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준위폐기물 장기관리기술 개발
High-Level Waste Long-term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최종원
참여연구자 강철형 , 이민수 , 고용권 , 이성호 , 국동학 , 이승엽 , 권상기 , 이연명 , 김건영 , 이재광 , 김경수 , 이재완 , 김승수 , 이종열 , 김진섭 , 정종태 , 류지훈 , 조동건 , 박경우 , 조원진 , 박정균 , 지성훈 , 박정화 , 최희주 , 배대석 , 황용수 , 백민훈 , 김정우 , 고낙열 , 한필수 , 권장순 , 박태진 , 이창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2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등록번호 TRKO201800000847
DB 구축일자 2019-04-20
키워드 고준위 폐기물.처분시스템.안전해석.공학적방벽.천연방벽.장기관리.HLW.Disposal system.A-KRS.Safety assessment.Engineered barrier.Natural barrier.Long-term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미래 원전연료주기에서 예상되는 다양한 고준위폐기물(HLW)과 중저준위폐기물 처분장에서 해결될 수 없는 장반감기 폐기물의 최종관리를 위한 장기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하처분연구시설에 주요 적용기술의 현장실증 설비를 구축하고, 한국의 고유의 심부환경에 HLW 장기관리의 기술적 가능성을 보이고, 안전성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세부 연구분야는 아래와 같다.
• 선진 핵주기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 기술성 및 비용평가
• A-KRS 종합 안전성 평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a long-term management system(A-KRS) which deals with spent fuels from domestic nuclear power stations, HLW from advanced fuel cycle and other wastes that are not admitted to LILW disposal site. Also, this project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4
  • 요약문 ... 5
  • SUMMARY ... 23
  • 목차 ... 43
  • Part 1. 처분시스템 개발 ... 57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59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 59
  •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61
  • 1. 기술적 측면 ... 61
  • 2. 경제적·산업적 측면 ... 61
  • 3. 사회적 측면 ... 63
  • 제3절 연구개발 범위 ... 6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68
  •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 68
  • 제2절 해외 기술개발 현황 ... 69
  • 제3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 ... 72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74
  • 제1절 방사선원항 평가 프로그램 개발 ... 74
  • 1. 개요 ... 74
  • 2. 사용후핵연료 물량예측 프로그램 개발 ... 75
  • 3. 사용후핵연료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 76
  • 4. 선진핵주기 폐기물 선원항 평가 프로그램 개발 ... 78
  • 5. 원전해체 폐기물 선원항 평가체계 개발 ... 83
  • 제2절 공학적방벽 개발 ... 84
  • 1. 처분용기 개발 ... 84
  • 2. 완충재 성능 향상 ... 91
  • 제3절 복합폐기물 처분시스템 예비 개념설계 ... 94
  • 1. 처분터널 주변 암반 물성 ... 94
  • 2.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 96
  • 3. 선진핵주기 폐기물 처분시스템 ... 99
  • 4. 처분시스템 성능평가 ... 103
  • 5. 처분시스템 비용 분석 ... 110
  • 6. 대안 분석 ... 111
  • 7. 지상시설 및 운영방안 ... 113
  • 제4절 A-KRS 장기 운영 안전성 평가 체계 구축 ... 115
  • 1. 개요 ... 115
  • 2. 운영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 개발 ... 115
  • 3. 운영 안전성 평가 방법론 정립 ... 117
  • 4. 안전성 평가 체계 구축 및 사례 평가 ... 118
  • 제5절 고준위폐기물 국가 관리 프로그램(안) ... 121
  • 1. 고준위폐기물과 사용후핵연료 ... 121
  • 2. 사회적 인식 및 수용성 분석 ... 121
