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녹색경제 : 한 ∙ 중 ∙ 일 비교연구
Cities and Green Economy: Comparative Study of Korea, China and Japa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정우현
참여연구자 강정은 , 강택구 , 윤혜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대한민국
발행년월2012-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2402
DB 구축일자 2019-05-04
키워드 녹색경제.녹색성장.지방정부.동북아시아.Green Economy.Green Growth.Local Government.Northeast Asia.

초록

도시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녹색경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도시지역은 인구, 소비, 탄소배출, 환경오염 등 다방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도시정부는 국가정부와 다른 특유의 역할과 행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 ∙ 중 ∙ 일 환경장관회의(TEMM)는 도시수준의 녹색경제에 대한 3국 공동연구를 추진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는 그 일환으로서 한국의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국가수준의 녹색경제를 검토하고, 도시수준의 녹색경제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에서는 2008년 이래

Abstract

Research gap of green economy at city level needs to be addressed for mainly two reasons: First, urban citie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population, consumption, carbon emission, environmental pollution, etc.
Second, cities at local level have unique roles and behavior different from national

목차 Contents

  • COVER ... 1
  • FOREWORD ... 3
  • Abstract ... 4
  • Acronyms ... 6
  • Contents ... 7
  • List of Tables ... 11
  • List of Figures ... 13
  • List of Boxes ... 14
  • Chapter 1. Introduction ... 15
  • 1. Research Motivation ... 15
  • 2. Project Background ... 16
  • 3. Research Scope and Methodology ... 18
  • Chapter 2. Green Economy at National Level ... 21
  • 1. Green Economy vs. Green Growth: Conceptual Discussion ... 21
  • 1.1. Green Economy ... 21
  • 1.2. Green Growth ... 23
  • 1.3. Discussion ... 26
  • 2. The Framework for Green Growth in Korea ... 26
  • 2.1. The Concept of Green Growth in Korea ... 27
  • 2.2. The Green Growth National Strategy and the Five-Year Plan ... 28
  • 2.3. Policy Tools for Green Growth Strategy ... 31
  • 2.4. Green Growth at the Local Level ... 32
  • 3. Policy Directions for Green Growth ... 38
  • 3.1 Mitigating Climate Change and Promoting Energy Independence ... 40
  • 3.2 Creating New Growth Engine for Economic Growth ... 44
  • 3.3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ing International Standing ... 52
  • Chapter 3. Green Economy at the City Level - the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57
  • 1. Introduction of Gwangju ... 57
  • 1.1. Geography and Climate ... 57
  • 1.2. Demographics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 59
  • 1.3. Economy and Industrial Structure ... 60
  • 1.4. Greenhouse Gas Emission Profile ... 62
  • 1.5. Local Autonomy and Governance ... 65
  • 2. Major Initiatives related to Green Economy ... 68
  • 2.1.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Gwangju Agenda 21 ... 68
  • 2.2. The Local Five-Year Plan for Green Growth (2009-2013) ... 69
  • 2.3. Creative Green City Gwangju ... 71
  • 3. Details of Green Economy Programs in Gwangju ... 73
  • 3.1.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Green Lifestyle ... 73
  • 3.2. Urban Afforestation and Ecosystem Restoration ... 80
  • 3.3. Transportation ... 84
  • 3.4. Green Buildings and Districts ... 87
  • 3.5. Gr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 87
  • 3.6. Water Quality Management ... 90
  • 3.7. Waste Management ... 92
  • 3.8. Global Green Leadership ... 95
  • Chapter 4. Summary & Conclusion ... 99
  • References ... 103
  • Abstract in Korean ... 107
  • End of Page ... 108

표/그림 (4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