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수목원 조성사업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종합기술(주)
연구책임자 김현용
참여연구자 박상천 , 김인관 , 권오준 , 정윤식 , 주명돈 , 이상헌 , 조현경 , 이희형 , 박계성 , 최종훈 , 하병규 , 이승률 , 이상인 , 김영철 , 강병호 , 김선교 , 김장한 , 이광훈 , 윤주호 , 김민정 , 정흔주 , 오형욱 , 김영신 , 윤보훈 , 조현준 , 최상태 , 김관연 , 김태홍 , 방병희 , 박형규 , 허광 , 류용상 , 주정필 , 정종천 , 김용민 , 류충현 , 이주현 , 김창현 , 이재영 , 김경태 , 박병윤 , 이희철 , 최명순 , 문준호 , 유성호 , 박광호 , 도중호 , 최문경 , 최석원 , 김철현 , 변석호 , 김관중 , 유호근 , 정태순 , 김상규 , 성돈 , 원종진 , 전동필 , 이강욱 , 조태형 , 신복수 , 이재구 , 김성민 , 이문형 , 한장운 , 김종호 , 신광우 , 이정호 , 이대근 , 김안수 , 이현재 , 백종신 , 안교갑 , 장영모 , 오성영 , 전혜선 , 김승섭 , 박찬석 , 유정곤 , 신우훤 , 김청묵 , 한진희 , 이종범 , 이정배 , 강철희 , 양용수 , 이종원 , 안병선 , 김창배 , 이기천 , 김진택 , 정태진 , 조상근 , 박미은 , 윤성욱 , 김율리 , 박재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3
주관부처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등록번호 TRKO201800001555
DB 구축일자 2019-05-04

초록

I. 사업의 개요
1. 배경 및 목적
• 국립중앙수목원 기본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계획의 배경 및 목적과 사업의 범위, 사업수행 절차 등을 알아봄으로써 국립중앙수목원 기본계획 수립의 기초로 활용함

가. 계획의 배경
■ 기후변화 및 생물종 감소로 인한 생물자원의 체계적 보전 및 관리
• 세종시 도시개발면적의 52.3%를 공원 및 녹지 등 친환경적 공간으로 도시개발 사업을 통한 탄소중립형 세계적 모범도시 조성을 고려한 계획 수립
• 아름다운 녹색도시건설을 위하여 산림청, 건설청, LH공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목차 ... 5
  • 표목차 ... 23
  • 그림목차 ... 31
  • Ⅰ. 사업의 개요 ... 42
  • 1. 배경 및 목적 ... 44
  • 가. 계획의 배경 ... 44
  • 나. 계획의 목적 ... 44
  • 2. 사업의 범위 ... 45
  • 3. 사업의 추진경위 ... 46
  • 4. 사업수행절차 ... 47
  • Ⅱ. 현황여건검토 ... 48
  • 1. 행정중심복합도시 개황 ... 50
  • 가. 일반현황 ... 50
  • (1) 위치 ... 50
  • (2) 면적 ... 50
  • (3) 주요기능 ... 50
  • (4) 목표인구 ... 50
  • 나. 도시개념 ... 51
  • (1) 도시건설의 목표 ... 51
  • (2) 국제 공모 당선작 개념 ... 52
  • 다. 도시구조 ... 53
  • 라. 자연현황 ... 54
  • (1) 물리적 환경 ... 54
  • (2) 생태적 환경 ... 60
  • (3) 주변경관 ... 64
  • 마. 인문현황 ... 67
  • (1) 인구현황 ... 67
  • (2)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로 인한 영항예측 ... 68
  • (3) 행정중심복합도시 인구구조 추정 ... 69
  • 바. 행정중심복합도시 미래상 ... 70
  • (1) 도시건설의 정책목표 ... 70
  • (2) 도시건설의 기본목표 ... 71
  • (3) 교통분야 ... 72
  • (4) 공원·녹지분야 ... 73
  • (5) 환경·에너지분야 ... 73
  • 2. 사업대상지 현황 ... 74
  • 가. 대상지 현황 ... 74
  • (1) 일반현황 ... 74
  • (2) 지형·수계 ... 74
  • (3) 토양 ... 75
  • (4) 토질 ... 76
  • (5) 생태계 ... 77
  • (6) 수자원 ... 78
  • (7) 경관 ... 79
  • 나. 중앙녹지공간 ... 80
  • (1) 동선체계 ... 81
  • (2) 주차장계획 ... 82
  • (3) 자전거도로 및 대여소, 자전거주차장계획 ... 83
  • (4) 레벨계획 ... 84
