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최재용
|
참여연구자 |
김경훈
,
김용규
,
허영진
,
강인권
,
김상호
,
임형신
,
이원상
,
고정현
,
송민정
,
양태진
,
박지영
,
이윤선
,
조호준
,
강신재
,
김인서
,
박관수
,
이상진
,
이항구
,
장관우
,
송지혜
,
송윤주
,
박환우
,
전나영
,
유태석
,
박대연
,
이민영
,
김태신
,
장혜식
,
최성민
,
박현숙
,
유재심
,
이상혁
,
손알리사
,
최원태
,
이상미
,
지승용
,
이보휘
,
최성민
,
황별
,
이상훈
,
이솔애
,
박병배
,
백민현
,
성현찬
,
강다인
,
김기현
,
김수련
,
나슬기
,
황소영
,
김남춘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6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800037767 |
과제고유번호 |
1485013856 |
사업명 |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8-09-01
|
키워드 |
생태복원.평가지표.훼손지.DMZ.RESTORATION.ASSESSMENT INDICATOR.DAMAGED AREA.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7767 |
초록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DMZ 일원의 자연환경 현황에 대한 조사 및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DMZ의 생태적 가치에 상응하는 복원계획 및 기술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훼손지 복원공사 또는 생태복원 조성시 현지환경에 적합한 원식생으로의 복원이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DMZ특성에 부합되는 맞춤형 생태복원 기술의 개발 및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개발이 필요하다.
연구개발 결과
복원지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밀한 평가가 가능하면서 생태적인 안정성과 주변 경관과의 연계성이 적절하게
개발 목적 및 필요성
DMZ 일원의 자연환경 현황에 대한 조사 및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DMZ의 생태적 가치에 상응하는 복원계획 및 기술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훼손지 복원공사 또는 생태복원 조성시 현지환경에 적합한 원식생으로의 복원이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DMZ특성에 부합되는 맞춤형 생태복원 기술의 개발 및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개발이 필요하다.
연구개발 결과
복원지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밀한 평가가 가능하면서 생태적인 안정성과 주변 경관과의 연계성이 적절하게 평가될 수 있는 평가지표의 발굴과 이들로 구성된 평가표의 개발이다. 개발된 39개의 평가지표는 복원사업지의 토양과 식생, 생육환경 및 경관에 대한 종합적이고 세밀한 평가가 가능하다. DMZ 일원의 훼손 원인과 영향을 기준으로 훼손지 유형화 및 표준화하여 향후 생태적 복원 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하고자 하며, 또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지표가 구성되었기 때문에, 훼손이 발생한 상황과 복원사업 이후의 상황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데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불어 동일한 평가시스템 상에서 복원사업평가와 후속 모니터링 작업이 자연스럽게 연계되기 때문에, 복원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훼손 현황조사 및 유형분류는 1차 년도에 DMZ일원의 기존 훼손지의 유형, 현행 복원 기술의 현황, 유형에 따른 평가, 복원 평가를 위한 지표 발굴, 복원모델 개발을 위한 모니터링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2차 년도는 DMZ일원 훼손지를 생태복원과 연계하여 재분류하고, 복원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지표를 선정하여 복원 목표를 설정하는 기법을 개발한다. 또한 DMZ일원 및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조사를 확대하여 유형별 현장시공을 점검하고 복원모델을 평가한다. 3차 년도는 DMZ 일원 및 생태경관 보존지역의 훼손지 및 복원관련 DB를 구축하여 모니터링 리스트를 활용하여 복원목표를 평가하고 검증한다.
개발된 평가지표는 표준화하여 복원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생태복원 평가표는 평가분야, 평가새분야, 평가지표, 평가배점과 평가결과로 구성하였고, 가중치와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를 적용하였다. 평가분야는 토양환경, 식생생장 및 구조, 생육환경, 경관구조 및 기능의 4개 분야로 구분하고, 각 평가분야에 대해 AHP 분석 결과로 얻어진 가중치를 훼손지유형별로 표기하였다. 각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는 훼손지유형별, 평가시기별 평가지표의 대표성을 근거로 산출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도는 복원의 목표에 따라 평가가 불가능할 경우, 0점으로 조정할 수 있는 등 총 12개의 평가표가 완성되었다. 완성된 평가표는 2차 전문가 자문을 거쳐 추가적인 수정 보완하였다.
성능사양 및 기술개발 수준
종자코팅 및 펠렛기술은 토양이 건조한 비탈면 복원에서 식생유기블록제작, 식생면네트 공법 등에 활용하여 해외기술의 현지화에 중점을 둔 케이스 이다.
순응적 관리기법 제안은 지역 특화형 순응적 자연관리 계획의 일환으로 관리행정 및 관리비용을 줄이고, 지역 실정에 적합한 적응적 관리방안이다. 간편 모니터링 매뉴얼은 USDA나 UK에서 활용하는 Rapid Monitoring 야장 및 평가 기술과 동일수준에 접근하였다.
