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태지역 녹색경제 이행과 메콩유역 농업부문 융합혁신 전략 연구
Green Economy Transi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Convergence Innovation Strategies for Agricultural Sector in the Mekong Basi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강상인
참여연구자 조을생 , 허장 , 이대섭 , 정학균 , 박준현 , 제갈운 , 김세원 , 김완배 , 김태윤 , 안동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14478
DB 구축일자 2018-06-02
키워드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녹색경제 전환.메콩유역 농산업 발전전략.융합혁신.스마트농업.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Green Economy Transition.Mekong Basin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y.Convergence Innovation.Smart Agriculture.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14478

초록

본 연구는 2014년부터 진행된 KEI 녹색경제 협동연구의 일부로 녹색경제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 것이다. 2016년 연구에서는 아태지역 내 주요 개발 도상국들의 녹색경제 전환을 위한 정책동향 분석을 첫 번째 목표로 한다. 연구의 두 번째 목표는 메콩유역 국가인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의 농산업부문의 융합혁신을 통한 녹색경제 성장전략 연구이다. 이 같은 두 개 연구목표의 설정은 본 연구의 기획 과정에서 녹색경제 확산이라는 포괄적 협동연구 주제와 메콩지역에 대한 심층연구를 함께 다루도록 결정된 것에 기인한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KEI Green Economy Cooperative Research from 2014 to seek international cooperation methods for the proliferation of green economy. The first research objective of the 2016 study is to analyze policy trends for the transition of green economy to major developi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언 ... 5
  • 국문요약 ... 7
  • 목차 ... 11
  • 표목차 ... 12
  • 그림목차 ... 13
  • 제1장 서 론 ... 15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5
  • 2. 연구의 구성 및 내용 ... 17
  • 제2장 아태지역 녹색경제 이행과 SDGs ... 20
  • 1. 물, 에너지, 농산업부문 UN SDGs 목표와 녹색경제 ... 20
  • 2. 아태지역 녹색경제 전환정책 동향 ... 27
  • 3. 녹색경제 이행 재원과 개발 및 기후금융 ... 44
  • 제3장 메콩유역 농산업부문 녹색경제 이행 여건 ... 52
  • 1. 메콩지역 3국의 거시경제와 농업 현황 ... 53
  • 2. 메콩지역 3국의 농산업 발전 정책 현황 ... 66
  • 3. 메콩 3국의 농업가치사슬과 스마트농업 수요 ... 77
  • 4. 녹색경제 전환을 위한 농업부문 융합혁신정책 제언 ... 85
  • 제4장 요약 및 정책 제언 ... 90
  • 1. 요약 ... 90
  • 2. 정책 제언 ... 93
  • 참고문헌 ... 97
  • 부록 ... 103
  • 부록Ⅰ.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세부이행과제 ... 105
  • 부록Ⅱ. 융합혁신 사례 ... 139
  • Abstract ... 175
  • 끝페이지 ... 194

표/그림 (4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