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수산식품 통계 및 통계 종합 DB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 f Comprehensive Statistics Data Base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연중
참여연구자 박현태 , 김상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주관부처 농림수산식품부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등록번호 TRKO201800000976
DB 구축일자 2019-04-27

초록

1. 서론
◦ FTA 등 대내외 여건변화에 따라 우리 농정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 이로 인해 농수산식품분야에 대한 정책과 사업도 많아지고 있으나,이를 빠르게 뒷받침 할 수 있는 자료 즉 통계자료가 미흡함.

◦ 농어업 통계가 통계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정책적으로 필요한 신규통계 확충이 어렵고 과거에 있던 통계마저 축소되는 상황임. 농어업관련 통계가 통계청으로 이관 이후 전산망 분리에 따른 내•외부 PC를 이용하여 농어업관련 통계 자료 수집•이용에도 어려움이 있음.

◦ 농림수산식품부 내에서 산발적으로

Abstract

Research Result
This research compiled statistical data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agriculture-andfisheries-related ministries and organizations. Through a survey of the demand for statistics, this study classified the stat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 ... 4
  • ABSTRACT ... 18
  • 목차 ... 20
  • 표목차 ... 24
  • 그림목차 ... 28
  • 제1장 서론 ... 30
  • 1. 연구의 필요성 ... 30
  • 2. 연구 목적 및 범위 ... 31
  • 3. 연구 내용 ... 32
  • 4. 연구 방법 및 체계 ... 33
  • 제2장 농수산식품 통계 현황 ... 35
  • 1. 농림수산식품관련 통계 현황 ... 35
  • 2. 농림수산식품부 승인통계 현황 ... 37
  • 3. 통계청 농어업관련 승인통계 ... 40
  • 4. 농어업관련 기관 통계 ... 43
  • 4.1. 농촌진흥청 승인통계 ... 43
  • 4.2. 산림청 승인통계 ... 44
  • 4.3. 한국농어촌공사 승인통계 ... 47
  • 4.4. 축산물품질평가원 승인통계 ... 47
  • 5. 기타 농어업과 관련된 통계 ... 48
  • 5.1. 식품의약품 안전청 승인통계 ... 48
  • 5.2. 한국은행 승인통계 ... 49
  • 5.3. 대검찰청 승인통계 ... 54
  • 5.4. 보건복지부 승인통계 ... 54
  • 5.5. 여성가족부 승인통계 ... 56
  • 5.6. 국토해양부 승인통계 ... 57
  • 5.7. 기상청 승인통계 ... 58
  • 6. 시사점 ... 59
  • 제3장 농수산식품 통계 수정, 보완 및 신규 통계 개발 ... 60
  • 1. 통계 수요 조사 분석 ... 60
  • 1.1. 수요조사의 개요 ... 60
  • 1.2. 기존 통계자료 수집·이용 실태와 문제점 ... 62
  • 1.3. 통계 조사의 만족도 및 문제점 ... 67
  • 2. 기존 통계의 수정 및 보완 사항 ... 69
  • 2.1. 통계청 통계 수정, 보완 ... 71
  • 2.2. 농림수산식품부 통계 수정, 보완 ... 82
  • 2.3. 기타 타 부처 통계 수정, 보완 ... 85
  • 3. 부처 간 협력에 의한 수정, 보완 및 신규 통계 ... 92
  • 3.1. 에너지 관련 통계 수요 ... 92
  • 3.2. 농어촌 삶의 질 관련 통계 ... 96
  • 3.3. 생명산업 관련 통계 ... 97
  • 3.4. 농업 환경 관련 통계 ... 98
  • 4. 법, 제도 개선에 의한 통계 생산 ... 101
  • 4.1. 농업·농촌·녹색 ... 101
  • 4.2. 식량·식품·유통 ... 106
  • 4.3. 축산·동물 ... 111
  • 5. 통계 개발을 위한 협력 및 주체별 역할 ... 113
  • 5.1. 통계 수정, 개발, 이용을 위한 외부기관과의 협력관계 ... 113
  • 5.2. 농어업관련 통계 종합 DB 구축 실행 주체 ... 114
  • 5.3. 가칭 ... 116
  • 제4장 농수산식품 통계 정보의 생산·이용 확대 방안 ... 117
  • 1. 농업 패러다임 변화 및 농정의 변화 ... 117
  • 1.1. 농업의 패러다임 변화 ... 117
  • 1.2. 실국별 농정 방향 및 이용통계 ... 121
  • 2. 농림수산식품사업 실시에 의한 통계 이용 ... 125
  • 2.1. 농산·수산·축산 분야 ... 125
  • 2.2. 농지·농업용수·시설장비 분야 ... 127
  • 2.3. 유통·친환경·교육 분야 ... 129
  • 2.4. 농촌개발·농촌복지 ·농촌관광 부문 ... 132
  • 3. 농림수산식품 사업 통계(AgriX) 현황 및 문제점 ... 134
  • 3.1. 농림수산식품 사업 통계(AgriX) 목적 ... 134
  • 3.2. AgriX에서 제공하는 주요 내용 및 효과 ... 136
  • 3.3. AgriX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138
  • 4. 농수산식품 통계 정보의 생산, 이용 방안 ... 143
  • 4.1. 통계청 통계와 농림수산식품부 통계자료 연계 분석 ... 143
  • 4.2. AgriX의 행정자료 및 통계자료를 가공·생산 ... 143
  • 4.3. 실국 정책 개발에 필요한 통계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제공 ... 144
  • 4.4. 농어업정책 수행 후 사업평가 등이 가능한 통계개발 ... 144
  • 제5장 농수산식품 통계 종합DB 구축방안 ... 145
  • 1. 농수산식품통계 종합DB 서비스의 설계 ... 145
  • 1.1. 농수산식품통계 종합DB 구축방향 ... 145
  • 1.2. 농수산식품통계 종합DB의 설계 ... 146
  • 2. IT인프라 구축방안 ... 160
  • 2.1. IT인프라 구축방향 ... 160
  • 2.2. IT인프라 구축방안 ... 161
  • 2.3.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축방안 ... 163
  • 2.4. 소프트웨어 구축방안 ... 172
  • 2.5. Data 수집방안 ... 178
  • 2.6. Data 표준화 및 가공방안 ... 181
  • 제6장 신규 통계 및 통계종합 중장기 DB구축 로드맵 ... 185
  • 1. 농수산식품통계 종합DB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 ... 185
  • 1.1. 단계별 농수산식품통계 종합DB 구축 추진방향 ... 185
  • 1.2. 단계별 농수산식품통계 종합DB 구축내용 ... 187
  • 2. 농림수산식품통계 종합DB 추진일정 ... 192
  • 3. 농림수산식품통계 종합DB 소요예산 ... 193
  • 4. 농림수산식품통계 종합DB 추진 및 운영조직화 방안 ... 194
  • 4.1. 농림수산식품통계 종합DB 구축을 위한 추진 조직의 필요성 ... 194
  • 4.2. 농림수산식품통계 종합DB 구축·운영을 위한 조직화 방안 ... 195
  • 제7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198
  • 1. 기대효과 ... 198
  • 2. 활용방안 ... 200
  • 부록 ... 202
  • 부록1 전문가 조사표 ... 202
  • 참고문헌 ... 226
  • 끝페이지 ... 22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