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인제대학교 Inje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강재헌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4 |
과제시작연도 |
2017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800037970 |
과제고유번호 |
1465025075 |
사업명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8-09-15
|
키워드 |
소아.비만.소아비만코호트.child.obesity.childhood obesity cohort.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7970 |
초록
▼
1. 12차년도 자료 분석
⋅2017년 본 연구는 2005년도에 구축된 과천시 코호트의 12차년도, 2008년에 구축된 서울중구와 경기서남부 일부지역 코호트의 9차년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323명(고등학교 1학년 5개교 252명, 성인 71명)이 참여하였으며, 학교방문검진과 병원개별방문을 통하여 신체계측, 혈액검사, 설문조사, 식이조사 등을 실시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인은 현재 추적조사 진행중)
⋅전체 비만율은 22.1%(남: 30.6%, 여: 12.0
1. 12차년도 자료 분석
⋅2017년 본 연구는 2005년도에 구축된 과천시 코호트의 12차년도, 2008년에 구축된 서울중구와 경기서남부 일부지역 코호트의 9차년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323명(고등학교 1학년 5개교 252명, 성인 71명)이 참여하였으며, 학교방문검진과 병원개별방문을 통하여 신체계측, 혈액검사, 설문조사, 식이조사 등을 실시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인은 현재 추적조사 진행중)
⋅전체 비만율은 22.1%(남: 30.6%, 여: 12.0%)로 남자에게서 높았고, 신체 계측치, 체성분, 혈압 등이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 빈혈관련 지표를 제외하고 비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대상자수가 비만군에서 더 많았다.
⋅식습관과 관련하여 비만군에서 평소식습관이 더 불량했으며, 전반적으로 본 연구대상자들은 아침식사 섭취율이 낮고, 과일과 채소, 우유의 섭취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체활동에 관련해서는 성별,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신체활동 정도가 적었다.
2. 1~11차년도 경시적 자료 분석 ⋅과천, 서울중구, 경기서남부 지역에서 지금까지 4,000여명의 코호트가 구축되었으며 1차년도 부터 11차년도(초등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까지 남녀 모두 연령 증가와 함께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둔부둘레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체지방량, 체지방률은 성별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지역별로 비만유병률이 공통적으로 고등학교 3학년인 현재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의 비만율이 중학교 3학년의 비만율보다 2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울중구 지역의 비만율이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여전히 높았다. ⋅과천시 1차년도 대상자를 기준으로 비만군과 정상체중군으로 나누어 추적한 결과 남자 신장에 있어서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비만군에서 더 컸으나, 고등학교 3학년에서는 정상체중군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장기추적을 위한 조사체계 구축 ⋅장기추적조사를 위해 다양하고 효율적인 대상자 추적 및 관리 시스템(페이스북 개설, 서포터즈 활용, 인센티브 제공, 지역보건소 및 지역병원 대상 검진캠프 구축, 모바일 설문시스템, 소아코호트 앱 개발 등)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코호트 홍보 및 추적조사에 활용중이다.
4. 기 구축된 설문지를 장기 추적 조사에 적합하도록 구성 및 내용 개선 ⋅기 구축된 설문지를 장기 추적조사에 적합하도록 성인용으로 개선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 건강조사, 다른 코호트와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모바일 설문지 개발을 병행하였으며, 추후 활용할 예정이다.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1. 12th year data analysis
In the year 2017,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follow-up 12th year of the Gwacheon cohort, which was established in 2005, and 9th year of the cohort of Seoul Jung-gu and Gyeongsangnam-do, originally established in 2008. A total of 323 students (252 high school students
1. 12th year data analysis
In the year 2017,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follow-up 12th year of the Gwacheon cohort, which was established in 2005, and 9th year of the cohort of Seoul Jung-gu and Gyeongsangnam-do, originally established in 2008. A total of 323 students (252 high school students, 71 adults) took part in the study.
⋅ The overall obesity rate was 22.1% (males: 30.6%, females: 12.0%), showing higher rates in males, and especially for elements such as, the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in the obese group, with the exception of anemia related results the biochemical blood tests, showed abnormal ranges being higher in propensity in obesity groups.
⋅ Regarding eating habits, obesity groups showed to have worse eating habits. In over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marked low breakfast intake, low intake of fruits, vegetables and mil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elements of gender or obesity level, but the inclusive activity level was shown as being low.
2. 1 to 11th year longitudinal data analysis
⋅Up to 4,000 participants of cohort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regions Gwache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until now, from the 1st to the 11th year (1st grade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eniors)
⋅The obesity rate in high school seniors was two times higher than the one of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Especially, the obesity rate in Seoul Jung-gu was still higher than the other two regions.
⋅Based on 1st year data of Gwacheon city, now the proportion of height/weight in males, were higher within the obese group, in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where the increase was shown within the normal weight group.
3. Establishing a long-term cohort study system
For the long-term surveys/follow ups, diverse and efficient tracking management systems (Facebook, utilizing supporters, providing incentives, establishing check-up camps for local public health centers and local hospitals, mobile questionnaire system, developing child cohort apps, etc.)have been established and presently utilized on the promotion of cohorts and the according analysis processes.
4. Upgrade survey contents for long-term follow ups
The survey was developed for adults to enabling it to connection to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mmunity Health Surveys, and other cohorts, also the mobile survey service will be applied in the near future.
(출처 : Summary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최종결과보고서 ... 2
- 목차 ... 3
- 연구결과최종보고서 요약문 ... 4
- Summary ... 5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6
- 제1장 최종 목표 ... 6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3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20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26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03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105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7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108
- 제10장 참고문헌 ... 109
- 제11장 첨부서류 ... 111
- 끝페이지 ... 1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