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환 관련 miRNA 발굴을 위한 miRNAseq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miRNAseq data to identify disease-related miRN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림대학교
HalLym University
연구책임자 조윤신
참여연구자 임지선 , 박종훈 , 권호정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1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800009566
과제고유번호 1711003856
사업명 바이오·의료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8-05-26
키워드 차세대염기서열분석.miRNA 타겟 유전자.miRNA 타겟 예측.차별발현 miRNA.질환후보유전자.microRNA.microRNA-sequencing.Next Generation Sequencing.Cyst formation.ADPKD.Phenotype.Mouse model.Kidney function.Gene express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9566

초록

본 세부과제는 다요인성 질환의 분자생물학적 원인 규명의 일환으로 생산된 miRNA 시퀀싱 데이터의 분석 pipeline 구축을 최종 목적으로 하여 (1) 질환 모델로부터 total miRNAs의 발굴, (2)질환 관련 후보 miRNAs 발굴 그리고 (3) 질환 관련 후보 miRNAs의 타겟유전자 예측 의 3개 세부목표를 설정하여 진행하였음. 1단계 연구에서는 제1세부과제의 두 가지 대표적인 다낭신 마우스 모델인 Pkd1 conditional knockout (cKO) 마우스 및 Pkd2 cKO 마우스를 이용하여 낭포형성 관련 miR

Abstract

Ⅳ. Results
(1) Isolation of total miRNA from the disease model system
- miRNA-seq data were obtained from ADPKD mouse and UQCRB mutant cell line
- Quality control (QC) standard was determined by excluding miRNAs with group average read count less than 10.
- Quantile method was selected 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 약 문 ... 4
  • SUMMARY ... 6
  • CONTENTS ... 8
  • 목차 ... 9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0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 10
  •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10
  •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 11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3
  • 제1절 세계적 수준 ... 13
  • 제2절 국내수준 ... 14
  • 제3절 본 연구결과의 위치 ... 15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6
  • 제1절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 ... 16
  • 제2절 연구내용 및 결과 ... 18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7
  • 제1절 연도별 연구목표 ... 27
  • 제2절 연구개발목표의 평가 ... 27
  •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28
  • (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29
  • (3) 계획대비 달성도 ... 30
  • (4) 세부연구목표 ... 31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2
  • 제1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32
  • 제2절 다른 연구에의 응용 및 기업화 추진방안 ... 32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3
  • 제1절 miRNA 관련 연구 ... 33
  • 제2절 차세대염기서열 관련 연구 ... 34
  • 제7장 연구시설ㆍ장비 현황 ... 36
  • 제1절 도입ㆍ개발한 연구시설ㆍ장비 현황 ... 36
  • 제8장 참고문헌 ... 37
  • 끝페이지 ... 39

표/그림 (2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