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내 탄력적 극한홍수 대응방안
The Countermeasure for Extreme Flood Resilience in the Urban Area Considering the Climatic Chang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인천대학교
University Of Incheon
연구책임자 최계운
참여연구자 박효선 , 김남규 , 정지성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4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연구관리전문기관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등록번호 TRKO201800001369
DB 구축일자 2019-04-27
키워드 기후변화.극한강우.홍수 모델링.탄력적 홍수 대응.

초록

연구목적
〇 기후변화에 의한 극한 기상재해 중 극한홍수에 초점을 두어 홍수발생에 따른 피해중가와 기존 대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탄력적 대응 방안 제시
〇 과거의 구조물 위주의 홍수대응에서 벗어나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변화량을 산정하고, 도심특성을 분석하여 탄력적 대응능력 방안을 제시하며,이를 바탕으로 시범도시에 직접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극한홍수에 대응하는 최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

연구내용
〇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내 강우량 및 총수량변화 분석
〇 국 • 내외 홍수방어 적용사례를 조

Abstract

Ⅱ. Objectives
1.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looding caused damages more and more serious, traditional and existed countermeasures have their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m, resilient countermeasures were derived and presented.
2. Existed flooding measures has remained predominantly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4
  • 요약문 ... 5
  • SUMMARY ... 6
  • 목차 ... 8
  • 그림목차 ... 12
  • 표목차 ... 20
  • 제1장 서론 ... 25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25
  • 1.2. 연구범위 ... 27
  • 1.3. 연구내용 및 방법 ... 29
  • 제2장 국내·외 홍수대응방안 적용사례 ... 31
  • 2.1. 서론 ... 31
  • 2.2.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안 ... 32
  • 2.2.1. 국내 ... 32
  • 2.2.2. 미국 ... 50
  • 2.2.3. 영국 ... 60
  • 2.2.4. 프랑스 ... 68
  • 2.2.5. 스페인 ... 72
  • 2.2.6. 독일 ... 73
  • 2.2.7. 일본 ... 76
  • 2.2.8. 호주 ... 86
  • 2.2.9. 유럽의 종합계획 ... 89
  • 2.3. 구조물적 홍수방어 ... 90
  • 2.3.1. 국내 ... 90
  • 2.3.2. 일본 ... 95
  • 2.3.3. 영국 ... 100
  • 제3장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 ... 103
  • 3.1. 탄력적 홍수대응 개념 ... 103
  • 3.2. 탄력적 홍수대응 원칙 ... 104
  • 3.2.1. 능동대처 및 연계운영 원칙 ... 105
  • 3.2.2. 탄력적 홍수대응의 자연과 공존 원칙 ... 109
  • 3.3. 비구조물적 홍수대응 대책 ... 110
  • 3.3.1. 일반적 경향 ... 110
  • 3.3.2. 정책적 대응대책 ... 112
  • 3.3.3. 홍수저감대책 ... 118
  • 3.3.4. 홍수피해 저감대책 ... 120
  • 3.4. 구조물적 홍수대응 대책 ... 132
  • 3.4.1. 일반적 경향 ... 132
  • 3.4.2. 배수시스템 증설 ... 133
  • 3.4.3. 저류공간 확보 대책 ... 139
  • 3.4.4. 우수침투시설 설치 대책 ... 146
  • 제4장 계획 및 설계 시 탄력적 홍수대응방안 적용방법 ... 147
  • 4.1. 유역 선정 및 특성조사 ... 147
  • 4.1.1. 유역의 기본 개황 조사 ... 147
  • 4.1.2. 유역 특성 조사 ... 149
  • 4.1.3. 측량조사 ... 149
  • 4.2. 현상태하의 홍수예측 ... 150
  • 4.2.1. 확률강우량 산정 ... 150
  • 4.2.2. 확률 홍수량 산정 ... 152
  • 4.2.3. 하수관거 모의 ... 154
  • 4.3.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및 미래강우예측 ... 159
  • 4.3.1. 기후변화 일반경향 ... 159
  • 4.3.2. 기후변화 시나리오 실태 ... 160
  • 4.3.3.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 168
  • 4.4.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홍수예측 ... 170
  • 4.4.1.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량 결정 ... 170
  • 4.4.2. 미래 확률 홍수량 산정 ... 177
  • 4.5.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 179
  • 4.5.1. 정책적 대응방법 ... 179
  • 4.5.2. 홍수저감 대응방법 ... 192
  • 4.5.3. 홍수피해 저감대응방법 ... 203
  • 4.6. 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 215
  • 4.6.1. 배수시스템 ... 216
  • 4.6.2. 저류공간 확보 ... 217
  • 4.6.3. 침투시설 설치 ... 221
  • 4.7. 탄력적 홍수대응방안의 선택 ... 225
  • 4.7.1. 홍수대응방안 선정을 위한 유역의 특성 ... 226
  • 4.7.2. 정책적 대응 대책 ... 227
  • 4.7.3. 홍수저감 대책 ... 227
  • 4.7.4. 홍수피해저감 대책 ... 228
  • 4.7.5. 구조물적 대책 ... 229
  • 4.7.6.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의 종합 ... 229
  • 제5장 탄력적 홍수대응 적용사례 ... 231
  • 5.1. 유역 선정 및 특성조사 ... 231
  • 5.1.1. 유역의 기본 개황 조사 ... 231
  • 5.1.2. 유역 특성 조사 ... 233
  • 5.1.3. 측량조사 ... 240
  • 5.2. 현상태하의 홍수예측 ... 241
  • 5.2.1. 확률강우량 결정 ... 241
  • 5.2.2. 확률 홍수량 산정 ... 246
  • 5.2.3. 하수관거 모의 ... 247
  • 5.2.4. 침수 예측 ... 249
  • 5.3.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및 미래강우 예측 ... 287
  • 5.3.1. 기후변화 일반경향 ... 287
  • 5.3.2.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 289
  • 5.4.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홍수예측 ... 290
  • 5.4.1.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량 결정 ... 290
  • 5.4.2. 미래 확률 홍수량 산정 ... 310
  • 5.4.3. 미래 강우량에 의한 하수관거 모의 ... 311
  • 5.4.4. 미래 강우량에 의한 침수 예측 ... 312
  • 5.5.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 319
  • 5.5.1. 정책적 대응방법 ... 319
  • 5.5.2. 홍수저감 대응방법 ... 323
  • 5.5.3. 홍수피해저감 대응방법 ... 334
  • 5.6. 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 340
  • 5.6.1. 배수시스템 개량 및 증설 ... 341
  • 5.6.2. 저류공간 확보 ... 343
  • 5.6.3. 침투시설 설치 ... 359
  • 5.7.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 361
  • 5.7.1. 그린루프 설치 ... 362
  • 5.7.2. 완충녹지 ... 364
  • 5.8.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구조물적 홍수대응 방법 ... 366
  • 5.8.1. 배수시스템의 관로 개량 및 증설 ... 366
  • 5.8.2. 저류공간 확보 ... 370
  • 5.9. 탄력적 홍수대응방안의 선택 ... 375
  • 5.9.1. 홍수대응방안 선정을 위한 유역의 특성 ... 375
  • 5.9.2. 정책적 대응대책 ... 384
  • 5.9.3. 홍수저감 대책 ... 384
  • 5.9.4. 홍수피해저감 대책 ... 386
  • 5.9.5. 구조물적 대책 ... 387
  • 5.9.6. 현상태의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의 종합 ... 390
  • 5.9.7. 미래 상태의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의 종합 ... 412
  • 제6장 결론 ... 424
  • 참고문헌 ... 425
  • 끝페이지 ... 43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