  • 3. 관련계획 및 법규검토 ... 85
  • 가. 관련계획 검토 ... 85
  • (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 85
  • (2)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 ... 86
  • (3) 2020년 대전권 광역도시계획 ... 87
  • (4) 국가수목원 확충 기본계획 ... 88
  • 나. 관련법규 검토 ... 90
  • (1)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 90
  • (2) 기타 수목원 관련법규 ... 92
  • (3)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 93
  • (4) 기타 관련법규 ... 93
  • 4. 종합분석 ... 94
  • 가. 종합분석 ... 94
  • (1) 종합분석 ... 94
  • 나. SWOT 분석 ... 95
  • Ⅲ. 수목원의 개념 및 사례조사 ... 96
  • 1. 수목원의 개념 및 조성경향 ... 98
  • 가. 수목원의 정의 ... 98
  • 나. 수목원 조성역사 ... 98
  • 다. 수목원의 유형 및 역할 ... 99
  • 라. 수목원의 시설기준 ... 101
  • 마. 국내수목원 조성현황 ... 102
  • (1) 현황 ... 102
  • 2. 선진사례조사 ... 104
  • 가. 사례조사 개요 ... 104
  • (1) 목적 ... 104
  • (2) 사례조사 대상 선정 ... 104
  • (3) 선정사유 ... 104
  • 나. 국내 사례조사 ... 105
  • (1) 국립수목원(광릉) ... 105
  • (2) 대구수목원 ... 107
  • (3) 천리포수목원 ... 109
  • 다. 국외 사례조사 ... 111
  • (1) 영국 큐 왕립식물원 ... 111
  • (2) 독일 베를린 달렘식물원 ... 113
  • (3) 독일 뮌헨식물원 ... 115
  • (4) 중국 진산식물원 ... 117
  • 라. 국내 유사시설 사례조사 ... 119
  • (1) 환경부 국립생태원 ... 119
  • (2)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 121
  • 마. 국외 유사시설 사례조사 ... 123
  • (1) 영국 에덴프로젝트(Eden Project) ... 123
  • (2) 싱가폴 Gardens by the bay ... 125
  • 바. 종합 시사점 ... 127
  • Ⅳ. 미션 및 비전 설정 ... 128
  • 1. 미션 및 비전 설정과정 ... 130
  • 가. 미션 및 비전 설정과정 ... 130
  • (1) 미션 및 비전 설정과정 ... 130
  • (2) 수목원(식물원) 국제기준 ... 131
  • (3) 수목원(식물원) 패러다임의 변화 ... 133
  • (4) 유사 수목원(식물원)의 임무 ... 134
  • (5) 종합분석 ... 138
  • 나. 미션 및 비전 설정 ... 139
  • 다. 목표 및 실천계획 ... 140
  • (1) 친근하고 아름다운 온대중부권역 수목원 ... 141
  • (2) 즐겁고 행복한 도심형 수목원 ... 142
  • (3) 전통과 창조, 미래가치의 한국문화 수목원 ... 143
  • Ⅴ. 기본구상 ... 144
  • 1. 컨셉설정 ... 146
  • 가. 개발컨셉설정 ... 146
  • 나. 컨셉의 전개 ... 146
  • (1) Main 컨셉 ... 146
  • (2) Sub 컨셉 ... 146
  • 2. 수요추정 및 계획지표 산정 ... 147
  • 가. 이용객 설정 ... 147
  • 나. 이용객 수요추정 ... 148
  • (1) 기존 수요추정 검토 ... 148
  • (2) 수요추정의 방법 ... 148
  • (3) 부지규모 원단위에 의한 추정 ... 149
  • (4) 회귀분석에 의한 추정 ... 152
  • (5) 생태적 수용력에 의한 추정 ... 156
  • (6) 이용객 계획지표 산정 ... 157
  • 다. 주차수요추정 및 계획 ... 158
  • 3. 도입시설 선정 ... 159
  • 가. 도입시설 선정과정 ... 159
  • 나. 도입시설 선정 ... 162
  • 4. 공간구상 검토 ... 163
  • 가. 공간구상 기준 ... 163
  • 나. 대안검토 ... 164
  • 5. 기본구상 ... 165
  • Ⅵ. 기본계획 ... 166
  • 1. 식물생육기반 조성계획 ... 168
  • 가. 토공계획 ... 168
