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꿀벌 질병 종합 진단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otal diagnosis system for the diseases in honeybe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경기대학교
Kyonggi University
연구책임자 윤병수
참여연구자 이중구 , 이순복 , 나하나 , 손원근 , 전정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7
주관부처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등록번호 TRKO201800001370
DB 구축일자 2019-04-27

초록

〇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목표 : 국내 발병이 확인된 꿀벌 주요 질병에 대한 총체적 진단시스템을 확립
내용 1) 꿀벌 주요 질병에 대하여 각 특이 병인체의 신속검색을 위한 실시간 정량 PCR법을 신규 또는 개선 개발함. 2) 꿀벌 주요 질병의 병인체에 대하여, 재조합 DNA방법 등에 의하여 각 특이 항원단백질을 생산하고, 이어 하이브리도마법을 이용한 특이항체를 생산하고자 함. 3) 특이 항체를 이용 ELISA법에 의한 면역학적 진단법 및 양봉 현장에서 꿀벌 질병을 쉽게 검색해 낼 수 있는 래피드 키트를 개발함. 4) 질

Abstract

IV. Results and their applications
From the various kinds of developments to detect honeybee-pathogens, total 19 detection methods were newly developed against total 10 different pathogens.

1. New detection method by LAMP for Paenibacillus larvae (AFB)
2. New immunological method to de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7
  • CONTENTS ... 11
  • 목차 ... 14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0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1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몇 결과 ... 23
  • 제1절 미국부저병 검색을 위한 신규 검출법의 개발 ... 23
  • 1. 미국부저병의 원인균 Paenibacillus larvae에 대한 LAMP 신규검출법의 개발 ... 23
  • 2. 미국부저병의 원인균 Paenibacillus larvae에 대한 면역학적 신규검출법의 개발 ... 27
  • 제2절 유럽부저병 검색을 위한 신규 검출법의 개발 ... 46
  • 1. 유럽부저병의 원인균 Melisococcus plutonius에 대한 LAMP 신규검출법의 개발 ... 46
  • 2. 유럽부저병의 원인균 Melisococcus plutonius에 대한 면역학적 신규검출법의 개발 ... 49
  • 제3절 노제마병 검색을 위한 신규 검출법의 개발 ... 62
  • 1. Nosema병의 원인균 Nosema cerana에 대한 LAMP 신규검출법의 개발 ... 62
  • 2. Nosema병의 원인균 Nosema cerana에 대한 초고속 PCR 신규검출법의 개발 ... 72
  • 제4절 백묵병 검색을 위한 LAMP 신규 검출법의 개발 ... 76
  • 1. LAMP법을 이용한 백묵병 원인균 Ascosphera apis의 검출법 개발 ... 76
  • 제5절 CBPV 검색을 위한 LAMP 신규 검출법의 개발 ... 90
  • 1. LAMP법을 이용한 Chronic Bee Paralysis Virus (CBPV)의 신속 진단법 개발 ... 90
  • 제6절 BQCV 검색을 위한 신규 검출법의 개발 ... 97
  • 1. 초고속 PCR법을 이용한 Black Queen Cell Virus (BQCV) 신속 진단법 개발 ... 97
  • 2.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통한 Black Queen Cell Virus 특이 항원의 생산 ... 100
  • 3. ITC법에 의한 재조합 Black Queen Cell Virus 특이 항원의 정제 ... 110
  • 제7절 DWV 검색을 위한 초고속 PCR 검출법의 개발 ... 115
  • 1. 초고속 PCR법을 이용한 DWV (Deformed Wing Virus) 신속 진단법 개발 ... 115
  • 제8절 SBV와 kSBV 검색을 위한 신규 검출법의 개발 ... 120
  • 1. 초고속 PCR법을 이용한 SBV (Sacbrood Virus) 신속 진단법 개발 ... 120
  • 2. LAMP법을 이용한 Sacbrood Virus (SBV)의 검출법 개발 ... 125
  • 3. Sacbrood Virus와 Korean Sacbrood Virus의 구별 검출을 위한 PCR법 개발 ... 135
  • 4. Sacbrood Virus의 특이 항원 생산을 재조합 SBV Capsid protein의 발현 및 정제 ... 144
  • 5. 특이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Sacbrood Virus의 검출 ... 147
  • 제9절 IAPV 검색을 위한 신규 검출법의 개발 ... 151
