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National Assessment on Sea Level Rise Impact of Korean Coast in the Socioeconomic Contex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조광우
참여연구자 강정은 , 김태윤 , 이해미 , 민동기 , 박원경 , 이유미 , 신철오 , 유한식 , 구본우 , 박주연 , 성혜승 , 이슬 , 최수영 , 육근형 , 최지연 , H. Nobuoka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2356
과제고유번호 1105006977
사업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DB 구축일자 2019-05-04
키워드 기후변화.해수면 상승.연안역.영향평가.적응.Climate Change.Sea Level Rise.Coastal Zone.Impact Assessment.Adaptat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42356

초록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태풍, 파랑, 강수 유형의 변화로 해안지역의 사회・경제적 취약성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해안지역의 인구 밀도가 높고 국가항만 및 어항, 도로, 산업단지, 조선업, 발전소(원자력 및 화력), 수산업, 관광(해수욕장) 등 사회・경제적 집중도 또한 높기 때문에 기후변화 시대의 해안관리방식에 대한 전략 수립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21세기 지구의 온난화가 IPCC의 새로운 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

Abstract

This study(2011~2013) quantitatively analyzes the socio・economic impacts and vulnerability of coastal zone in South Korea and draws the adaptation measures based on the expected sea level ris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global warming in the 21st century is continued to proceed in the way by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 3
  • 서 언 ... 5
  • 국문 요약 ... 7
  • 목차 ... 13
  • 표목차 ... 16
  • 그림목차 ... 22
  • 제1장 서 론 ... 33
  • 1. 연구 배경 ... 33
  • 2. 연구 목적 ... 35
  • 3. 연구 범위 및 내용 ... 36
  • 제2장 해수면 시나리오 및 범람도 ... 39
  • 1. RCP 해수면 시나리오 ... 39
  • 가. 방법론 ... 40
  • 나. 모델 결과 ... 46
  • 2. 해수면 빈도(return period) 변화 ... 48
  • 가. 빈도해석법 ... 49
  • 나. 극치 조위자료의 빈도분포 변화 ... 50
  • 다. 태풍해일고의 빈도분포 변화 ... 59
  • 3. 범람도 ... 62
  • 제3장 사회・경제 인프라 영향평가 ... 66
  • 1. 물리적 영향평가 ... 66
  • 가. 교통시설 ... 66
  • 나. 산업단지 ... 71
  • 다. 매립지 ... 74
  • 라. 환경시설 ... 76
  • 마. 환경영향평가 개발사업 ... 79
  • 2. 경제적 영향평가 ... 83
  • 가. 범람예상지역 자산가치 산정 방법 ... 83
  • 나. 범람예상지역 주택가치 산정 ... 88
  • 다. 범람예상지역 자연자산가치 산정 ... 97
  • 라. 범람예상지역 자산가치 산정 ... 101
  • 제4장 연안 방어시설 영향평가 ... 112
  • 1. 항만 영향평가 ... 112
  • 가. 우리나라 항만 및 어항 현황 ... 112
  • 나. 항만 피해 사례 ... 113
  • 다. 영향평가 ... 117
  • 라. 해수면 상승에 따른 방파제 보강계획 ... 152
  • 2. 방조제 ... 182
  • 가. 우리나라 해안 방조제 현황 및 피해 사례 ... 182
  • 나. 방조제 영향평가 방법론 ... 188
  • 다. 방조제 표고 영향평가 ... 191
  • 라. 해수면 상승에 따른 방조제 도파고 변화 ... 193
  • 마. 해수면 상승에 따른 방조제 영향평가 방법론 (확대방안) ... 213
  • 바. 해수면 상승 방조제 적응방안 ... 215
  • 제5장 해수면 상승 적응방안 ... 219
  • 1. 주요국 적응 현황 ... 219
  • 가. 영국 ... 219
  • 나. 미국 및 캘리포니아 ... 227
  • 다. 호주 ... 236
  • 라. 일본 ... 240
  • 마. 뉴질랜드 ... 246
  • 바. 캐나다 ... 252
  • 2. 기술적 적응방안 ... 258
  • 가. 주요 적응사례 ... 258
  • 나. 우리나라 적응사례 연구: 강릉, 목포 ... 289
  • 3. 제도적 적응방안: ICZM ... 326
  • 가. 주요국 해수면 상승 대응 연안관리(ICZM) 전략 ... 326
  • 나.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대응 ICZM 전략 ... 340
  • 다. 해수면 상승 대응 연안관리 제도적 개선방안 ... 369
  • 4. 적응비용 ... 375
  • 가. 최적 해안 방어 수준 결정 모형 ... 375
  • 나. 경제적 피해 규모 산정 ... 382
  • 다. 해안 방어비용 산정 ... 396
  • 제6장 요 약 ... 407
  • 참고 문헌 ... 415
  • 부록 1. 태풍에 의한 항만 및 어항 시설물의 피해 사례 및 복구비용 ... 433
  • 부록 2. 방파제 안정 계산 : 주문진항 ... 452
  • 부록 3. 방파제 안정계산 : 후포항 ... 497
  • 부록 4. 적응비용 산출 ... 535
  • Abstract ... 555
  • 끝페이지 ... 561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