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오염사고 대응기술 개발을 통한 깨끗한 바다 만들기
Conservation of clean coastal sea via the development of response technologies to marine pollution acciden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정경태
참여연구자 권개경 , 김경옥 , 소재귀 , 송규민 , 양찬수 , 이문진 , 이석 , 조철호 , 조홍연 , 이필우 , 강기룡 , 조양기 , 권기생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1800000831
DB 구축일자 2019-04-20
키워드 합성개구레이더.유출유 탐색.유출유 모델.유분산제 영향.중형폐쇄생태계.유출유 봉쇄장치.HF radar.SAR.Oil spill detection.Oil spill model.Dispersant effect.Mesocosm.Oil spill Stopper.

초록

〇 원격관측망 분야 (예측 모델링 지원)
- 13Mhz 고주파 레이더를 제주 김녕 및 애월에 설치하여 단기시범운영 실시. 방통위의 허가를 얻어 김녕에는 안테나 고정 설치, 운영 중. 애월에는 2011.12. 6 허가통보를 받아 12월 중순 설치 예정.
- SAR 위성정보 이용 유출유 감시 기반 구축. 태안, 다렌항, 보하이만 사고에 활용
- WCDMA 3G 통신 이용 표면 유출유 소형 추적부이 제작, 선박 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 기술 개발 및 모사체 현장실험
〇 예측모델망 분야 (연안순환 및 유

Abstract

IV. Research outcome
(1) Establishment of remote observation system
O Installation of HF radar and short-term measurements
- Short-term measurements of sea surface current in the Jeju Strait were carried out using HF radar temporarily installed at Aewol and Gimnyeong. It was found that t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5
  • SUMMARY ... 19
  • 목차 ... 35
  • 표목차 ... 41
  • 그림목차 ... 43
  • 제1장 연구과제의 개요 ... 79
  • 제1절 연구의 목적 ... 81
  • 1. 최종목표 ... 81
  • 가. 총괄적 목표 ... 81
  • 나. 세부연구목표 ... 81
  • 2. 1단계 목표(2008.12~2011.12) ... 81
  • 가. 총괄적 목표 ... 81
  • 나. 세부연구목표 ... 81
  • 제2절 연구의 필요성 ... 82
  • 1. 국내적 필요성 ... 82
  • 가. 국가적 측면 ... 82
  • 나. 경제·사회적 측면 ... 84
  • 다. 기술적 측면 ... 84
  • 2. 범세계적 필요성 ... 85
  • 제3절 연구주제 및 연구체계 ... 86
  • 1. 연구주제 ... 86
  • 가. 연구주제 도출 과정 ... 86
  • 나. 연구주제의 구분 ... 87
  • 2. 연구추진체계 ... 88
  • 가. 국내 연구팀의 구성 및 역할 ... 88
  • 나. 국제협력 기관 ... 89
  • 제4절 연구의 범위 ... 89
  • 1. 원격관측망 ... 89
  • 가. HF Radar를 이용한 표층류 모니터링 시스템 기반 구축 ... 89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90
  • 다. SAR 이용 유출유 원격탐지 기반 요소기술 개발 ... 90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90
  • 2. 예측 모델망 ... 90
  • 가. 해양기상 정보 모델 개발 ... 90
  • 나. 첨단 연안 순환 예측 모델 개발 ... 91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개발 ... 91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91
  • 가. 오염 진단 평가 기술 ... 91
  • 나. 암반 정화 기술 개발 ... 92
  • 4. 선박파손부 긴급봉쇄장치 개발 분야 ... 92
  • 가. 선박 파공봉쇄장치 ... 92
  • 나. 잔존유 제거장치 개발 ... 93
  • 다. 장치 이동설비 개발 ... 93
  • 라. 정전기 발생 실험장치 개발 ... 93
  • 마. 고·중·저압용 실험장치의 개발 ... 9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95
  • 제1절 국내외 관련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현황 ... 97
  • 1. 원격관측망 ... 97
  • 가. HF radar를 이용한 표층류 관측 ... 97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100
  • 다. SAR 정보 이용 원격탐지기술 ... 100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101
  • 2. 예측 모델망 ... 102
  • 가. 기상정보 산출 및 제공시스템 ... 102
  • 나. 해수순환 예측 모델링 ... 106
  • 다.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및 방제 대응시스템 ... 111
