5 현재) ... 190
  • 2. 조류 이동 상황 및 조류상 조사 ... 193
  • 가. 주요 철새도래지 조사 결과 ... 193
  • 나. 조류 상 조사방법 및 결과 ... 193
  • (1) 선조사법(Line Transect Method) ... 193
  • (2) 정점조사법(Point Census Method) ... 194
  • 다. 철새 등 야생조류에 대한 병성감정결과('08. 하반기·'10.02.05. 18:00 현재: 48건 306수) ... 196
  • (1) 2010년 철새 등 야생조류 병성감정현황 ... 196
  • (2) 2009년 철새 등 야생조류 병성감정결과 ... 197
  • (3) 2008년 하반기 철새 등 야생조류 병성감정결과 ... 198
  • 라. 지역별 조류 상 조사결과 ... 198
  • (1) 경기도 지역 ... 198
  • (2) 인천광역시 지역 ... 199
  • (3) 강원도 지역 ... 199
  • (4) 충청남도 지역 ... 200
  • (5) 대전광역시 지역 ... 200
  • (6) 충청북도 지역 ... 201
  • (7) 전라북도 지역 ... 201
  • (8) 전라남도 지역 ... 202
  • (9) 광주광역시 지역 ... 202
  • (10) 경상남도 지역 ... 202
  • 3. HPAI 발생지역 및 주요 철새도래지에 대한 가금 사육실태 및 분포현황 조사 ... 203
  • 가. 주요 철새도래지(철새 관측지)와 가금 사육농가 현황 ... 203
  • 나. 과거 HPAI 발생지역과 주요 철새도래지별 5km 이내 가금사육농가 현황 ... 204
  • 다. HPAI 발생지역의 철새도래지(관측지)로부터 5km 이내 가금류 사육농가 분포현황 ... 206
  • 라. 시범지역(익산·김제·정읍)의 일별(월별) 어리장 차량이동 상황조사 ... 211
  • 마. 가금 산업별 분포 및 관련 물류 유통실태 조사 ... 212
  • (1) 토종닭 생산 및 유통체계 ... 213
  • (가) 토종닭 사육 및 출하체계 ... 214
  • (나) 오리 생산 및 유통체계 ... 216
  • ① 사양형태 별 농장 경영 시스템 ... 220
  • ② 생산에서 출하까지의 기본 사육형태 ... 220
  • (다) 메추리 생산 및 유통체계 ... 222
  • 4. HPAI 감염정도에 따른 가금류의 AIV 배출량과 전파속도 예측 모델 개발 ... 223
  • 가. 발생농장의 감염시기 추정 분석 ... 223
  • (1)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전파속도(바이러스 확산기간) 비교 ... 223
  • (2) HPAI 의심축 신고일로부터 확진까지 기간 비교분석 ... 224
  • (3) HPAI 바이러스 배출기간 비교분석 결과 ... 225
  • (4) 연도별 HPAI 발생과 이동제한기간 비교분석 결과 ... 226
  • 나. 풍종별 방역조치 소요기간 비교분석 ... 227
  • (1) 2003/2004년도 품종별 방역조치 소요기간 비교분석 ... 227
  • (2) 2006/2007년도 품종별 방역조치 소요기간 비교분석 ... 228
  • (3) 2008년도 품종별 방역조치 소요기간 비교분석 ... 229
  • 다. 연도별 방역조치 소요기간 종합분석 결과 ... 230
  • 5. HPAI 발생지역의 소규모 가금류 중간상인의 유통실태조사 ... 231
  • 가. 호남지역 토종닭 유통시스템 조사 ... 232
  • (1) 광주, 전남지역 토종닭 유통 조사 ... 232
  • (2) 전남지역 토종닭 유통 조사 ... 232
  • (3) '08 HPAI 발생 전후 전북지역의 특이사항 ... 233
  • (4) 전북지역 토종닭 유통 조사 ... 234
  • (5) 호남지역 기타 유통업체 ... 235
  • 나. 영남지역 토종닭 유통시스템 조사 ... 235
  • 다. 중부권(수도권)지역 토종닭 유통시스템 조사 ... 236
  • 6. HPAI 발생농장 및 발생지역과 철새도래지에 대한 역학조사 및 위험평가 ... 237
  • 가. HPAI 발생 위험요소 조사:Retrospective study ... 237
  • (1) 2003/2004년도 HPAI 발생농장 전파요인 ... 237
  • (2) 2003/2007년도 HPAI 발생농장 전파요인 ... 238
  • (3) 2008년도 HPAI 발생농장 전파요인 ... 242
  • 나. HPAI 발생 위험요소 조사:농장 수준의 환례-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 ... 244
  • (1) 통계 분석 ... 246
  • (2) 요인 별 분석 결과 ... 246
  • (3) HPAI 발생 위험평가 ... 250
  • (4) 농장설문조사를 통한 HPAI 발생 위험평가 ... 253
  • (5) 축주/고용인 방역사항 ... 255
  • 7. HPAI 국내 유입 위험요인 조사 및 분석 ... 256
  • 가. 주변 국가별 HPAI 국내 유입 위험요인 조사 및 분석 ... 259
