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상지대학교 SangJi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서용찬
|
참여연구자 |
김기동
,
이은희
,
유진열
,
전은영
,
김민철
,
이혜진
|
보고서유형 | 연차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1-12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등록번호 |
TRKO201800000829 |
DB 구축일자 |
2019-04-20
|
키워드 |
정도보장/정도관리.잠정유해물질.위해성 평가.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potentially hazardous materials.risk assessment.
|
초록
▼
본 연구는 방법검출한계를 EPA에서 제시한 WQC의 1/10을 달성하는 분석방법을 표준화하여 한강 수계 중권역 대표 지점 및 배출원을 고려한 수계별 55개 지점에 대하여 2월, 4월 및 7월 3차례에 걸쳐 유해 유기물질 36종(2010년 3회, 2011년 3회 총 6회 모니터링 실시)과 7월, 9월, 10월 및 12월 4차례에 걸쳐 중금속 13종의 오염실태를 조사하고 유해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data base를 구축하였다.
O 악영향이 예상되는 수질유해물질 조사
가. 6회 조사(2010-2011년)에 대한 유
본 연구는 방법검출한계를 EPA에서 제시한 WQC의 1/10을 달성하는 분석방법을 표준화하여 한강 수계 중권역 대표 지점 및 배출원을 고려한 수계별 55개 지점에 대하여 2월, 4월 및 7월 3차례에 걸쳐 유해 유기물질 36종(2010년 3회, 2011년 3회 총 6회 모니터링 실시)과 7월, 9월, 10월 및 12월 4차례에 걸쳐 중금속 13종의 오염실태를 조사하고 유해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data base를 구축하였다.
O 악영향이 예상되는 수질유해물질 조사
가. 6회 조사(2010-2011년)에 대한 유기물질 분석 결과
- 페놀류, 프탈레이트류 및 dichlorvos 등의 준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결과, 페놀류중 dimethyl phthalate가 25개 지점 (7.58%)에서 0.035~0.245 ㎍/L 농도로 유기인계화합물은 dichlorvos가 1개 지점에서 0.147 ㎍/L 농도로 검출되었다. 그리고 페놀류는 2,4-dinitrophenol과 4-nitrophenol이 각각 1개 지점에서 1.033 ㎍/L 농도, 0.134㎍/L 농도로 검출되었고 4,6-dinitro-2-methylphenol이 3개 지점에서 0.817~1.31 ㎍/L 농도로 검출되었다.
- 유기염소계화합물 분석결과, HCB가 196개 지점(59.39%)에서 4~226 pg/L 농도로 heptachlor와 dieldrin이 각각 135개 지점(40.91%)에서 3~122 pg/L 농도, 127개 지점(38.48%)에서 5~395 pg/L 농도 범위로 검출되었다. 그리고 heptachlor epoxide A와 B가 173지점(45.42%)에서 4~828 pg/L 농도로, 51개 지점(15.45%)에서 7~220 pg/L 농도 범위로 검출되었고 chloropyrifos가 5개 지점(1.52%)에서 7.48~10.86 ng/L 농도 범위로 검출되었다.
- VOCs 15항목중 12개 항목(acrolein, epichlorohydrin, 1,2-trans-dichloroethylene, cis-1,2-dichloroethylene, 1,1-dichloroethylene 1,2-dichloroethane, bromoform, chlorodibromomethane, dichlorobromomethane, hexachlorobutadiene, methylbromide, methylchloride)이 0.012~5.811㎍/L 농도 범위로 낮은 검출빈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dichloromethane과 methyl bromide가 검출빈도 17%와 16%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 아크릴아마이드는 1개 지점에서 0.0025 ㎍/L 농도로 검출되었다.
- 퍼클로레이트는 6회 조사 전 지점에서 0.03-14.04 ㎍/L 농도로 검출되었다.
- 유기염소계 농약류 및 퍼클로레이트의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발암물질에 대한 인체 위해성 고려하면 유기염소계 농약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 3회 조사(2011년)에 대한 무기 금속류 분석결과
- 무기금속류 중 Ba, Cu, Fe, Mn과 Ni은 전 저점에서 모두 검출되었고, B, Mo, Pb 와 Zn도 거의 90% 정도 검출되었다. Be와 Cd는 15%정도 그리고 Se와 Ag은 5%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분석 결과, 총 중금속의 검출 농도가 용존 중금속 보다 대부분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용존 중금속이 더 높은 경우가 있었지만 차이가 미비하고 검출농도가 미량인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그러나 Fe, Ni, Pb, Zn의 경우는 필터 전후의 검출 농도가 확연한 차이를 보였으며, 총 중금속이 용존 중금속 보다 2~20배 정도 높게 검출되었다.