  • (1) 기본방향 ... 168
  • (2) 계획고 결정 ... 168
  • 나. 수체계 조성계획 ... 170
  • (1) 기본방향 ... 170
  • (2) 용수공급량 산정 ... 170
  • (3) 수질유지 방안 ... 173
  • 2. 시설 배치계획 ... 174
  • 3. 경관계획 ... 176
  • 가. 기본방향 ... 176
  • 나. 조망점 선정 ... 176
  • 다. 경관성 검토 ... 177
  • 4. 동선계획 ... 182
  • 가. 기본방향 ... 182
  • 나. 진·출입계획 ... 182
  • 다. 동선계획 ... 183
  • 5. 전시원 배치계획 ... 184
  • 가. 전시지구 배치계획 ... 184
  • (1) 기본방향 ... 184
  • (2) 배치개념 ... 184
  • (3) 전시지구별 배치계획(안) ... 185
  • 나. 주제원 배치계획 ... 186
  • (1) 배치개념 ... 186
  • 다. 주제원 배치 ... 187
  • (1) 한국전통정원 ... 187
  • (2) 분재원 ... 194
  • (3) 세계정원 ... 200
  • (4) 축제정원 ... 210
  • (5) 감각정원 ... 217
  • (6) 어린이정원 ... 229
  • (7) 치유원 ... 238
  • (8) 식물분류원 ... 245
  • (9) 유용식물원 ... 249
  • (10) 습지원 ... 256
  • (11) 치산녹화원 ... 265
  • (12) 온대중부도시림 ... 270
  • (13) 가로수원 ... 278
  • 6. 수변공간 활용계획 ... 285
  • 가. 기본방향 ... 285
  • 나. 수변공간 조성계획 ... 286
  • 다. 수변공간 활용계획 ... 288
  • 7. 주요시설계획 ... 291
  • 가. 기본방향 ... 291
  • 나. 컨셉 및 주요기능 ... 291
  • (1) 컨셉 ... 291
  • (2) 주요 배치계획 ... 292
  • 다. 방문자센터 ... 293
  • (1) 조성방향 ... 293
  • (2) 건축개요 ... 294
  • (3) 주요프로그램 ... 294
  • (4) 계획안 ... 296
  • 라. 다차원 생물다양성 돔 ... 300
  • (1) 조성방향 ... 300
  • (2) 건축개요 ... 301
  • (3) 주요프로그램 ... 301
  • (4) 계획안 ... 303
  • 마. 연구동 ... 306
  • (1) 조성방항 ... 306
  • (2) 건축개요 ... 307
  • (3) 주요프로그램 ... 307
  • (4) 계획안 ... 308
  • 바. 증식온실 ... 312
  • (1) 조성방향 ... 312
  • (2) 건축개요 ... 313
  • (3) 계획안 ... 313
  • 사. 산림역사박물관(제시) ... 315
  • (1) 조성방향 ... 315
  • (2) 건축개요 ... 316
  • (3) 주요프로그램 ... 316
  • (4) 계획안 ... 318
  • 8. 야간경관계획 ... 322
  • 가. 기본방향 ... 322
  •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 322
  • (2) 계획의 범위 ... 322
  • (3) 관련법령·KS기준 및 광원의 선정 ... 323
  • (4) 사례분석 ... 325
  • (5) 검토결과 ... 325
  • 나. 기본구상 ... 326
  • (1) 빛의 기본방향 ... 326
  • (2) 빛의 컨셉 ... 326
  • (3) 빛의 공간별 기본구상 ... 327
  • (4) 빛의 기본지침 ... 327
  • 다. 연출계획 ... 328
  • (1) 빛의 마스터플랜 ... 328
  • (2) 방문자센터 ... 329
  • (3) 다차원 생물다양성 돔 ... 329
  • (4) 산림역사박물관(제시) ... 329
  • (5) 조명기구 선정 ... 330
  • 9. 전기·정보통신 설비계획 ... 331
  • 가. 전기 기본설계 ... 331
  • (1) 기본방향 ... 331
  • (2) 설계 주안점 ... 331
  • (3) 설계 관련규정 및 법규 ... 331
  • (4) 에너지 설계 ... 332
  • (5) 전력 공급 설비 ... 333
  • (6) 발전기 설비 ... 336
  • (7)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전원공급장치) 설비 ... 336
  • (8) 전력 부하 설비 ... 337
  • (9) 동력 제어 설비 ... 338
  • (10) 통합시스템(SI : System Integration) 계획 ... 339