  • 3. 고준위폐기물 장기관리 방안 ... 122
  • 4. 정책 로드맵 구성 ... 124
  • 5. 연구 결과 ... 128
  • 제6절 선진핵연료주기 폐기물 방사선원항 평가 기술 ... 129
  • 1. 개요 ... 129
  • 2. 방사선원항 평가 프로그램 기능 개선 ... 129
  • 3. 방사선원항 평가 프로그램 검증 계산 ... 134
  • 4. 선진핵주기 R&D 분야에의 적용 및 유용성 검토 ... 139
  • 5. A-KRS 핵적 성능 평가 ... 141
  • 제7절 파이로 공정 폐기물 처분용기 개발 ... 143
  • 1. 밀봉기술개발 ... 143
  • 2. 수명예측프로그램 개발 ... 145
  • 3. 전단시험 및 모델 개발 ... 152
  • 제8절 선진핵주기 폐기물 처분시스템 개발 ... 158
  • 1. 수리 모델을 통한 최적 처분터널 배치 ... 158
  • 2. 열 해석을 통한 세라믹폐기물 처분시스템 설계 ... 161
  • 3. 단위방벽 공학적 평가 및 종합분석 ... 162
  • 4. 처분시스템 비용평가 ... 166
  • 5. 처분시스템 종합보고서 작성 ... 167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69
  • 1. 목표 달성도 ... 169
  •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82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84
  • 1. 경제적 활용 ... 184
  • 2. 사회적 활용 ... 184
  • 3. 기술적 활용 ... 185
  • 제6장 해외과학기술정보 ... 186
  • 제7장 참고 문헌 ... 189
  • Part 2. 처분안전성 평가 ... 193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95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 195
  •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197
  • 1. 기술적 측면 ... 197
  • 2. 경제·산업적 측면 ... 198
  • 3. 사회·문화적 측면 ... 198
  •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 19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02
  • 제1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 202
  • 1. 안전해석 코드 개발 및 평가기술 현황 ... 202
  • 2. 각국 처분연구 현황 및 안전해석 관련 연구 현황 ... 203
  • 3. Safety Case 개발 관련 연구 ... 209
  • 제2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 214
  • 1. 확률론적 안전성평가와 종합안전성 평가를 위한 QA 및 데이터관리 시스템 구축 ... 214
  • 2. MASCOT-K 체제 구축 및 안전성 현안들의 평가 ... 216
  • 3. 안전성 평가 코드 개발 및 성능 평가 ... 217
  • 4. 처분장 안전성 증진을 위한 신뢰성 증진 연구 ... 218
  • 제3절 연구결과가 국내외 기술개발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 ... 219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221
  • 제1절 FEP/시나리오 ... 221
  • 1. 서론 ... 221
  • 2. FEP 연구 ... 221
  • 3. 선진 핵연료주기 측면에서 FEP 분석 방법론 ... 221
  • 4. 선진 핵연료주기 관련 FEP 분석 ... 223
  • 5.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 225
  • 6. PID 시나리오 개발 ... 226
  • 7. 결론 ... 230
  • 제2절 선진핵연료주기 안전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 231
  • 1. 개요 ... 231
  • 2. 평가 대상 고화체 및 시나리오 개발 ... 231
  • 3. Goldsim을 이용한 평가 모델링 개요 ... 234
  • 4. 입력 자료 생성 방안 ... 239
  • 5. 세부 모델링 ... 240
  • 6. 결론 ... 241
  • 제3절 선진 핵연료주기 폐기물 처분안전성 평가 ... 242
  • 1. 서론 ... 242
  • 2. 모델 및 평가 입력자료 ... 242
  • 3. 결정론적 평가 결과 ... 242
  • 4. 확률론적 평가 결과 ... 246
  • 5. 결론 ... 249
  • 제4절 선진 핵주기 폐기물 처분 대안 시나리오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 250
  • 1. 서론 및 배경 ... 250
  • 2. 확률론적 평가를 위한 대안 시나리오 도출 ... 250
  • 3. 지하수 유동 패턴에 의한 핵종 이동 ... 252
  • 4. 인간 침입 시나리오의 구성 ... 253
  • 5. 지진 발생 시나리오의 구성 ... 254
  • 6. 확률론적 시나리오 평가 결과 ... 255
  • 7. 결론 ... 260
  • 제5절 품질보증시스템 운영 및 추가 모듈 개발 ... 261
  • 1. 서론 ... 261