O 분석항목의 MDL 설정 및 정도관리
- 유기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질 15개 항목, 준휘 발성유기화합물질(페놀류, 프탈레이트류, 유기염소계화합물, 유기인계화합물 등) 19개 항목 그리고 아크릴아마이드와 퍼클로레이트 총 36개 항목에 대하여 EPA에서 제시한 WQC의 1/10 값을 만족하였다.
- 당해연도에 추가되는 무기금속류 13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EPA에서 제시한 WQC의 1/10 값을 만족하는 분석법을 구축하였다.
- 미국 NELAC(National Environmental Laboratory Accreditation conference) 인증 기준의 요구조건 중의 하나인 PT(Proficiency Test, 숙련도검사) 시료를 ERA(Environmental Resource Associates) Inc.에서 12월 5일 시작되는 product 를 구입하여 참여하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〇 위해성 평가를 위한 DB 구축
- 4대강 물환경연구소 공동으로 조사된 모든 항목에 대한 DB를 구축하고 있다.
(출처 : 보고서 초록 264p)
Abstract
▼
IV. Results of the study
1. Literature review on water quality criteria and risk assessment
Literature on water quality criteria and risk assessment for VOCs, SVOCs, perchlorate and heavy metals (dissolved & total) were reviewede and summarized accordingly.
2. Quality assurance and qual
IV. Results of the study
1. Literature review on water quality criteria and risk assessment
Literature on water quality criteria and risk assessment for VOCs, SVOCs, perchlorate and heavy metals (dissolved & total) were reviewede and summarized accordingly.
2.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of sampling and analysis
- Calibration was made by using a blank and 4 standard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r² value was in the range of 0.990~1.000. Initial and continuous calibrations was verification(ICV and CCV). CCV was evaluated after 10 measurements and control charts for CCV were made. If a CCV was outside the control level(± 3 s), corrective action such as recalibration was applied. Method detection limit(MDL) was determined before analysis and lower MDL for most target compounds were obtained when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s such as EPA methods.
- Recoveries for surrogate standard were in the range of 70.1~119%.
- Recoveries of matrix spikes for compounds were in the range of 76.0~117%.
3. Monitoring of 49 potential hazardous compounds for 55 sites located in the Han-river basin for 6 sampling events was performed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A. Organic compounds analysis from the sixth sampling events in 2010 and 2011.
- Amongst SVOC organic compounds such as phenols, phthalate and organo-phosphorous compound, dimethyl phthalate was detected at 25 site (occurrence rate 7.6%) in the range of 0.035~0.245 ㎍/L. And 0.147 ㎍/L of dichlorvos, an organo-phosphorous compound, was detected at a single site during the first sanpling event(July 2010). 2,4-dinitrophenol and 4-nitroplienol were detected at a single site with concentration of 1.033 ㎍/L and 0.134㎍/L and respectively. 4,6-dinitro-2-methylphenol was detected at 3 sites in the range of 0.817 to 1.31 ㎍/L.
- Amongst organo-chlorinated compound, HCB was detected at 196 sites (occurrence rate 59.4%) with a concentration range of 4~226 pg/L, and heptachlor and dieldrin were detected at 135 sites(occurrence rate 40.9%) and 127 sites(occurrence rate 38.48%) with concentration range of 3~122 pg/L and from 5~395 pg/L respectively. Heptachlor epoxide A and B were detected at 173 sites (occurrence rate 45.4%) in the range of 4~828 pg/L and at 51 sites (occurrence rate 15.5%) in the range of 7~220 pg/L and chloropyrifos was detected at 5 sites (occurrence rate 1.5%) in the range of 7.48~10.9 ng/L.
- Amongst 15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12 VOCs(acrolein, epichlorohydrin, 1,2-trans-dichloroethylene, cis-1,2-dichloroethylene, 1,1-dichloroethylene 1,2-dichloroethane, bromoform, chlorodibromomethane, dichlorobromomethane, hexachlorobutadiene, methylbromide, methylchloride) were detected with a low frequency and the concentration rate 0.012~5.811㎍/L. And chloromethane and methyl bromide were detected with high frequency of 17% and 16%, respectively.
- Acrylamide was detected at a single site with a concentration of 0.0025 ㎍/L.
- Perchlorate was detected at all sites with concentration range of 0.03~14.04 ㎍/L during the sixth investigation.