  • 나. 정보통신 기본설계 ... 340
  • (1) 기본방향 ... 340
  • (2) 설계 주안점 ... 340
  • (3) 설계 관련규정 및 법규 ... 340
  • (4) 통신선로 공급대상 ... 341
  • (5) 통신공급 배치계획 ... 341
  • (6) 통신수요 산정 ... 341
  • (7) 통합배선 설비 ... 343
  • (8) CATV 설비 ... 344
  • (9) 방송 설비 ... 345
  • (10) CCTV 설비 ... 346
  • (11) 주차관제 설비 ... 347
  • 10. 전기소방설비계획 ... 348
  • 가. 소방설비계획 ... 348
  • (1) 기본방향 ... 348
  • (2) 소방시설 ... 349
  • 나. 피뢰 및 접지설비계획 ... 350
  • (1) 피뢰설비 ... 350
  • (2) 접지설비 ... 350
  • 11. 기반시설계획 ... 351
  • 가. 토량 반입계획 ... 351
  • (1) 기본방향 ... 351
  • (2) 부지조성 계획 ... 351
  • (3) 부지조성 계획고 결정 ... 351
  • (4) 토량반입계획 ... 352
  • 나. 배수처리계획 ... 355
  • (1) 기본방향 ... 355
  • (2) 배수처리계획 ... 355
  • (3) 배수 관로 수리계산 ... 357
  • 다. 상수도계획 ... 359
  • (1) 기본방향 ... 359
  • (2) 일최대 상수량 ... 359
  • (3) 상수관망 계획 ... 360
  • 라. 하수도계획 ... 361
  • (1) 기본방향 ... 361
  • (2) 일최대 오수량 ... 361
  • (3) 계획관거 유량 계산 ... 362
  • 12. 특화계획 ... 363
  • 가. 친환경에너지 활용계획 ... 363
  • (1) 기본방향 ... 363
  • (2) 친환경요소 검토 ... 364
  • (3) 신·재생에너지 검토 ... 368
  • (4) 친환경 인증제도 ... 380
  • (5) 주요시설 친환경에너지 적용 ... 381
  • 13. AI(Aboretum Identification) 계획 ... 391
  • 가. 기본방향 ... 391
  • (1) 디자인 목표 ... 391
  • (2) 디자인 방항 ... 391
  • (3) 디자인 컨셉 ... 392
  • (4) 관련기관 AI 사례 ... 393
  • (5) 국립중앙수목원 AI 계획 제안 ... 395
  • Ⅶ. 프로그램계획 ... 396
  • 1. 식물연구 ... 398
  • 가. 기본방향 ... 398
  • 나. 국립수목원의 주요 임무 및 기능 ... 399
  • (1) 수목원의 기능 ... 399
  • (2) 국립수목원의 주요 임무 및 기능 ... 399
  • 다. 국립수목원의 연구 프로그램 ... 400
  • 라. 국립중앙수목원의 연구 프로그램 ... 402
  • (1) 연구방항 설정 ... 402
  • (2) 연구 프로그램 제안 ... 403
  • 2. 교육·체험 ... 405
  • 가. 교육·체험 기능 ... 405
  • 나. 기본방향 ... 405
  • 다. 국립수목원의 교육·체험 프로그램 ... 406
  • 라. 국립중앙수목원의 교육·체험 프로그램 ... 408
  • (1) 기본방향 ... 408
  • (2) 교육·체험 프로그램 제안 ... 408
  • 3. 국민참여 ... 422
  • 가. 기본방향 ... 422
  • 나. 해외사례 ... 423
  • (1) 미국 시카고식물원(Chicago Botanic Garden) ... 423
  • (2) 호주 왕립식물원재단(The Royal Botanic Gardens & Domain Trust) ... 427
  • (3) 호주 시드니왕립식물원(The Royal Botanic Garden Sydney) ... 428
  • (4) 호주 에덴가든(eden gardens) ... 429
  • 다. 국민참여 프로그램 ... 430
  • (1) 프로그램 방향 ... 430
  • (2) 국민참여 프로그램 제안 ... 430
  • 4. 전시관람 ... 433
  • 가. 기본방향 ... 433
  • 나. 전시관람 프로그램계획 ... 434
  • (1) 자유관람 ... 435
  • (2) 전시관람 ... 436
  • (3) 시설관람 ... 437
  • Ⅷ. 운영관리계획 ... 438
  • 1. 운영관리계획 ... 440
  • 가. 기본구상 ... 440
  • (1) 기본전략 ... 440
  • (2) 주요전략 ... 441
  • 나. 운영관리계획 ... 444