활용계획
○ 정책적 활용
- 자연환경보전사업 설계 가이드라인
- 생태복원사업 모니터링 가이드라인
- 순응적 관리기법 제안
- 간편 모니터링 제
○ 활용성
- 자연환경보전사업을 시행할 때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종자코팅 및 펠렛기술을 적용하여, 식생유기블록 제작, 식생면네트 활용 등을 통해 훼손지의 조기녹화를 유도, 토양안정, 복원공사 비용과 공사기간 단축
- DMZ일원의 훼손에 특화된 생태복원 체계 개발로 접근 불능지 혹은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남아있는 DMZ일원, 국립공원, 백두대간 등 생태적 민감도가 높은 지역의 생태복원에 활용
- 간편 모니터링 야장을 활용하여 생태복원을 관리하는 행정가, 복원과 관련된 활동을 하는 NGO, 자연환경관리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등이 생태복원 현황을 쉽게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현장 활용성 강화
- 생태복원은 자연의 비가역성과 불가역성 때문에 원래 의도한대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계의도대로 자생종이 자라지 않고 주변의 또다른 자생종이 침입하여 복원현장을 우점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순응적 관리방안은 자연환경 관리의 실용성과 구체성을 높일 것임
(출처 : 요약서 6p)
Abstract
▼
Ⅳ. Results
○ DMZ area Damage DB
- Establishment of the damage type DB which compiles the damaged data in the literature and the damaged data in the field survey
○ Evaluation of domestic ecological restoration site technology
- Preparation of the technical evaluation including restora
Ⅳ. Results
○ DMZ area Damage DB
- Establishment of the damage type DB which compiles the damaged data in the literature and the damaged data in the field survey
○ Evaluation of domestic ecological restoration site technology
- Preparation of the technical evaluation including restoration goal, restoration method and monitoring technique of the existing ecological restoration site
- Derivation of method applied to ecological restoration such as soil stabilization method and surface stabilization method
- supplementing the technology to be applied to construc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test specialized for DMZ area
○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according to type of damage
- Based on the literature and on-site surveys, the evaluation indicator that evaluates domestic ecological restoration is extracted by the type of damage
- The extracted evaluation index is re-evaluated by the expert questionnaire and selected a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 appliying Evaluation indicators to ecological restoration test of the DMZ
- implementing & evaluation field simple monitoring for DMZ area and ecological restoration test site
○ Develop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technique specialized for DMZ
- Includes types of damage, restorative materials, restoration goals, and techniques for evaluating goals.
Make Reports on the type of damage
-Create a table to set and estimate quantitative restoration goals
-Pre-implementation monitoring, implementation monitoring and effectiveness monitoring method description
- simple monitoring field note development
○ Deriving evaluation model of DMZ and ecological landscape preservation area
- Evaluation of four areas: Soil environment (surface layer loss, soil pollution, soil chemical change), vegetation growth and structure (vegetation decline, vegetation degradation, vegetation cover degree), growth environment (biodegradation, , Deriving landscape structure and function (threat factor, surrounding land use, damaged area and ratio)
- Develop restoration priority table
- Development of a simple monitoring field note that evaluates four items of soil, vegetation growth, growth environment and landscape
- Creating a simple monitoring manual
○ Introduction of adaptive management concept
- Introduction of site-adaptive management technique with customized ecosystem restoration and customized evaluation method specialized in DMZ
(출처 : SUMMARY 17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최종보고서 제출서 ... 2
- 제 출 문 ... 3
- 요 약 서 ... 6
- 요 약 문 ... 10
- SUMMARY ... 15
- 목차 ... 20
- 표목차 ... 23
- 그림목차 ... 27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1
- 1-1. 연구개발 필요성 ... 33
- 1-2. DMZ 일원 현황 ... 41
- 1-3. 훼손관련 선행연구 ... 50
- 1-4. DMZ 일원 훼손의 영향 ... 66
- 1-5. 훼손지 생태복원 사례 분석 ... 91
- 1-6. 종합 분석 ... 104
- 2. DMZ 훼손유형 분류 및 복원모형 구축 ... 105
- 2-1. 훼손지 현장조사 ... 105
- 2-2. 훼손유형 도출 ... 128
- 2-3. 훼손 유형에 따른 생태복원 적용 ... 153
- 2-4. 종합분석 ... 172
- 3. 생태복원지 평가지표 개발 ... 173
- 3-1. 평가지표 개발 ... 173
- 3-2. 전문가 설문 결과 ... 184
- 3-3. 생태복원 평가지표 검증 ... 193
- 3-4. 순응적 관리방안 ... 211
- 3-5. 종합분석 ... 221
- 4. 결론 및 제언 ... 222
- 5.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228
- 6.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231
-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 235
-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 장비현황 ... 239
-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 243
- 9-1. 안전관리 현황 ... 245
- 9-2. 안전교육 실시 ... 246
- 9-3. 안전관련 예산 ... 246
- 9-4. 유해물질 및 위험기계·기구 ... 246
- 9-5. 정밀 안전진단 결과 ... 246
-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 253
- 11. 참고문헌 ... 257
- 12. 기타사항 : 부록 및 첨부자료 ... 263
- 끝페이지 ... 50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