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박물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 연구 : 세종시 박물관단지 조성 기본계획 수립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축가협회 컨소시엄
연구책임자 강철희
참여연구자 김정화 , 양현미 , 안소현 , 황소은 , 김선혁 , 채건호 , 윤아연 , 박연성 , 김정희 , 최재문 , 김훈 , 노학민 , 김기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주관부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등록번호 TRKO201800000700
DB 구축일자 2019-04-20

초록

I. 과업개요

1. 과업 배경

1.1. 지속가능한 도시모델의 실현 - 창조도시의 비전 달성
• 세종시는 중앙행정기관 및 국책연구기관 이전을 통하여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꾀하고, 미래지향적인 도시를 모델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에 한국문화와 도시의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모범적인 도시 건설의 문화도시전략 방향과 구체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함

1.2. 문화산업, 관광산업의 기반육성 - 세계적 문화도시 조성
• 21세기의 박물관은 교육·정보·여가뿐 아니라 관광과 연계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연구진구성 ... 3
  • 목차 ... 4
  • I. 과업개요 ... 10
  • 1. 과업 배경 ... 11
  • 1.1. 지속가능한 도시모델의 실현 - 창조도시의 비전 달성 ... 11
  • 1.2. 문화산업, 관광산업의 기반육성 - 세계적 문화도시 조성 ... 11
  • 1.3. 기존 개발계획의 보완 - 시설계획의 통합적 관점 부여 ... 11
  • 2. 과업 목적 ... 12
  • 2.1. 단지 조성을 통한 세종시의 문화적 위상과 상징성의 확립 ... 12
  • 2.2. 현 단지 조성계획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현실성 부여 ... 12
  • 2.3. 성공적인 단지 조성과 운영을 위한 조성계획 수립 ... 12
  • 2.4. 개별박물관 조성계획과 박물관단지 통합 운영방안 수립 ... 12
  • 3. 과업 범위 ... 13
  • 3.1. 과업 범위 ... 13
  • 3.2. 과업 기간 ... 13
  • 4. 과업 내용 및 추진체계 ... 14
  • 5. 참여 연구진 ... 15
  • 5.1. 참여연구진 및 업무 영역 ... 15
  • 5.2. 자문위원 ... 15
  • II. 박물관단지 조성을 위한 외부환경 분석 ... 17
  • 1. 세종시 개발계획 ... 19
  • 1.1. 추진 경위 ... 19
  • 1.2. 계획 내용 ... 19
  • 1.3. 입지환경 분석 ... 21
  • 1.4. 계획의 기본방향 ... 26
  • 2. 문화 관련 시설계획 ... 33
  • 2.1. 문화시설 계획 검토 ... 33
  • 2.2. 기타 시설 계획 검토 ... 38
  • 2.3. 문화시설 계획에 대한 종합분석 ... 40
  • 3. 기본구상을 위한 사례분석 ... 43
  • 3.1. 행정기능 중심 도시 내 국립박물관 조성사례 ... 43
  • 3.2. 세계 주요도시의 박물관단지화 및 밀집사례 ... 107
  • 3.3. 국내 문화를 통한 도시발전계획 수립사례 ... 138
  • 3.4. 사례분석의 종합 ... 141
  • 4. 국립박물관 유치 필요성에 대한 논의 ... 145
  • 4.1. 21세기 국립박물관의 새로운 방향 고려 ... 145
  • 4.2. 국립박물관의 입지가 갖는 중요성과 상징성 고려 ... 147
  • 5. 단지와 문화도시 전략에 대한 논의 ... 150
  • 5.1. 도시와 박물관 패러다임의 변화 고려 ... 150
  • 5.2. 도시전략의 차원: 문화인프라 조성과 단계별 전략 ... 151
  • 5.3. 지역활성화의 차원: 박물관단지와 문화국제교류 지역 ... 152
  • 5.4. 지역 커뮤니티의 차원: 지역 커뮤니티의 삶의 질 향상 ... 153
  • III. 박물관단지 조성의 기본구상 ... 155
  • 1. 단지의 정의와 유형 ... 157
  • 1.1. 박물관단지 관련 용어의 검토 ... 157
  • 1.2. 박물관단지의 정의 ... 163
  • 1.3. 박물관단지의 유형 검토 ... 164
  • 1.4. 세종시 박물관단지의 공간유형 ... 166