  • (1) HPAI 발생국 현황조사와 국가간 철새 이동경로 조사 ... 259
  • (가) 국내 도래하는 야생조류 조사 ... 259
  • (나) 봄철 한반도를 통과하는 철새와 HPAI ... 261
  • (다) 조류 그룹별 이동 경로 ... 261
  • (2) 중국에서 오리류의 이동경로 추적결과 ... 262
  • (3) 일본 발생관련 큰고니의 이동경로 추적 ... 264
  • (4) 러시아 발생관련 큰고니의 이동경로 추적 ... 265
  • 나. 야생조류 예찰 ... 265
  • 다. 철새의 위험도 평가 ... 268
  • 라. 2010/2011년도 야생조류 HPAI 검출관련 역학분석결과 ... 269
  • (1) 천수만 지역 수리부엉이에서 HPAI 검출 ... 270
  • (2) 만경강 지역 청둥오리에서 AI 검출 ... 271
  • (3) 남부 주남저수지 ... 272
  • 8. 주변국 HPAI 발생현황 및 위험요소 조사 ... 274
  • 가. 몽골지역 ... 274
  • 나. 중국지역 ... 275
  • 다. 대만지역 ... 279
  • (1) 가축방역조직 및 축산현황 ... 279
  • (2) 대만 공항의 동물검역 사항 ... 280
  • (3) 철새이동상황 및 조류종 조사사항 ... 280
  • (가) 대만의 조류 및 조류 서식지 ... 280
  • (4) 대만 주요 철새도래지 현장 방문조사 ... 283
  • (가) 타이찌앙 국립공원(Taijiang National Park) ... 283
  • (나) 타이난 생태보육교육장 철새도래지 ... 285
  • (다) 타이난 백로 번식처 ... 286
  • (5) 가금사육농가 위험요인 조사 ... 288
  • (가) 닭 사육농가(양계장) ... 288
  • (나) 오리 사육농가 ... 289
  • (다) 재래시장 ... 290
  • 라. 태국지역 ... 290
  • (1) 태국 공항의 동물검역 사항 ... 291
  • (2) 철새이동상황 및 조류종 조사사항 ... 291
  • (3) 태국 주요 철새도래지 현장 방문조사 ... 294
  • (가) 태국 연안 습지 철새도래지 ... 294
  • (나) 태국 국립 철새도래지(도요새) ... 296
  • (다) 태국 논농사지역 ... 297
  • (4) 가금사육농가 위험요인 조사 ... 298
  • (가) 닭 사육농가(양계장) ... 298
  • (나) 재래시장 ... 299
  • (다) 사원 및 도로정체구간의 가금류 판매 ... 300
  • 마. 주변국 4개국과 우리나라 HPAI 발병 위험요소 분석결과 ... 301
  • (1) 주변국의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분석결과 ... 301
  • (2) 주변국의 가금사육농가의 위험요소 분석결과 ... 304
  • (3) 주변국의 상설재래시장의 위험요소 분석결과 ... 306
  • (4) 주변국의 국제공항만의 위험요소 분석결과 ... 309
  • 4절 철새도래지와 가금사육농가 간 HPAI 발병위험요인 분석 ... 311
  • 1. 철새도래지별 가금사육농가간의 위험요인 조사 분석 ... 312
  • 가. 서울·인천·경기지역 ... 312
  • (1) 시화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13
  • (2) 임진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14
  • (3) 남한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16
  • 나. 강원지역 ... 318
  • (1) 북한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18
  • (2) 한탄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20
  • (3) 화진포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22
  • (4) 영랑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24
  • (5) 경포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26
  • 다. 충북지역 ... 328
  • (1) 충주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28
  • (2) 대청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30
  • (3) 백곡천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31
  • (4) 미호천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33
  • 라. 대전·충남지역 ... 334
  • (1) 아산만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34