  • 라. 그리드 기술 기반의 재난 대응시스템 ... 113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116
  • 가. 오염진단·평가 기술 ... 116
  • 나. 정화 기술 ... 117
  • 4. 선박파손부 긴급봉쇄장치 개발 분야 ... 118
  • 제2절 연구결과가 국내·외 기술개발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 ... 122
  • 1. 원격관측망 분야 ... 122
  • 가. HF radar ... 122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122
  • 다. SAR 위성을 이용한 원격관측 ... 122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123
  • 2. 예측 모델망 분야 ... 123
  • 가. 해양기상 모델 ... 123
  • 나. 해수순환 예측 모델링 ... 124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 124
  • 라. 그리드 기술 기반의 실시간 해양 오염 예측 시스템 구축 ... 124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125
  • 가. 진단 평가 기술 ... 125
  • 나. 정화기술 ... 125
  • 4. 선박파손부 긴급봉쇄장치 개발 분야 ... 126
  •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129
  • 제1절 연구수행 방법 및 내용 ... 131
  • 1. 원격관측망 분야 ... 131
  • 가. HF radar 이용 표층류 관측 ... 131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145
  • 다. SAR 위성을 이용한 기름오염 감시 ... 149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152
  • 2. 예측 모델망 분야 ... 162
  • 가. 해양기상 정보산출 및 제공시스템 ... 162
  • 나. 해수순환 예측 모델링 ... 168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시스템 개발 ... 190
  • 라. 그리드 기술 기반의 실시간 해양 오염 예측 시스템 구축 ... 212
  • 3. 오염 진단·평가, 정화 기술 분야 ... 213
  • 가. 오염진단 평가 ... 213
  • 나. 정화기술 ... 235
  • 4. 선박파손부 긴급 봉쇄 및 잔존유 제거 장치 분야 ... 239
  • 가. 파공 사례 ... 239
  • 나. 파공봉쇄장치 ... 244
  • 다. 잔존유 제거장치 ... 245
  • 제2절 연구결과 ... 246
  • 1. 원격관측망 구축 분야 ... 246
  • 가. HF radar 관측 ... 246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248
  • 다. SAR 위성정보를 이용한 유출유 감시 ... 256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281
  • 2. 예측 모델망 구축 ... 283
  • 가. 해양기상 정보산출 및 제공 시스템 ... 283
  • 나. 해수순환 예측 시스템 ... 291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시스템 개발 ... 338
  • 라. 그리드 서비스 환경 개발 ... 355
  • 3. 오염 진단·평가, 정화 기술 분야 ... 376
  • 가. 오염진단 평가 ... 376
  • 나. 정화기술 ... 418
  • 4.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 및 잔존유 제거 기술 분야 ... 434
  • 가. 기술 개발 과정 및 이론 ... 434
  • 나. 파공봉쇄장치 시작품 제작 ... 437
  • 다. 적용 사례 ... 442
  • 라. 본 연구에서 출원한 특허 ... 453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457
  • 제1절 연차별 세부연구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 ... 459
  • 제2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 460
  • 1. 원격관측망 구축 분야 ... 460
  • 가. HF radar 관측 ... 460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461
  • 다. SAR 위성정보를 이용한 유출유 모니터링 ... 461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461
  • 2. 예측 모델망 구축 분야 ... 462
  • 가. 기상정보 산출 및 제공시스템 ... 462
  • 나. 해수순환 예측 시스템 ... 462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개발 ... 463
  • 라. 그리드 기술 기반의 실시간 해양 오염 예측 시스템 구축 ... 463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464
  • 가. 오염 진단 평가 기술 ... 464
  • 나. 오염 암반 정화기술 개발 ... 466