  • 2. CYPRUS 목적 ... 261
  • 3. CYPRUS의 특징 ... 262
  • 4. CYPRUS의 운영 ... 262
  • 5. 결론 ... 267
  • 제6절 A-KRS 종합 안전성 평가 ... 268
  • 1. A-KRS 폐쇄후 안전성 평가 ... 268
  • 2. 운영중 안전성 평가 지원을 위한 신뢰도 DB 개발 ... 278
  • 3. A-KRS 운영중 안전성 평가 ... 281
  • 4. 공학적 방벽 상호작용 영향 평가 ... 294
  • 제7절 A-KRS 확률론적 폐쇄후 안전성 평가 ... 297
  • 1. 안전성 평가 입력변수의 통계처리 및 확률분포 추정 ... 297
  • 2. A-KRS 확률론적 폐쇄후 안전성 평가 ... 306
  • 제8절 처분 안전성 신뢰도 향상 방안 도출 ... 312
  • 1. Safety Case 구조 및 요소 개발 ... 312
  • 2. KURT 기반 Safety Case 개발 방안 수립 ... 314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17
  •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 실적 및 연구목표 달성도 ... 317
  • 1. 2007년도 ... 317
  • 2. 2008년도 ... 318
  • 3. 2009년도 ... 319
  • 4. 2010년도 ... 319
  • 5. 2011년도 ... 320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21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23
  • 제7장 참고문헌 ... 326
  • Part 3. 심지층 처분환경 특성평가 ... 33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33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333
  •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 ... 336
  • 제3절 보고서의 구성 ... 33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41
  • 제1절 국외 현황 ... 341
  • 제2절 국내 현황 ... 343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46
  • 제1절 수행 방법 ... 346
  • 제2절 부지 평가 및 선정 방법론 개발 ... 347
  • 1. 지질학적 평가 항목 및 단계별 평가인자 분류 ... 347
  • 2. 부지 선정을 위한 기술지침 제안 ... 350
  • 3. 평가 인자별 정량적 가중치 분석 및 제안 ... 350
  • 4. 인자별 정보입력을 위한 공간범위 도출 ... 351
  • 5. 후보부지 평가 및 선정을 위한 지질정보체계 설계 ... 353
  • 제3절 장기 지질안정성 요소 정량평가 ... 354
  • 1. 한반도의 지체구조 ... 354
  • 2. 남한의 지질 및 지질구조 특성 ... 356
  • 3. 제4기의 지질 특성 ... 358
  • 4. 지진활동 ... 360
  • 5. 남한의 광역 수리지질 특성 ... 363
  • 6. 남한의 광역 지구화학적 특성 ... 364
  • 7. 열-역학적 특성에 기인한 암반공학적 요소 ... 366
  • 제4절 화산암 및 편마암 심지층 환경 기초조사 ... 367
  • 1. 연구지역 선정 ... 367
  • 2. 화산암, 편마암 지역 수리 지화학 특성 ... 370
  • 3. 연구지역 예비 지하수유동 모델링 ... 377
  • 제5절 KURT 시설부지 수리 및 지화학 특성평가 ... 379
  • 1. 부지 특성 조사 ... 379
  • 2. 지질학적 특성 ... 383
  • 3. 수리지질학적 특성 ... 388
  • 4. 지구화학적 특성 ... 391
  • 5. 부지특성모델 개발 ... 396
  • 6. 지하수 유동모델링 ... 398
  • 제6절 심부지질환경 조사 및 해석기술 개발 ... 402
  • 1. 수리시험기술 개발 ... 402
  • 2. 지화학 조사기술 개발 ... 404
  • 3. 지화학 원위치 측정기술 개발 ... 405
  • 4. 장심도 물리검층 기술개발 ... 407
  • 5. 정밀 지하수유속계측 현장시험 기술개발 ... 407
  • 6. 투수성 단열의 현장특성 검증기술 ... 411
  • 7. KURT 장기 수리-지화학 모니터링 ... 420
  • 제7절 단열암반 특성평가의 불확실성 저감기술 개발 ... 425
  • 1. 단열망의 확률론적, 결정론적 개념화의 불확실성 정량화 ... 425
  • 2. 불확실성을 고려한 KURT 시설부지 단열망 개념화 ... 430
  • 3. 단일 단열 수리특성평가 시험 및 불확실성 저감 방안 ... 433
  • 4. 광역규모 암반 지하수 모델링의 불확실성 평가 ... 437
  • 5. 블록규모 암반 지하수 모델링의 불확실성 평가 ... 443
  • 제8절 지하수-공학적방벽 복합반응 평가 ... 448
  • 1. 벤토나이트 및 시멘트 상세 열역학 DB 및 복합반응 평가체계 ... 448
  • 2. 처분환경을 고려한 심부 지하수-시멘트-벤토나이트 복합반응시험 ... 454
  • 3. KURT 심부 지하수-시멘트-벤토나이트 반응 모델링 및 검증 ... 458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467
