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연구기관 |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1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등록번호 |
TRKO201800001192
|
DB 구축일자 |
2019-04-20
|
초록
▼
I.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아시아 배출목록은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상호 이해 (利害) 관계가 긴밀하게 연결된 민감한 자료이면서 또한 아시아인들이 환경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갈구하는 쾌적한...
I.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아시아 배출목록은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상호 이해 (利害) 관계가 긴밀하게 연결된 민감한 자료이면서 또한 아시아인들이 환경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갈구하는 쾌적한 삶, 환경의 질(質)을 도모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학적 자료이다. 21세기의 아시아는 세계적으로 배출량이 가장 높은 국가 중의 하나인 중국을 비롯해 세계 경제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화 지향 국가들이 다수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 대기환경관리 관점에서는 인간 활동에 의한 대기오염 유발 배출물질 관리가 매우 필요한 지리적 요충지로서 국제적인 관심이 급부상 하고 있는 대륙이다. 중국과 인도 및 동남아시아 주변 신흥 개발도상 국가들에게서 발생된 다양한 오염물질들은 발생지 주변의 환경적 피해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 및 대륙들 간의 분쟁의 여지가 있다. 이는 장기적인 합의와 실천을 통해 해결 해야할 문제로서 그 과정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에 기반해 접근해야 할 필요 성이 있다.
비약적인 컴퓨팅 능력의 향상, 관측 기술 및 장비의 발전, 대기 모델링 연구 능력의 발전으로 인해서 보다 정교한 대기환경 모사(模寫)가 가능해지면서 인간 활동에 의해 야기되는 배출과 대기환경 및 기후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해 접근하는 시도들 (HTAPTF et al., 2010 Lamarque et al., 2010; Jacob & Winner, 2008 Maenhout et al., 2012)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대기오염의 단기적인 인체 위해성과 사회적 손실비용(환경부, 2007; 경기개발연구원, 2003) 대기조성-기후 상호작용 교란으로 인한 지표면 온도 상승 및 강수량 증가(Christensen et al., 2007)등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 정보들이 누적되고 그 신뢰성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과학적 경험과 지식으로는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및 대기조성 변화와 이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기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의 원인 중의 하나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배출정보가 지목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연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위적 배출원 연구와 함께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자연적 배출원 연구를 강화하여 통합 배출목록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서 수행되고 있는 배출원별 배출목록 개발 연구는 우선적으로 인위적인 오염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까닭에, 자연적 오염원 배출목록자료의 구축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대기환경 조성에 영향력 있는 자연적 배출원으로는 산림을 구성하는 식물상의 생리과정에서 배줄되는 식물배출(Biogenic emissions) 과 산불로 인한 식물 상들의 연소(Biomass burning) 등을 들 수 있다. 식생 배출 모델링 연구들은 전 지구 규모에서 식생배출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Guenther et al., JGR, 1995; Guenther et al., ACP, 2006; Muller et al., 2008)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아시아 지역 식생배출 인벤토리가 구축되 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아시아지역을 포괄하는 배출목록들로는 REAS(일본) (Ohara et al., 2007), INTEX (미국) (Zhang et al„ 2009), EDGAR(네덜란드) (Olivier et al., 2005) 등이 있으며, 이들은 2006년 이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어서 최근의 아시 아지역의 사회 경제적 활동 변화와 대기오염 유발 물질들의 