  • 2. 조성의 기본방향 ... 167
  • 2.1. 국립박물관의 지향점 ... 167
  • 2.2. 기본방향 ... 168
  • 2.3. 기존 부지계획의 검토 ... 170
  • 2.4. 단지화를 위한 부지 선정 ... 172
  • 2.5. 비전과 미션 수립 ... 180
  • 2.6. 목표 정립 ... 181
  • 3. 조성 및 운영계획 ... 182
  • 3.1. 박물관단지의 기본구성 ... 182
  • 3.2. 개별 국립박물관의 단지 내 조성 ... 185
  • 3.3. 박물관단지 통합운영계획 ... 207
  • 3.4. 통합운영을 위한 시설계획 ... 213
  • 3.5. 통합운영에 따른 기존 시설계획의 조정 ... 239
  • 3.6. 기타 시설 및 공지 활용방안 ... 257
  • 4. 운영주체 및 운영비 추정 ... 259
  • 4.1. 운영주체 ... 259
  • 4.2. 운영인력 및 운영비 추정 ... 272
  • 5. 조성사업의 추진 ... 278
  • 5.1.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특별법의 필요성 ... 278
  • 5.2. 박물관단지 조성사업 관련 특별법 ... 279
  • 5.3. 개별 국립박물관 설립 관련 법규 검토 ... 283
  • 5.4. 박물관단지 조성사업의 추진기구 설립 ... 288
  • 5.5. 박물관단지 조성사업의 관리방안 ... 300
  • 6. 중장기계획 ... 301
  • 6.1. 박물관단지 활력단계: 2011-2015 ... 301
  • 6.2. 박물관단지 활성화단계: 2016-2020 ... 301
  • 6.3. 박물관단지 완성단계: 2021-2030 ... 301
  • IV. 박물관단지 대상지 검토 ... 303
  • 1. 박물관단지 대상지 검토 추진체계 ... 305
  • 2. 박물관단지 대상지 분석 방안 ... 306
  • 2.1. 대상지 분석 기본방향 ... 306
  • 2.2. 적용대상에 대한 검토 ... 306
  • 2.3. 적용검토항목 ... 307
  • V. 박물관단지 조성 계획 ... 329
  • 1. 조성을 위한 검토 사항 ... 331
  • 1.1. 박물관단지 주변 상황 ... 331
  • 1.2. 대상지 내 박물관단지 적용 검토 ... 338
  • 2. 조성 계획의 수립 ... 341
  • 2.1. 박물관단지의 법규검토 ... 341
  • 2.2. 박물관단지의 공정계획 ... 343
  • 3. 프로그램 구성에 따른 배치 ... 353
  • 3.1. 기본방향 ... 353
  • 3.2. 고려해 볼 수 있는 배치유형(예시) ... 353
  • 3.3. 프로그램에 따른 배치 ... 355
  • 4. 박물관단지 시설계획 ... 362
  • 4.1. 설계경기의 조건 ... 362
  • 4.2. 계획의 일반사항 ... 368
  • 4.3. 건축계획 ... 369
  • 4.4. 부대토목 및 조경계획 ... 369
  • 4.5. 설비계획 ... 370
  • 5. 박물관단지 건립예산계획 ... 371
  • 5.1. 투자 비용 산정 ... 372
  • 5.2. 총 시설비용 예산 ... 380
  • VI. 위험관리방안 ... 385
  • 1. 위험관리방안의 개요 ... 387
  • 1.1. 위험관리(Risk Management)의 정의 ... 387
  • 1.2. 위험관리의 방향설정 ... 388
  • 1.3. 위험관리방안의 내용 ... 388
  • 2. 발생가능한 위험요소 분석 ... 390
  • 2.1. 민간투자사업의 위험요소 ... 390
  • 2.2. 박물관 단지 사업의 위험요소 ... 393
  • 3. 위험요소의 성격별 관리방향 ... 394
  • 3.1. 위험요소의 주체 간 배분 및 관리 ... 394
  • 3.2. 위험요소의 성격별 관리방안 ... 395
  • 4. 건립 단계별 예상리스크와 대응방안 ... 398
  • 4.1. 뮤지엄 플래닝(Museum Planning) ... 398
  • 4.2. 프로그래밍 및 사업지침 수립(Programming and Briefing) ... 399
  • VII. 박물관단지 수요분석 ... 403
  • 1. 수요추정의 방법 및 전제 ... 405
  • 1.1. 수요추정의 방법론 및 전제 ... 405
  • 1.2. 수요추정의 전제 ... 405
  • 2. 중력모형 수요분석 ... 406
  • 2.1. 중력모형 수요예측 방법론 ... 406
  • 2.2. 수요추정 ... 408
  • 3. 보정을 통한 관람수요 산출 ... 412
  • 3.1. 충청권 사례 분석 ... 412
  • 3.2. 규모에 따른 보정치 산출 ... 413
  • 3.3. 보정치 적용을 통한 개발예정시설의 연간 관람수요 추정 ... 413
  • 참고문헌 ... 415
  • 끝페이지 ... 419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