  •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 및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467
  •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 472
  • 제5장 연구개발 결과 ... 477
  • 제1절 경제적 측면의 활용 ... 477
  • 제2절 사회적 측면의 활용 ... 477
  • 제3절 기술적 측면의 활용 ... 477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478
  • 제7장 연구시설·장비 현황 ... 479
  • 제8장 참고문헌 ... 480
  • Part 4. 공학적 방벽 성능 실증기술개발 ... 499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501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504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508
  • 제1절 연구개발의 범위 ... 508
  • 제2절 공학적방벽시스템 열-수리-역학적 거동 실증실험 ... 513
  • 1. 배경 ... 513
  • 2. 공학적 규모 실증실험 ... 513
  • 3. 전산 모델링 및 해석 ... 518
  • 4. 현장실증실험 개념설계 ... 519
  • 제3절 지하처분연구시설 근계영역 암반의 열적거동 현장실험 ... 524
  • 1. 배경 ... 524
  • 2. 암반 열역학적 거동 현장실험 ... 524
  • 3. 히터시험 모델링 ... 529
  • 4. DECOVALEX 국제공동연구 참여 현황 ... 530
  • 제4절 지하처분연구시설 근계영역 손상대 특성 현장시험 ... 538
  • 1. 배경 ... 538
  • 2. 현장시험 및 해석 ... 538
  • 3. 손상대 영향 평가 ... 540
  • 4. 맺음말 ... 542
  • 제5절 공학적방벽재 개발 ... 550
  • 1. 배경 ... 550
  • 2. 완충재 블록 ... 550
  • 3. 밀봉재 ... 553
  • 제6절 지하처분연구시설 운영 및 기술지원 ... 559
  • 1. 지하처분연구시설 부대시설 설치 ... 559
  • 2. 지하처분연구시설 운영 ... 561
  • 3. 지하처분연구시설 홍보활동 ... 562
  • 제7절 공학적방벽시스템 열-수리-역학적 복합 과정에서 음이온 및 양이온 거동 실증 ... 564
  • 1. 배경 ... 564
  • 2. 공학적 규모 열-수리-역학-화학적 거동 실증실험 ... 564
  • 3. 열-수리-역학-화학적 거동 전산 모델링 및 해석 ... 565
  • 제8절 지하처분연구시설 근계영역 암반의 열·역학적 특성변화 현장실증 ... 569
  • 1. 암반 열·역학적 거동 현장실험 ... 569
  • 2. 비정상 조건에서의 현장실험 ... 572
  • 3. 환기 영향 평가 ... 573
  • 4. DECOVALEX 국제공동연구 참여 현황 ... 574
  • 제9절 지하처분연구시설 손상대 수리특성 및 처분안정성 영향 현장시험 ... 579
  • 1. 손상대 영역의 균열발생(탄성파) 특성평가 ... 579
  • 2. KURT 단열암반의 동적거동 특성규명 ... 581
  • 3. 고준위폐기물처분장 근계영역암반의 투수계수 변화 및 수리-역학적 모델링 ... 584
  • 제10절 공학적 규모 완충재 블록 성능 및 밀봉재 특성 평가 ... 594
  • 1. 배경 ... 594
  • 2. 완충재 블록 ... 594
  • 3. 밀봉재 ... 596
  • 제11절 지하처분연구시설 현장실증 기반 구축 ... 600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 601
  •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도 ... 607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608
  • 제7장 참고문헌 ... 609
  • Part 5. 핵종이동 특성규명 ... 61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613
  • 제1절 연구개발 배경 ... 613
  • 제2절 국내·외 연구 환경 변화 ... 615
  • 1. 국외의 연구 환경 변화 ... 615
  • 2. 국내의 연구 환경 변화 ... 616
  • 제3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617
  • 1. 기술적 측면 ... 617
  • 2. 경제·산업적 측면 ... 618
  • 3. 사회·문화적 측면 ... 619
  • 제4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619
  • 1. 연구개발 최종 목표 ... 619
  • 2. 연구개발 단계목표 ... 620
  • 3. 주요 연구개발 내용 ... 620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625
  • 제1절 파이로폐기물 용출 특성 조사 분석 ... 625
  • 제2절 심부 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 특성 규명 ... 625
  • 제3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 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및 수착 특성 규명 ... 626