  • (1) 수목원의 홍보 및 사업지원 계획 ... 444
  • (2) 전시·교육 및 운영계획 ... 445
  • 2. 관리조직계획 ... 446
  • 가. 기존계획 검토 ... 446
  • 나. 국내·외 수목원 사례검토 ... 448
  • 다. 국랍중앙수목원의 조직 및 인력계획 ... 452
  • 라. 국립중앙수목원의 직무 강화(제안) ... 453
  • 3. 시설개방계획 ... 454
  • 가. 개방성 검토 ... 454
  • 나. 시설개방계획 ... 454
  • 다. 개방구역의 설정 ... 455
  • 4. 전시원 관리계획 ... 456
  • 가. 주제원 관리계획 ... 456
  • (1) 기본방향 ... 456
  • (2) 연간 관리 계획 ... 456
  • (3) 주제원별 관리계획 ... 461
  • 나. 다차원 생물다양성 돔 관리계획 ... 462
  • (1) 기본방향 ... 462
  • (2) 분야별 관리계획 ... 462
  • (3) 연간 관리 계획 ... 464
  • 5. 분야별 관리계획 ... 465
  • 가. 식물자원 관리 ... 465
  • (1) 식물유전자원 관리 ... 465
  • (2) 식물관리 ... 465
  • 나. 시설자원 관리 ... 466
  • (1) 시설관리 ... 466
  • 다. 관람객 관리 ... 468
  • 라. 관광정보 관리 ... 469
  • 6. 사후 관리계획 ... 470
  • 가. 기본방향 ... 470
  • 나. 사후관리비용 유형 ... 470
  • 다. 유지관리비용저감계획 ... 471
  • 7. 식물 수급계획 ... 472
  • 가. 기본방향 ... 472
  • 나. 식물수집형태 ... 472
  • 다. 식물수급계획 ... 473
  • 라. 식물수급지침 ... 474
  • Ⅸ. 경제성 분석 ... 476
  • 1. 경제적 타당성 분석 ... 478
  • 가. 총사업비 추정 ... 478
  • (1) 기본방향 ... 478
  • (2) 총괄 투자비 산정 ... 478
  • (3) 사업추진일정 ... 479
  • (4) 연차별 투자계획 ... 479
  • 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480
  • (1) 전제조건 ... 480
  • (2) 기본가정 ... 480
  • (3) 분석방법 ... 481
  • (4) 분석절차 ... 482
  • (5) 분석체계 ... 482
  • (6) 편익의 추정 ... 482
  • (7) 비용의 추정 ... 485
  • (8) 감가상각비 및 잔존가치 ... 486
  • (9) 경제적 타당성 분석결과 ... 487
  • Ⅹ. 사업운영계획 ... 494
  • 1. 사업추진계획 ... 496
  • 가. 기본전제 ... 496
  • 나. 단계별 추진방안 ... 496
  • 2. 사업운영방안 검토 ... 497
  • 가. 기본전제 ... 497
  • 나. 직영운영방식 검토 ... 497
  • (1) 정의 ... 497
  • (2) 한계 ... 497
  • 다. 민간위탁운영 검토 ... 498
  • (1) 정의 ... 498
  • (2) 유형 ... 498
  • (3) 민간위탁운영방식의 효과 및 문제점 ... 500
  • 라. 운영방식 검토 ... 500
  • 3. 관광·홍보마케팅 계획 ... 501
  • 가. 기본방향 ... 501
  • 나. 전략수립체계 ... 502
  • 다. 장소 활용계획 ... 503
  • 라. 인적콘텐츠 활용계획 ... 504
  • 마. 대중매체 활용계획 ... 505
  • 바. 동절기 활성화계획 ... 507
  • 사. 시기별 홍보·마케팅계획 ... 508
  • 4. 지역 파급효과 분석 ... 510
  • 가. 분석방법 ... 510
  • 나. 개발사업의 유발계수 ... 511
  • 다. 총 투자비 ... 512
  • 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 512
  • 5. 관광지출 파급효과 ... 513
  • 가. 전제사항 ... 513
  • 나. 분석방법 ... 513
  • 다. 분석결과 ... 513
  • XI. 부록 ... 514
  • 1. 주요의견 및 반영결과 ... 518
  • 2. 국제심포지엄 개최결과 ... 574
  • 3. 선진사례조사 ... 584
  • 4. 토양조사보고서 ... 676
  • 5. 토질조사보고서 ... 702
  • 6. 시설 배치 세부계획 ... 714
  • 끝페이지 ... 71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