  • (2) 곡교천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37
  • (3) 풍세천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39
  • (4) 천수만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41
  • (5) 간월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43
  • 마. 전북지역 ... 345
  • (1) 금강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45
  • (2) 만경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46
  • (3) 동진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49
  • (4) 동림저수지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50
  • (5) 섬진강 철새도래지(남원)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52
  • 바. 광주·전남지역 ... 353
  • (1) 섬진강 철새도래지(순천·하동)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53
  • (2) 영산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55
  • (3) 영산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57
  • (4) 금호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59
  • (5) 고천암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0
  • 사. 대구·경북지역 ... 361
  • (1) 안동호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1
  • (2) 형산강(경주 양계단지)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2
  • 아. 부산·울산·경남지역 ... 364
  • (1) 태화강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4
  • (2) 을숙도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5
  • (3) 주남저수지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7
  • (4) 낙동강 하류(김해, 양산)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68
  • (5) 대가저수지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70
  • (6) 거제도 연안의 아비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72
  • 자. 제주지역 ... 373
  • (1) 하도리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73
  • (2) 오조리 철새도래지의 위험요소 및 맞춤형 방역 ... 374
  • 2. 지역별 맞춤형 HPAI 현장 방역모델 ... 376
  • 가. 서울, 인천, 경기지역 ... 376
  • (1) 서울지역 ... 376
  • (2) 인천지역 ... 378
  • (3) 경기지역 ... 379
  • 나. 강원지역 ... 382
  • (1) 강원 서북부권 지역 ... 382
  • (2) 강원 동북부권 지역 ... 383
  • 다. 충북지역 ... 385
  • (1) 충북 중북부권 지역 ... 385
  • (2) 충북 남부권 지역 ... 386
  • 라. 대전, 충남지역 ... 387
  • (1) 대전지역 ... 387
  • (2) 충남지역 ... 388
  • 마. 전북지역 ... 389
  • (1) 전북 서부권 지역 ... 389
  • (2) 전북 동부권 지역 ... 390
  • 바. 광주, 전남지역 ... 391
  • (1) 광주 및 전남 서남부권 지역 ... 391
  • (2) 전남 동남부권 지역 ... 392
  • 사. 대구, 경북지역 ... 393
  • (1) 대구 및 경북 북부권 지역 ... 393
  • (2) 경북 동남부권 지역 ... 394
  • 아. 부산, 울산, 경남지역 ... 395
  • (1) 부산·울산·경남 동남부권 지역 ... 395
  • (2) 경남 중서부권 지역 ... 396
  • 자. 제주지역 ... 397
  • (1) 서귀포시지역 ... 397
  • (2) 제주시지역 ... 398
  • 5절 조류독감 확산 경로 예측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 400