  • 제4절 처분 안전성평가를 위한 지화학반응 및 수착 D/B 구축 ... 627
  • 제5절 암반을 통한 핵종확산 깊이 측정 및 확산 특성 평가 ... 628
  • 제6절 심부 처분환경에서 미생물 영향 평가 ... 629
  • 제7절 지하연구시설에서 핵종이동 및 지연특성 규명 ... 631
  • 제8절 국내외 지하연구시설에서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 ... 632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634
  • 제1절 파이로폐기물 용출 특성 조사 분석 ... 634
  • 1. 연구 개요 ... 634
  • 2. 파이로폐기물 ... 634
  • 3. 고화체 및 사용후핵연료의 용출률 비교 ... 635
  • 제2절 심부 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지화학반응 특성 규명 ... 636
  • 1. 연구 개요 ... 636
  • 2. 악틴족원소의 용해도 및 주 용해 화학종 ... 637
  • 3. 결과 요약 ... 639
  • 제3절 심부 처분환경에서 고준위핵종들의 수착 특성 규명 ... 640
  • 1. 연구 개요 ... 640
  • 2. KURT 화강암에 대한 고준위핵종들의 수착 특성 ... 641
  • 3. 화강암의 우라늄 수착에 대한 열역학적 수착모델 적용 ... 643
  • 4. 결과 요약 ... 644
  • 제4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 핵종들의 지화학반응 특성 규명 ... 645
  • 1. 연구 개요 ... 645
  • 2. 실험 및 계산 ... 646
  • 3. 고이동성 핵종들의 용해도와 주요 화학종 ... 646
  • 4. 결과요약 ... 649
  • 제5절 심부처분환경에서 고이동성 핵종들의 수착 특성 규명 ... 649
  • 1. 연구 개요 ... 649
  • 2. KURT 화강암에 대한 고이동성 핵종들의 수착 특성 ... 650
  • 3. 결과 요약 ... 653
  • 제6절 처분 안전성평가를 위한 지화학반응 및 수착 D/B 구축 ... 655
  • 1. 연구 개요 ... 655
  • 2. 고준위핵종들의 지화학반응 데이터베이스 구축 ... 656
  • 3. 고준위핵종들의 수착 데이터베이스 구축 ... 658
  • 4. 결과 요약 ... 660
  • 제7절 암반을 통한 핵종확산 깊이 측정 및 확산특성 평가 ... 661
  • 1. 연구개요 ... 661
  • 2. 실험 ... 662
  • 3. 결과 요약 ... 664
  • 제8절 심부처분환경에서 핵종/광물/미생물 복합반응특성규명 ... 664
  • 제9절 처분환경에서 환원미생물 특성 규명 ... 669
  • 제10절 핵종/미생물 복합 이동 특성 규명 ... 674
  • 1. 연구 개요 ... 674
  • 2. 핵종-미생물-화강암 상호 복합반응 ... 674
  • 3. 콜로이드로써 미생물의 영향 ... 675
  • 4. 생물막으로써 미생물의 영향 ... 676
  • 5. 단일 균열암반에서 핵종/미생물 복합이동 수치모델 개발 ... 677
  • 6. 결과 요약 ... 678
  • 제11절 지하연구시설(KURT)에서 핵종 이동 및 지연 특성 규명 ... 680
  • 1. 연구 개요 ... 680
  • 2. 현장 용질이동 시스템 설치 및 운전 ... 680
  • 3. 현장 용질이동 실험 ... 681
  • 4. 결과 요약 ... 684
  • 제12절 KURT 지하수 콜로이드 특성 규명 ... 685
  • 1. 연구 개요 ... 685
  • 2. KURT 지하수 채취 및 농축 ... 685
  • 3. KURT 지하수 콜로이드 기초 특성 분석 ... 686
  • 4. LIBD를 이용한 KURT 지하수 콜로이드 특성 분석 ... 689
  • 5. 결과 요약 ... 692
  • 제13절 KURT에서 콜로이드 이동특성규명 및 이동모델 검증 ... 693
  • 1. 연구 개요 ... 693
  • 2. 현장 콜로이드 이동 실험 장치 ... 694
  • 3. 시험공 시추 및 단열특성 파악 ... 694
  • 4. 현장 콜로이드 이동 실험 ... 695
  • 5. 추적자 및 콜로이드 이동 특성 규명을 위한 균열망 이동모델 개발 및 평가 ... 697
  • 6. 결과 요약 ... 699
  • 제14절 해외 지하연구시설에서 콜로이드 형성 및 이동 실증 ... 700
  • 1. 연구 개요 ... 700
  • 2.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 관련 국제공동연구 참여 타당성 분석 ... 701
  • 3. GTS에서 콜로이드 형성 및 이동(CFM) 국제공동연구 ... 702
  • 4. CFM 국제공동연구 추진 현황 ... 703
  • 5. 결과 요약 ... 705
  • 제15절 결론 및 제언 ... 706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708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711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712
  • 제7장 참고문헌 ... 714
  • 서지정보양식 ... 728
  • BIBLIOGRAPHIC INFORMATION SHEET ... 729
  • 끝페이지 ... 73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