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구강환경 제어용 기능성 매식치 융·복합 기초연구실 |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민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5 |
과제시작년도 | 2016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등록번호 | TRKO201800004577 |
과제고유번호 | 1711037413 |
사업명 | 집단연구지원 |
DB 구축일자 | 2018-04-28 |
키워드 | 구강환경.기능성 매식치.기능성물질 탑재.표면개질.매식치 세균막.생체적합성.안전성평가.Oral environment.Functional implant.Functional material loading.Surface modification.Implant biofilm.Biocompatibility.Safety evaluation. |
○ 매식치와 관련된 구강환경변화의 원인을 구명(究明)하고, 기능저하 및 손상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제어용 기능성 매식치를 개발하는데 최종목표가 있음.
○ 본 과제의 성공적 목표달성을 위하여 기능성 매식치 개발을 위한 재료학적 접...
○ 매식치와 관련된 구강환경변화의 원인을 구명(究明)하고, 기능저하 및 손상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제어용 기능성 매식치를 개발하는데 최종목표가 있음.
○ 본 과제의 성공적 목표달성을 위하여 기능성 매식치 개발을 위한 재료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미생물학적, 분자생화학적, 독성학적 연구를 체계적/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차세대 환경제어용 기능성 매식치 개발을 선도하고자 함.
(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ral environment-regulating functional implant by identifying the causes of i...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ral environment-regulating functional implant by identifying the causes of its related physiological changes
●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ew generational implant through systemic approaches on dental material, microbiology, biochemistry and toxicology
contents
1) First stage (2014-2016)
● Basic research on implant-related oral environmental changes
● Basic research on the functional implants regulating oral environment
● Optimization of functional implants and mechanistic study
2) Second stage (2017-2018)
● Optimization of implant-applicable functional materials and establishment of animal model
● The research on the combinational efficiency of functional implants and its safety
Developement results
● Study of functional implant by surface modification for regulating the oral environment
- It was confirmed that thermal oxidation films formed at 650 ℃ or higher temperature had higher stability and bioactivity by the study on the heat treatment of Ti–15Mo alloy for increasing the bioactivity of implant.
- It was identified that complex treatment using alkali and acid solutions effectively contributed to the bioactivity by the study on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i for ensuring long-term bond strength.
● Development of anti-cariogenic and anti-perocoronitis target on implants through studying on the virulences of biofilms
- Identification of plant components that can inhibit acid production, proton permeability, and F-ATPase activity of biofilms.
- Establishment of the mechanisms related to biofilm virulence factor inhibition, especially gene secretion.
- Inhibition effects of the identified components 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and composition of biofilms in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study.
- Selection of anti-cariogenic and anti-perocoronitis target.
● Evaluation of bone regeneration materials (include genes) on titanium surface or implants
-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characters (PPARγ, IGFBP-3, c-myb) which has bone growth, anti-inflammation and biocompatibility against alveolar bone.
- Establishment of bone growth compounds such as sodiun acetyl cysteine, Terrein, Davallialactone which has to increase bone biocompatibility on titanium surface to osteoblast cells.
● Identification of the role of receptor-interacting protein (RIP2), an adaptor molecule of NOD1/2 receptor in the periodontitis
- Identification of the effects of RIP2 on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α in toll- like receptor-deficient macrophages.
- Confirmation of MAPK activation in F. nucleatum–infected macrophag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gainst F. nucleatum infection.
Expected Contribution
● Enforcement of BT industries-relate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establishing a basic research on next-generation functional implants
● Contribution to the oral hygiene and quality of life through extended application of the implants for aged people or chronic patients
● Expansion of medical instrument market scale to 40 billion dollar-scale market and the entry of “bone-anchored implant” called field related to plastic surgery, ENT and etc.
( 출처 : SUMMARY 5p )
참여 연구원 |
---|
구강환경 제어용 기능성 매식치 융·복합 기초연구실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책임연구자 :
이민호
발행년월 : 2017-05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