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 리스크 정량화 연구(Ⅲ) : 연안시스템을 중심으로
Study on Quantifying Risk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Ⅲ: Focusing on Korean Coastal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조광우
참여연구자 이해미 , 박주형 , 서진성 , 박선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14461
DB 구축일자 2018-06-02
키워드 기후변화.해수면 상승.연안시스템.리스크.적응.Climate Change.Sea Level Rise.Coastal System.Risk.Adaptat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14461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인간시스템의 사회·경제적 영향의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체계 구축을 통하여 기후변화 적응의 과학적 기반 구축 및 국가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3차년도(2016년)에는 우리나라의 사례지역(목포, 통영, 마산)을 대상으로 연안시스템에 대한 기후변화 리스크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산업혁명 이후 시작된 기후변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그로 인해 기존의 기후에 기초한 연안시스템은 국내·외적으로 높은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극단적 해수면 상승 영향 분석을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a scientific foundation for and to support polici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by formulating a system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risks posed by human system’s socioeconomic effects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Accordingly, quantitative evaluatio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4
  • 제1장 서 론 ... 19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9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0
  • 제2장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시스템의 잠재 리스크 ... 23
  • 1. 태풍해일 특성 ... 23
  • 2. 현재의 태풍 및 조위 상승으로 인한 리스크 ... 28
  • 3. 해수면 상승에 따른 태풍해일 빈도 변화 ... 33
  • 4.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잠재 리스크 ... 38
  • 제3장 주요 연안시스템의 정량적 리스크 평가 ... 51
  • 1. 개요 ... 51
  • 2. 목포 ... 96
  • 3. 통영 ... 111
  • 4. 마산 ... 126
  • 5. 리스크 함수 비교 ... 142
  • 제4장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관리체계 방안 ... 144
  • 1. 개요 및 문제 정의 ... 144
  • 2. 국제기구 및 주요국 리스크 평가체계 현황 ... 149
  • 3.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관리체계 ... 170
  • 제5장 결론 및 제언 ... 179
  • 참고문헌 ... 181
  • 부록 ... 191
  • 부록Ⅰ. 미래기후 리스크 평가 (Assessing Future Climate Risks) ... 193
  • 부록Ⅱ.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가이드 (A Guide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Risk) ... 227
  • Abstract ... 261
  • 끝페이지 ... 280

표/그림 (15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