  • 4.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 및 잔존유 제거 기술 분야 ... 466
  • 제3절 관련분야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 467
  • 1. 원격관측망 구축 분야 ... 467
  • 가. HF radar 관측 ... 467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467
  • 다. SAR 위성정보를 이용한 유출유 감시 기술 ... 468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468
  • 2. 예측 모델망 구축 분야 ... 468
  • 가. 기상정보 산출 및 제공시스템 ... 468
  • 나. 해수순환 예측 모델링 ... 469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개발 ... 469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470
  • 가. 오염 진단 평가 기술 ... 470
  • 나. 오염 암반 정화기술 개발 ... 471
  • 4.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 및 잔존유 제거 기술 분야 ... 471
  • 가. 기름유출 방지 기술 발전에의 기여도 ... 471
  • 나. 선박의 침수, 침몰 방지 기술 발전에의 기여도 ... 472
  •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473
  • 제1절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475
  • 1. 원격관측망 구축 분야 ... 475
  • 가. HF radar 관측 ... 475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475
  • 다. SAR 위성 정보를 이용한 유출유 감시 ... 475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추적기법 개발 ... 476
  • 2. 예측 모델망 구축 분야 ... 476
  • 가. 기상정보 산출 및 제공시스템 ... 476
  • 나. 해수순환 예측 모델링 ... 476
  • 다. 첨단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개발 ... 477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477
  • 가. 오염 진단 평가 기술 ... 477
  • 나. 오염암반 정화 기술 ... 478
  • 4.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 및 잔존유 제거 기술 분야 ... 478
  • 가.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장치 및 관련 기술 ... 478
  • 제2절 2단계 연구계획 ... 478
  • 1. 원격관측망 구축 분야 ... 478
  • 가. HF radar 관측 ... 478
  • 나.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 479
  • 다. SAR 위성 정보를 이용한 유출유 감시 기술 ... 479
  • 라. 선박레이더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 개발 ... 479
  • 2. 예측 모델망 구축 분야 ... 479
  • 가. 해양기상 정보 시스템 ... 479
  • 나. 해수순환 예측 시스템 ... 480
  • 다. 3차원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 기반 해양사고 대응 의사결정 지원 기술 개발 ... 480
  • 라. 클라우드 환경 기반의 실시간 해양 오염 예측 시스템 구축 ... 481
  • 3. 오염진단·평가 및 정화기술 분야 ... 482
  • 가. 오염 진단·평가 기술 ... 482
  • 나. 오염암반 정화 기술 ... 483
  • 4.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 및 잔존유 제거 기술 분야 ... 483
  • 가. 원격이동 시스템 개발 ... 483
  • 나. 형식 승인 추진 ... 483
  • 다. 국제적 활용 기반 구축 ... 484
  • 제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485
  • 1. 원격관측망 구축 분야 ... 487
  • 가. 해류관측 기술관련 정보 ... 487
  • 나. SAR 위성정보를 이용한 유출유 감시 기술 ... 487
  • 2. 예측 모델망 분야 ... 488
  • 가. 순환 모델링관련 정보 ... 488
  • 나. 유출유 거동 예측 모델링관련 정보 ... 488
  • 3. 오염 진단 평가 및 정화 기술관련 정보 ... 490
  • 4. 선박 파손부 긴급봉쇄장치 관련 정보 ... 491
  • 제7장 참고문헌 ... 493
  • 부록 ... 509
  • 부록 1. 제주해협 현장관측 조사 ... 511
  • 부록 2. 표면 유출유 추적부이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사용법 ... 519
  • 부록 3. 우크라이나 IMMSP와의 공동 연구 성과 ... 524
  • 부록 4. 2011년 일본 동북태평양지진 현지조사 보고 ... 528
  • 부록 5. NAP 참여연구원 ... 546
  • 끝페이지 ... 54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