배출특성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관련 배출목록들은 또한 한국을 동아시아의 다른 나라들과 묶어서 하나의 지역으로 취급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가지고 작성되어 아시아 지역 배출 및 대기환경 관리와 관련된 국가단위 협의에 상대적으로 소외되거나 불합리한 합의 결과를 도출할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국가 간 협의과정에 있어 최선(最善)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라도 아시아 지역의 대기 환경 관련 총체적인 문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독자적인 환경정책 의사결정 능력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구축될 아시아 모델링 배출목록은 관련 활 동을 지원하는 기초(基礎)가 되며, 동북아 및 아시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거동 관련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9) 활동에서 한국의 입지를 재고하는 기반이 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관련된 성과의 중요성과 객관성에 대한 국제적인 인정이 필요하며 이는 초국가적인 연대와 협력이 요구된다. 최근의 사회, 기술, 경 제 상황이 반영된 활동도 및 배출계수와 같은 원천자료의 확보가 관건이나 REAS, INTEX, EDGAR 등 기존 배출목록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활동도 및 배출계수 자료는 정치·경제적인 이유로 외부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 아시아에서 발생하는 배출 활동도 및 배출계수 확보와 갱신 및 개선 과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 고 객관적인 아시아 배출목록 및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자들 간의 집약된 협력 노력이 필요하며 더불어 우리나라 주도의 국제적 협력이 지속 가능도록 국가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 출처: 본문 I. 서론 19p )
목차
Contents
▼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표목차 ... 5
- 그림목차 ... 7
- I. 서론 ... 19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9
- 1.2. 연구내용 및 추진 체계 ... 21
- 1.2.1. 연구목표 및 범위 ... 21
- 1.2.2. 연구 추진 체계 ... 22
- 1.2.3. 연구기대성과 및 활용계획 ... 27
- II.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대기환경 배출량 산정 및 연구 지원 ... 28
- 2.1. RCP 8.5 배출 시나리오 ... 28
- 2.2. RCP 시나리오 배출량과 SMOKE-Asia 배출 모델링 시스템 접합 ... 34
- 2.2.1. RCP 시나리오에 따른 아시아 배출처리 개요 ... 34
- 2.2.2. RCP 시나리오 연구 지원을 위한 SMOKE-Asia 시스템 접합 ... 36
- 2.2.3. RCP 시나리오에 기반한 연도변환 계수 및 화학종 분화계수 산정 ... 50
- 2.3. 전구 및 지역규모 모델링 배출목록의 작성 및 구축 ... 59
- 2.3.1. RCP 배출정보를 이용한 전구모델링 배출목록의 작성 및 구축 ... 59
- 2.3.2. SMOKE-Asia 배출 모델링 시스템을 활용한 지역규모 모델링 배출목록 작성 및 구축 ... 79
- 2.4. 전구 및 지역규모 대기화학 모델링 연구 지원 ... 100
- 2.4.1. RCP 8.5 시나리오 자료처리 시스템 구축 ... 100
- 2.4.2.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전구 및 아시아 모델링 연구 지원 ... 110
- III. 아시아 지역의 인위적/자연적 배출 인벤토리 구축 ... 125
- 3.1. 기 구축된 중국인벤토리의 보완 ... 125
- 3.1.1. 활동도 자료 개선 ... 125
- 3.1.2. 기후변화유발물질(GHGs) 배출량 비교 ... 132
- 3.1.3. 대기오염유발 물질 배출량 ... 147
- 3.1.4. 배출량 자료의 비교 검증 ... 182
- 3.2. 한국의 인위적 인벤토리의 구축 ... 196
- 3.2.1. 활동도(Activity) 자료 ... 196
- 3.2.2. 기후변화유발물질(GHGs) 배출량 비교 ... 206
- 3.2.3. 대기오염유발물질 배출량 비교 ... 210
- 3.3. 일본의 인위적 인벤토리의 구축 ... 222
- 3.3.1. 활동도 자료의 개선 ... 222
- 3.3.2. 기후변화유발물질(GHGs) 배출량 비교 ... 225
- 3.3.3. 대기오염유발 물질 배출량 ... 234
- 3.4. 아시아 생물연소 배출모델링 및 아시아 국가별 생물연소 배출목록 구축을 통한 자연적 인벤토리의 구축 ... 259
- 3.4.1. 생물연소(바이오매스 연소) 배출 및 배출모델 ... 259
- 3.4.2. 아시아 생물연소 배출목록 산정을 위한 시스템 구축 ... 261
- 3.4.3. 2009년도 아시아 생물연소 배출량 산정 ... 269
- 3.5. 인위적 배출목록, 식생 모델링 배출량 및 생물연소 모델링 배출량을 접합한 통합모델링 배출목록 구축 ... 284
- IV. 요약 및 결론 ... 290
- 4.1. 요약 및 결론 ... 290
- 4.2. 국내외 협력 및 홍보 ... 293
- V. 참고문헌 ... 296
- 부록. RCP 8.5 및 SRES 시나리오에 따른 아시아 지역별 인위적 배출량 요약 ... 300
- 끝페이지 ...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