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예측 지원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Climate Change Predic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기상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연구책임자 변영화
참여연구자 강현석 , 부경온 , 이조한 , 현유경 , 심성보 , 김영미 , 이윤복 , 전선옥 , Tetsuo Nakazawa , 이상민 , 이재희 , 권상훈 , 김병현 , 김지선 , 이철 , 김진욱 , 박진경 , 선민아 , 성현민 , 신석우 , 신소정 , 임소민 , 홍송이 , 허태경 , 이해주 , 이현정 , 정효정 , 장동일 , 김창기 , 조판홍 , 김인혜 , 김지은 , 임동희 , 안용준 , 김균태 , 이수용 , 허종민 , 구태영 , 오영석 , 김가원 , Samuel Takele Kenea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800035565
과제고유번호 1365002291
사업명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DB 구축일자 2018-07-21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5565

초록

Ⅳ. 연구 내용 및 결과
IPCC 6차 평가보고서(이후 IPCC AR6)를 위한 새로운 국제표준이 마련됨에 따라, 국립기상과학원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영국기상청의 UM (Unified Model)을 기반으로 하는 독자 지구시스템모델 K-ACE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체계를 구축하고 모델 성능개선연구를 하였다.

• 지구시스템모델(K-ACE, KMA’s Advanced Climate Earth System Model)의 수행체계를 개선하고 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 효율성 및 편의성을 고

Abstract

Ⅳ.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NIMS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has developed the K-ACE which are based on UM (Unified Model) of the UK MetOffice to participate in CMIP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th phase). Based on K-ACE, a new climate change scenario process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 보고서 ... 3
  • 목차 ... 5
  • 표목차 ... 7
  • 그림목차 ... 8
  • 요약문 ... 14
  • Executive Summary ... 19
  • 제 1 장 서론 ... 25
  • 제 2 장 지구시스템 모델 개발 ... 27
  • 제 1 절 지구시스템모델 개발과 실험 환경 구축 ... 27
  • 1. 기상청 지구시스템모델(K-ACE) 수행체계 개선 ... 27
  • 2. K-ACE를 이용한 CMIP6 실험 수행체계 구축 ... 29
  • 3. 영국기상청 지구시스템모델(UKESM) ... 30
  • 제 2 절 지구시스템모델을 이용한 화산 에어로졸의 영향분석 ... 36
  • 1. 연구배경 및 실험설계 ... 36
  • 2. 화산실험 결과 ... 37
  • 제 3 절 기후모델자료 관리시스템 개선 ... 39
  • 1. 시스템 개요 ... 39
  • 2. 시스템 활용 ... 40
  • 제 3 장 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42
  • 제 1 절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백업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42
  • 1. 시스템 개요 ... 42
  • 2. BANMOS를 통한 실험모니터링 ... 43
  • 제 2 절 ESMValTool을 활용한 CMIP5모델 성능평가 ... 46
  • 제 3 절 동아시아 강수량에 대한 과거와 미래 육지 증발량의 영향 ... 49
  • 1. 동아시아 육지수분 재사용율 ... 49
  • 2. RCP8.5에 따른 미래 육지수분 재사용율의 변화전망 ... 51
  • 제 4 절 CMIP5자료를 활용한 동아시아 여름몬순전망 ... 53
  • 1. 여름우기 시종일과 대기순환의 모의성능 ... 54
  • 2. RCP8.5에 따른 동아시아 여름 우기의 미래 변화 전망 ... 57
  • 제 5 절 바이오매스 에어로졸 배출에 따른 과거기후영향 평가 ... 58
  • 제 6 절 CORDEX-East Asia Phase-Ⅱ 개요 및 실험·분석 ... 64
  • 1. HadGEM3-RA 과정 구축 및 추진 계획 ... 64
  • 2. HadGEM3-RA를 이용한 지역기후 모의실험 및 분석 ... 69
  • 제 4 장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73
  • 제 1 절 장기예측시스템 특성 분석 ... 73
  • 1. 대기/해양-해빙 초기자료 차이에 따른 민감도 평가 ... 73
  • 2. 지상기온 및 강수 확률예보 검증 및 신뢰도 평가 ... 78
  • 3. 동아시아 열대성 저기압 예측성 평가 ... 82
  • 제 2 절 S2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계절예측 성능 검증 ... 93
  • 1. 북극 해빙 예측성 검증 ... 93
  • 2. 동아시아 여름몬순 예측성 검증 ... 98
  • 제 5 장 탄소추적시스템 개발 및 온실가스 위성 활용 기술 개발 ... 106
  • 제 1 절 탄소추적시스템 기반 탄소의 흡수·배출·순환 특성 ... 106
  • 1. 전지구 이산화탄소 흡수·배출량 산출 ... 106
  • 2. 탄소추적시스템과 CMIP5 모델의 기후변동성에 따른 육상 탄소순환의 반응 ... 108
  • 제 2 절 온실가스 위성 지상검증 기술개발 ... 113
  • 1. FTS 운영 및 정확도 평가 ... 113
  • 2. FTS 교정기기 및 활용기술 개발 ... 115
  • 3. 지상원격관측 FTS 자동화 기반구축 ... 118
  • 제 3 절 온실가스 위성 활용기술 개발 ... 120
  • 1. 온실가스 위성(OCO-2, GOSAT) 지상검증 및 특성분석 ... 121
  • 2. 한반도 지역 OCO-2 위성 CO2 특성분석 ... 122
  • 3. OCO-2 위성 자료 수집 및 DB 구축 ... 126
  • 제 6 장 결론 ... 131
  • 참고 문헌 ... 133
  • 끝페이지 ... 137

표/그림 (8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