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생태조사단
연구책임자 원두희
참여연구자 김백호 , 김성용 , 김용재 , 백현민 , 신정섭 , 양현 , 이율경 , 전영철 , 최승호 , 한승철 , 황인철 , 임성호 , 주정현 , 김종희 , 홍보람 , 양두용 , 김일남 , 이규진 , 유경미 , 최환석 , 주재형 , 심흥선 , 이민혁 , 장재민 , 변정환 , 김형수 , 고재근 , 김동진 , 양찬 , 이정훈 , 정별 , 양대창 , 백하비 , 장영수 , 정주학 , 황숙영 , 박소연 , 김한성 , 박재응 , 이명도 , 윤정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01246
DB 구축일자 2019-04-20

초록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하구는 일반적으로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경계지역을 일컫는 용어로서, 인류문명의 발상지이자 현재 인간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뉴욕이나 런던, 도로, 오사카, 상하이 등 세계의 대도시분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서울이나 부산, 인천, 군산, 목포 등이 하구에 위치한다. 미국에서도 전 인구의 1/3 이상이 하구에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하구는 인간과 자연이 가장 밀접하게 영향몰 주고받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하구는 육상과 해양의 전이지역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참여연구진 ... 4
  • 목차 ... 6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3
  • 제1장 서론 ... 18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 20
  • 1. 연구배경 ... 20
  • 2. 연구목적 ... 24
  • 제2절 연구내용 ... 25
  • 1. 주요연구내용 ... 25
  • 2. 세부연구내용 ... 25
  • 제2장 하구현황 및 유형분류 ... 26
  • 제1절 하구의 정의 ... 28
  • 1. 과학적 측면 ... 28
  • 2. 관리적 측면 ... 29
  • 제2절 하구의 현황 ... 33
  • 제3절 하구의 경계설정 ... 36
  • 제4절 하구의 유형분류 ... 40
  • 1. 열린하구의 특성파악 및 유형분류 ... 41
  • 2. 닫힌하구의 특성파악 및 유형분류 ... 44
  • 제3장 조사대상하구 우선순위 선정 ... 48
  • 제1절 하구관리의 우선순위 설정기준 ... 50
  • 1. 하구관리의 우선순위 필요성 ... 50
  • 2. 하구관리의 우선순위 설정 기준 ... 50
  • 3. 하구복원 및 관리방향 설정 ... 53
  • 제2절 하구별 조사우선순위 ... 55
  • 제3절 하구 수생태 건강성 조사의 향후계획 ... 59
  • 제4장 닫힌하구의 조사 및 평가방안 검토 ... 62
  • 제1절 서론 ... 64
  • 제2절 국내외 사례 분석 ... 66
  • 1. 국외 사례 ... 66
  • 2. 국내 사례 ... 71
  • 제3절 닫힌하구의 조사방안 검토 ... 91
  • 제5장 하구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 92
  • 제1절 하구 수생태 모니터링 ... 94
  • 1. 중요성 ... 94
  • 2. 조사 및 평가체계 ... 95
  • 3. 국외 사례 ... 96
  • 제2절 하구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 103
  • 1. 부착돌말 ... 103
  •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120
  • 3. 어류 ... 136
  • 4. 수중 및 수변식생 ... 150
  • 제3절 통합평가 방안 ... 162
  • 1. 국외의 방식 ... 162
  • 2. 국내 적용방식의 제안 ... 163
  • 3. 우리나라 하구 수생태 건강성 통합평가결과 ... 164
  • 제6장 하구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결과 ... 166
