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
연구책임자 |
김학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2 |
과제시작연도 |
2017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
등록번호 |
TRKO201800022773 |
과제고유번호 |
1711062324 |
사업명 |
한국기계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
DB 구축일자 |
2018-06-16
|
키워드 |
정전.미세먼지.제거장치.이온방출.건조기.electrostatic.Fine particle.Removal.Ion emission.Dryer.
|
초록
▼
ㅇ 이온스프레이 건조기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설계, 디자인 완료
ㅇ 기초 복합 장치 제작 및 성능 평가
ㅇ 인가전압, 이온스프레이 유무, 입자 종류 등 따른 이온발생량, 전기소모량, 집진성능 분석 및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ㅇ 상용급 요소 부품 최적화 설계 및 제작기술 확보
ㅇ 이온분무장치, 집진부, 파워팩, 제어보드 등 전기, 전자 부품 최적화 및 대량 생산화 기술 확보
ㅇ 팬, 홀더 등 기계 부품 최적화 및 대량 생산화 기술 확보
ㅇ 하우징, 외형 디자인 등 상용 모델 최종 디자인 도출
ㅇ
ㅇ 이온스프레이 건조기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설계, 디자인 완료
ㅇ 기초 복합 장치 제작 및 성능 평가
ㅇ 인가전압, 이온스프레이 유무, 입자 종류 등 따른 이온발생량, 전기소모량, 집진성능 분석 및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ㅇ 상용급 요소 부품 최적화 설계 및 제작기술 확보
ㅇ 이온분무장치, 집진부, 파워팩, 제어보드 등 전기, 전자 부품 최적화 및 대량 생산화 기술 확보
ㅇ 팬, 홀더 등 기계 부품 최적화 및 대량 생산화 기술 확보
ㅇ 하우징, 외형 디자인 등 상용 모델 최종 디자인 도출
ㅇ 2 EA 이상 워킹 목업 제작 및 규격 챔버 활용 최종 성능 평가
♦ 약 25분 후 초미세먼지 포집효율 90% 이상 달성 (한국공기청정협회 규격 시험)
♦ 이온발생량 cc당 최대 2,000만개 이상 방출 (한국공기청정협회 규격 시험)
♦ 건조장치 전기 소모량 약 1590 W 소모 (에너지효율 시험 규격)
ㅇ 이온분무장치, 비금속집진장치, 파워팩, 팬 등 요소 부품 내구성 검토 및 최종모델 선정
ㅇ 상용급 최종 모델 개발 완료
( 출처 : 최종보고서 요약 3p )
Abstract
▼
Recently, market size of air purifier became bigger as public interest in air quality,especially as relates to airborne particles, has greatly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ovel hybrid air purifier which combine the ion spray type drying technology wi
Recently, market size of air purifier became bigger as public interest in air quality,especially as relates to airborne particles, has greatly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ovel hybrid air purifier which combine the ion spray type drying technology with high integrated non metallic flat plate type electrostatic dust removal technology. We successfully developed commercial model of ultra fine fiber type dust removal device which can remove 90% of 0.3 micron particles at the 8 m3 chamber with 25 minute of continuous operation.
The size of device is 140 x 140 x 110 mm. Ion concentration emitted from device was over 20 millions per cubic centimeter. In case of ultra fine fiber ion spray type dryer, power consumption was 1580 W. During the development of novel dust removal device, various related technologies were patented and transfer to participating company successfull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ales of participating company will increase. Additionally, we will expand this unique technology from small air purifier to midium or above size air purifier based on results of this project.
Because, this technology is world leading electrostatic particle removal technology, we expected it can be exported to many countries suffered by serious dust problems such as China, India, the Middle East, and so on.
( 출처 : SUMMARY 7p )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최종보고서 ... 3
- 요 약 문 ... 4
- SUMMARY ... 7
- CONTENTS ... 8
- 목차 ... 9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0
- 1. 연구개발의 목적 ... 10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범위 ... 10
- 가. 개발의 필요성 ... 10
- 나. 개발의 범위 ... 1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7
- 1. 국내외 기술 현황 ... 17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5
- 1. 건조장치 복합 이온스프레이 모사품 제작 및 평가 ... 25
- 2. 하전부 분리형 소형 전기집진기 유닛 설계, 제작 및 평가 ... 26
- 3. 극세사 이온스프레이 결합형 미세먼지 제거기 설계, 제작 및 평가 ... 30
- 4. 극세사 이온스프레이 건조장치 디자인, 상세 설계 및 시제품 제작 ... 32
- 5. 극세사 이온스프레이 결합형 미세먼지 제거기 디자인, 상세 설계 및 시제품 제작 ... 37
- 6. 최종 상용화 모델에 대한 최종 평가 및 상용화 모델 개발 ... 42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58
- 1. 목표달성도 종합 ... 58
- 가. 최종 연구목표 대비 진척도 ... 58
- 나. 당해 연구목표 대비 진척도 ... 59
- 다. 기술적 성과 ... 59
- 라. 정량적 성과 ... 60
- 마. 대내외 융합연구 또는 연구협력 실적 ... 62
- 2. 관련분야에의 기여 ... 62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63
- 제6장 연구시설·장비 현황 ... 64
- 제7장 참고 문헌 ... 65
- 끝페이지 ... 6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