  • 1. 서론 ... 400
  • 가. 질병 확산 네트워크 연구 ... 402
  • (1) 네트워크 관련 사례 연구 ... 402
  • (가) 사회적 네트워크 ... 402
  • (나) 정보계 네트워크 ... 403
  • (다) 과학적 네트워크 ... 405
  • (라) 생물학적 네트워크 ... 405
  • (2) 질병 확산 연구 ... 406
  • (가) SIR 모델 ... 406
  • (나) SIS 모델 ... 408
  • 나. 복잡계 확산 연구 ... 410
  • (1) 행위자 기반 모형 ... 410
  • (2) 행위자 기반 모형의 응용 ... 414
  • 다. 연구 방향 ... 416
  • 2. 본론 ... 418
  • 가. 선 확산 네트워크 모델 ... 418
  • 나. HPAI 질병 확산 위험요인 자료 분석 ... 418
  • (1) 연구 대상 지역 선정 ... 419
  • (2) 연구 대상 지역 역학상황 ... 420
  • (3) HPAI 질병 확산 네트워크내의 대상과 대상간의 연계 설정 ... 421
  • (4) HPAI 질병 확산 네트워크 구성 ... 422
  • (가) 선 확산 요소 ... 423
  • (나) 선 확산 모델 구성 ... 426
  • (5)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이용한 계수 결정 ... 429
  • (가) 다중 요인 확률 분석 ... 429
  • ① 분석에 포함시킬 변수의 선정 ... 432
  • ② 일반적인 모델의 상술 ... 432
  • ③ 요인분석에 포함시킬 변수들에 관한 관찰자료의 수집 ... 432
  • ④ 정량적 기준 설정 ... 433
  • ⑤ 요인 부하 설정 ... 439
  • (나) 연구 대상 지역 요인 분석 ... 440
  • (다) 선 확산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 446
  • ① 중심성 지수 ... 446
  • ② 비가중네트워크(Non-weighted Network) ... 447
  • ③ 가중네트워크(Weighted Network) ... 454
  • ④ 선 확산 네트워크 모델의 검증 ... 467
  • 다. 공간 확산 네트워크 모델 ... 475
  • (1)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476
  • (2) 공간 확산 모델 구성 ... 476
  • (3) 시스템 개발 ... 478
  • (가) 네트워크 시스템 사례 분석 ... 480
  • (나) 확산 네트워크 ... 487
  • (다) 공간 확산 네트워크 모델 ... 491
  • ① 크루스칼 알고리즘 ... 494
  • ② 재귀 함수(Recursion Function) ... 496
  • 라. 행위자 기반 모형을 이용한 확산 분석 ... 502
  • 3. 결론 ... 505
  • 6절 종합 결과 및 활용 방안 ... 507
  • 1. HPAI의 국내 유입 및 농가로의 전파 양상 분석 ... 507
  • 2. HPAI 확산 요인별 분석 ... 508
  • 가. 확산 요인에 대한 분류 ... 508
  • 나. 확산 요인별 분석방안 및 보완사항 ... 510
  • (1) 공기 중 전파 ... 511
  • (2) 인적 교류를 통한 전파 ... 511
  • (3) 차량의 이동에 의한 전파 ... 512
  • 3. 현장 맞춤형 방역 대책 마련 ... 512
  • 가. 기존의 방역 방안 분석 ... 512
  • 나. 가축질병 발생 시 대응 전략 ... 513
  • 다. 가축질병 발생의 예방적 방역 대책 수립 ... 513
  • 4. 연구 종합 결과 및 향후 필요한 연구 방향 제시 ... 514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516
  • 1. 연도별 연구목표 및 달성도 ... 516
  • 2.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 517
  • 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 518
  • 1. 실용화·산업화 계획(기술실시 등) ... 518
  • 2. 교육·지도·홍보 등 기술확산 계획 등 ... 518
  • 3. 특허, 품종, 논문 등 지식재산권 확보계획 등 ... 518
  • 가. 국내 논문 투고 현황 ... 518
  • 나. 국외 논문 투고 현황(SCI급) ... 519
  • 다. 학술 논문 발표 현황 ... 519
  • 라. 전문 잡지 투고 및 광고 현황 ... 520
  • 4. 추가연구, 타연구에 활용 계획 등 ... 520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521
  • 제7장 참고문헌 ... 521
  • 끝페이지 ... 528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