  • 제1절 대상하구 ... 168
  • 제2절 서식지 현황 ... 171
  • 1. 서식환경 ... 171
  • 2. 이화학적 환경요인 ... 191
  • 제3절 부착돌말 ... 200
  • 1. 부착돌말 군집구조 및 우점종 ... 200
  • 2. 부착돌말의 생물량 ... 206
  • 3. 군집지수 ... 208
  • 4. 하구 수생태 건강성 평가 ... 211
  • 5. 요약 ... 220
  • 제4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221
  • 1. 출현현황 ... 221
  • 2. 우점종 및 점유율 ... 236
  • 3. 군집지수 ... 239
  • 4. 하구 수생태 건강성 평가 ... 245
  • 5. 요약 ... 249
  • 제5절 어류 ... 251
  • 1. 출현현황 ... 251
  • 2. 우점종 및 점유율 ... 263
  • 3. 군집지수 ... 265
  • 4. 하구 수생태 건강성 평가 ... 269
  • 5. 요약 ... 274
  • 제6절 수중 및 수변식생 ... 276
  • 1. 대상하구의 현존식생도 ... 276
  • 2. 대상하구의 식생단면도 ... 349
  • 3. 하구 식생자연도 평가 결과 ... 378
  • 제7절 종합고찰 ... 399
  • 1. 동해하구 ... 399
  • 2. 남해하구 ... 408
  • 3. 서해하구 ... 417
  • 제7장 요약 ... 422
  • 제1절 추진배경 ... 424
  • 1. 하구의 무분별한 개발 및 관리의 문제점 부각 ... 424
  • 2. 하구관리 정책의 선진화 및 패러다임의 전환 ... 424
  • 3. 국가 하구 건강성 평가의 기반체계 수립 ... 425
  • 제2절 추진경과 ... 426
  • 1. 2008년도 ... 426
  • 2. 209년도 ... 426
  • 3. 2010~2011년도 ... 426
  • 4. 2012년도 ... 426
  • 제3절 조사개요 ... 427
  • 1. 조사목적 ... 427
  • 2. 조사기간 및 지점 ... 427
  • 3. 조사내용 및 평가체계 ... 429
  • 제4절 하구의 정의 ... 430
  • 1. 과학적 정의 ... 430
  • 2. 관리측면에서의 정의 ... 431
  • 제5절 우리나라 하구의 현황 ... 433
  • 1. 하구의 현황 ... 433
  • 2. 하구의 유형분류 ... 433
  • 3. 하구의 범위 ... 436
  • 제6절 조사우선순위 및 운영방안 ... 438
  • 1. 하구별 조사우선순위 설정 ... 438
  • 2. 조사확대방안 ... 439
  • 제7절 하구 수생태 건강성 평가방법 ... 440
  • 1. 평가기법 개요 ... 440
  • 2. 통합평가방안 ... 442
  • 제8절 하구 수생태 건강성 평가결과 ... 443
  • 1. 종합 평가 ... 443
  • 2. 하구의 권역별 평가 ... 449
  • 3. 보전 또는 관리가 필요한 하구 ... 459
  • 제9절 분야별 조사 및 평가결과 ... 464
  • 1. 분야별 평가 결과 ... 464
  • 2. 권역별 평가결과 종합 및 관리방안 ... 465
  • 제10절 분야별주요 관리대상 생물 및 식생 ... 467
  • 제11절 주요 출현종 ... 471
  • 참고문헌 ... 482
  • 부록 ... 496
  • 부록 1 하구유역경계 설정 기준 ... 498
  • 부록 2 열린하구의 특성 ... 505
  • 부록 3 닫힌하구의 특성 ... 513
  • 부록 4 각 지점에서의 부착돌말류의 출현종 및 출현현황(1차) ... 521
  • 부록 5 각 지점에서의 부착돌말류의 출현종 및 출현현황(2차) ... 548
  • 부록 6 부착돌말 주요 출현종 ... 572
  • 부록 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1차) ... 574
  • 부록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2차) ... 609
  • 부록 9 각 대상하구의 어류 출현 목록 ... 642
  • 부록 10 조사대상 하구의 주요 출현 어류 ... 648
  • 부록 11 조사대상 하구의 주요 식물상 현황(2012-용촌천) ... 652
  • 끝페이지 ... 68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