  • 1. 초고속 PCR법을 이용한 IAPV (Israel acute paralysis Virus) 신속 진단법 개발 ... 151
  • 2. RT-LAMP법을 이용한 IAPV (Israel acute paralysis Virus) 신속 진단법 개발 ... 159
  • 3. RNA-dependent RNA Polymerase(RdRP) 서열에 따른 IAPV 계통분류학적 고찰 ... 165
  • 4. Israel acute paralysis virus (IAPV)의 항원을 위한 재조합 Capsid protein의 생산 ... 179
  • 제10절 Kakugo virus의 검색과 신규 검출법의 개발 ... 184
  • 1. Kakugo virus의 국내 존재의 규명 ... 184
  • 2.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LAMP) 법을 이용한 Kakugo Virus의 새로운 검출법 개발 ... 187
  • 제11절 꿀벌 질병의 원인체에 대한 배양법 확립 ... 198
  • 1.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인 Paenibacillus larvae의 배양법 ... 198
  • 2. 유럽부저병의 원인균인 Melissococcus plutonious의 배양법 ... 200
  • 3. 백묵병의 원인균인 Ascosphaera apis 의 배양법 ... 202
  • 4. 노제마병의 원인균인 Nosema apis 의 배양법 ... 203
  • 5. 꿀벌 바이러스들의 배양 ... 204
  • 제12절 꿀벌 질병시료에 대한 다중 병원체 검사체계 ... 206
  • 1. 시료의 접수 및 광학현미경 검사 ... 206
  • 가. 시료의 접수 ... 206
  • 나. 외형 관찰에 의한 예비 진단 ... 206
  • 다. 해부 검사에 의한 시료 채취 및 1차 진단 ... 206
  • 라. 광학 현미경 검사 ... 207
  • 2. 특이 유전자에 의한 꿀벌병원체의 검색 ... 208
  • 가. 유전자 검사의 개요 및 종류 ... 208
  • 나. DNA 및 RNA의 순수분리 ... 208
  • 다. Reverse transcriptase reaction ... 211
  • 라. 일반PCR을 사용하는 꿀벌질병의 detection ... 211
  • 마. 정량 PCR을 사용하는 꿀벌질병의 detection ... 213
  • 바. 초고속 PCR을 사용하는 꿀벌질병의 detection ... 216
  • 사. PCR detection용 primer쌍 (일반 PCR용, 정량 및 초고속 PCR용) ... 217
  • 아. LAMP법을 사용하는 꿀벌질병의 detection ... 223
  • 자. LAMP detection용 primer들 ... 225
  • 3. 특이 항체에 의한 꿀벌병원체의 검색 ... 232
  • 가. Immunochromatography법에 의한 검사 ... 232
  • 나. Immunochromatography법에 의해 검사가 가능한 병원체의 종들 ... 234
  • 제13절 꿀벌 질병의 진단에 따른 표준 처방 ... 236
  • 1. 꿀벌의 감염성 질병 치료를 위한 꿀벌응애 구축법들 ... 236
  • 가. 개요 ... 236
  • 나. 꿀벌응애의 구축을 위한 친환경 생물학적 처치법 ... 237
  • 다. 꿀벌응애의 구축을 위한 약품들 ... 240
  • 2. 미국부저병(AFB), 유럽부저병(EFB)에 대한 항생제의 처치 ... 241
  • 가.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한 세균성 질병의 처치 ... 241
  • 나. 네오테트라에 의한 세균성 질병의 처치 ... 242
  • 다. 소각 처리 ... 243
  • 3. 노제마병에 대한 처치 ... 243
  • 가. Fumagillin(퓨마질린)에 의한 노제마병에 대한 처치 ... 243
  • 나. 그 외의 노제마 제어 약품들 ... 244
  • 4. 백묵병(CB), 석고병(SB) 등 병원성 진균에 대한 처치 ... 245
  • 가. 사양관리에 강화에 의한 진균성 질병의 극복 ... 245
  • 나. 그 외의 진균성 질병에 대한 약품들 ... 245
  • 5. 꿀벌의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처치 ... 247
  • 가. 사양관리에 강화에 의한 꿀벌 바이러스성 질병의 극복 ... 247
  • 나. 꿀벌응애의 구축에 의한 바이러스성 질병의 극복 ... 247
  • 다. 그 외의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소독제들 ... 248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50
  • 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 253
  • 제1절 연구성과물들의 개요 ... 253
  • 제2절 본 연구에 의하여 발표된 학술논문들 ... 254
  • 제3절 꿀벌 질병 진단을 위한 LAMP 키트 들 ... 257
  • 제4절 꿀벌 질병 진단을 위한 Immunochromatography 키트들 ... 271
  • 제5절 꿀벌 질병시료에 대한 다중 검사체계 및 표준 처방 ... 277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78
  • 제7장 연구시설·장비 현황 ... 279
  • 제8장 참고문헌 ... 280
  • 별첨1 연구개발보고서 초록 ... 295
  • 끝페이지 ... 29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