- Since organo-chlorinated pesticides and perchlorate was frequently detected and toxicity of these compounds were high, there should be continuous monitoring on these compounds.
B. Heavy metals analysis for the three sampling events in 2011.
- Amongst 13 heavy metals, Detection frequency of Ba, Cu, Fe, Mn and Ni were 100% and those of B, Mo, Pb and Zn were 90%. Detection of Be and Cd were about 15%, and Se and Ag were detected less than 5% sites. Total metal concentra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dissolved metals for most metals. However total metal concentrations of Fe, Ni, Pb and Z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issolved metals(2~20 times).
(출처 : SUMMARY 34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33
- Contents ... 37
- 목차 ... 38
- 표목차 ... 39
- 그림목차 ... 42
- 제1장 서론 ... 46
- 제1절 조사연구의 필요성 ... 46
- 제2절 조사연구의 목적 ... 50
- 제3절 연구결과의 효과 및 활용방안 ... 51
- 1. 기대효과 ... 51
- 2. 활용방안 ... 52
- 제4절 조사연구의 범위 ... 53
- 1. 연차별 주요 사업내용 ... 53
- 2. 당해연도 사업내용 및 범위 ... 54
-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 55
- 제1절 국내 연구동향 ... 55
- 제2절 국외 연구동향 ... 59
- 제3절 유해물질 수질규제 기준 ... 61
- 1. 국외 유해물질 수질규제 동향 ... 61
- 2. 국내 유해물질 수질규제 동향 ... 80
- 제3장 조사연구수행 내용, 방법 및 범위 ... 83
- 제1절 악영향이 예상되는 수질유해물질 조사 ... 83
- 1. 시료채취지점 ... 83
- 2. 조사 시기 ... 84
- 3. 조사항목 ... 85
- 4. 시료채취 및 보존방법 ... 89
- 5. 분석방법 ... 91
- 제2절 분석항목의 MDL 설정 및 정도관리 ... 93
- 1. 분석보장 ... 93
- 2. 분석검출한계(MDL, Method Detection Limit) ... 93
- 제3절 실험방법 ... 101
- 1. 준휘발성 유기화합물(SVOCs) ... 101
- 2. 유기염소계화합물 ... 105
- 3. 휘발성유기화합물 ... 109
- 4. 아크릴아마이드 ... 113
- 5. 퍼클로레이트 ... 117
- 6. 무기금속류(Metals) ... 119
- 7. 기본 수질항목 측정 ... 123
-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 125
- 제1절 악영향이 예상되는 수질유해물질 조사 ... 125
- 제2절 분석항목의 MDL 설정 및 정도관리 ... 125
- 1. 준휘발성 유기화합물 ... 125
- 2. 유기염소계화합물 ... 132
- 3.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 136
- 4. 아크릴아마이드 ... 143
- 5. 퍼클로레이트 ... 146
- 6. 무기금속류(Metals) ... 148
- 7. 외부정도관리 ... 152
- 제3절 분석결과 ... 153
- 1. 준휘발성 유기화합물 ... 153
- 2. 유기염소계 화합물 ... 156
- 3. 휘발성 유기화합물 ... 161
- 4. 아크릴아마이드 ... 166
- 5. 퍼클로레이트 ... 166
- 6. 무기 금속류 ... 169
- 제4절 '10-'11년 위해성 평가 결과 ... 205
- 1. 인체위해성평가와 환경위해성평가의 차이 ... 208
- 2. 수계노출 시나리오, 가정 및 측정지점 ... 209
- 3. 유해성확인(hazard indentification) 및 효능평가(effect analysis) ... 213
- 4.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 221
- 5. 위해도결정(risk characterization) ... 239
- 제5장 결론 ... 257
- 1. 악영향이 예상되는 수질유해물질 조사 ... 257
- 2. 분석항목의 MDL 설정 및 정도관리 ... 257
- 3. 분석결과('10-'11년) ... 257
- 4. '10년-'11년 DB 구축 및 위해성 평가 ... 258
- 제6장 조사연구 결과의 활용방안 ... 259
- 제7장 조사연구목표의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260
- 제8장 참고문헌 ... 261
- 보고서 초록 ... 264
- 부록 ... 265
- APPENDIX 1. 한강수계시료채취 관리대장 ... 266
- APPENDIX 2. 6회 조사에 대한 유기물질 분석결과 ... 322
- APPENDIX 3. 3회 조사에 대한 중금속 분석결과 ... 341
- APPENDIX 4. 표준작업절차서(SOP :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 350
- 끝페이지 ... 41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