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공간 건축물 화재시 3시간 이상 견딜 수 있는 구조부재 및 연기, 피난 기술 개발(V)
Technology Development of Large Space Structures have more than 3 hour Fire Resistance Rating and Smoke Control, Evacuation in Fir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김흥열
참여연구자 황은경 , 김정엽 , 유용호 , 안찬솔 , 채승언 , 권오상 , 조범연 , 권기석 , 양승조 , 박진욱 , 우수진 , 서동구 , 박병직 , 김휘성 , 장승배 , 박일규 , 김동해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1800042663
과제고유번호 1711062372
사업명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DB 구축일자 2018-12-01
키워드 대공간.화재안전.장스팬 무피복.대공간 연기제어.정량적 위험도 평가.피난안전.Large Space.Fire Safety.Smoke Control.Quantitative Risk Assessment.Refuge Safety.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42663

초록

연료지배형 화재성장 특성이 내재된 대공간 구조에서는 구조물 붕괴·유독가스 전파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장스팬 구조물 내화구조 공법개발 연구에서는 장스팬 수평부재[보&슬래브]의 처짐제어 성능확보를 위해 PS 기술을 도입하고 층고절감이 가능한 슬림플로어 공법기술을 융합하여 경제성이 내재된 대공간 장스팬 화재안전 실용화 공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공간의 대용량 연기제어 설비 기술 개발 연구에서는 연기제어를 위해서 수십만 CMH 규모의 배기량 및 급기량이 요구되는 대공간 건축물에서의 성능과 효율이 뛰어난 연기제어

Abstract

In the large space structure involving features of the fuel controlled fire growth, large scale casualties can be led due to the collapse of structures and spread of poisonous gases. Therefore, in the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method of long-span structures, the PS technology is introduced in or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문 ... 4
  • Executive Summary ... 11
  • 목차 ... 22
  • 표목차 ... 31
  • 그림목차 ... 43
  • 제1장 서론 ... 72
  • 1. 연구의 필요성 ... 72
  • 2. 국내·외 기술 동향 ... 77
  • 2.1 장스팬 구조물 내화구조 공법 ... 77
  • 2.2 대공간의 대용량 연기제어 설비 기술 ... 80
  • 2.3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 기술개발 ... 81
  • 3.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85
  • 3.1 최종목표 ... 85
  • 3.2 연차별 연구 목표 ... 86
  • 제2장 장스팬 구조물 내화구조 공법 개발 ... 89
  • 1. 대공간 건축물 내화설계기준 방향선정 ... 89
  • 1.1 대공간 건축물 설계사례 분석을 통한 방향선정 ... 89
  • 2. 장스팬 내화공법 핵심기술선정 ... 95
  • 2.1 장스팬 내화공법의 시장확보를 위한 경제성 분석 ... 95
  • 2.2 장스팬 내화공법의 핵심기술 선정 ... 102
  • 3. 장스팬 구조물 내화공법 실증실험[공법유형선정] ... 104
  • 3.1 장스팬 구조물의 내화성능 확보방안 연구 ... 104
  • 3.2 무지주 장스팬 합성슬래브 내화성능검증 실증실험 ... 114
  • 3.3 10M 장스팬 합성슬래브의 내화성능 검증 실험 ... 118
  • 4. 대공간 주요구조부재 내화성능설계 Case Study ... 124
  • 4.1 대상 건축물 개요 ... 124
  • 4.2 구조개요 ... 124
  • 4.3 대상 건축물 구조 분석 ... 127
  • 5. 대공간 주요구조부재 내화성능설계 경제성 분석 ... 142
  • 5.1 기둥 경제성 분석 ... 142
  • 5.2 합성보 경제성 분석 ... 145
  • 5.3 합성슬래브 경제성 분석 ... 149
  • 6. 녹색성 검토 ... 152
  • 6.1 PS도입 장스팬 구조물 친환경성 검토[녹색기술인증] ... 152
  • 6.2 슬롯형 콘크리트 충전강관(CFT) 기둥 무피복 내화공법 친환경성 검토 ... 157
  • 7. 현장적용 ... 164
  • 7.1 현성테크노 광주공장 기숙사동 ... 164
  • 7.2 적용 현장(CJ푸드빌(주) 음성공장(증축)) 개요 ... 167
  • 7.3 상암 벽산 스마트큐브 신축공사 ... 174
  • 8. 화재안전기준 개선방안 제시[정책반영] ... 178
  • 8.1 건축법 시행령 제·개정[3건] ... 178
  • 8.2 건축법 피난 및 방화규칙 개정[1건] ... 184
  • 8.3 국토교통부 고시 개정[1건] ... 187
  • 8.4 국토교통부 지침 신설[1건] ... 188
  • 8.5 국가기술표준 개정[2건] ... 193
  • 제3장 대공간의 대용량 연기제어 설비 기술 개발 ... 196
  • 1. 대공간 연기유동 해석기술 개발 ... 196
  • 1.1 대공간 연기유동 해석모델 ... 196
  • 1.2 실규모 화재 실험 ... 198
  • 1.3 CAE 기반 대공간 연기유동 수치해석 ... 201
  • 2. 대공간 연기제어 시스템 설계 ... 210
  • 2.1 국내외 연기제어 설계기준 분석 ... 210
  • 2.2 대공간의 기계배연 시스템 설계 ... 215
  • 2.3 설계 Case Study ... 231
  • 2.4 설계 현장적용 ... 241
  • 3. 대공간 방연설비 개발 ... 260
  • 3.1 개요 ... 260
  • 3.2 에어커튼 시스템 제안 및 기류분석 ... 261
  • 3.3 연기차단 효과 분석 ... 269
  • 3.4 시제품 개발 ... 274
  • 제4장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 기술개발 ... 288
  • 1.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설계 기준 개선방향 설정 ... 288
  • 1.1 국내 대공간 건축물의 규모기준 재정립 ... 288
  • 1.2 국내외 대공간 화재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피난특성 도출 ... 295
  • 1.3 대공간 건축물 피난설계 현황 및 문제점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 ... 307
  • 2.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행동실험 구축 ... 318
  • 2.1 대공간 피난 시 공간구조에 따른 경로선택 행동실험 ... 318
  • 2.2 대공간 건축물 재해약자 조력이동 피난실험 ... 323
  • 2.3 대규모 전시공간에 있어서 피난유도설비 인지에 관한 실험 ... 329
  • 3.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설계 지침 개발 ... 341
  • 3.1 대공간 건축물의 피난특성 분석 ... 341
  • 3.2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설계 지침(안) 정립 ... 365
  • 4. 대공간 건축물 피난시뮬레이션 고도화 및 Case Study ... 367
  • 4.1 대공간 건축물 피난시뮬레이션 고도화 ... 367
  • 4.2 대공간 건축물 Case Study ... 379
  • 제5장 대공간 건축물 정량적 화재위험도 평가 기술 ... 386
  • 1. 대공간의 화재위험도 정량화 및 화재시나리오 ... 386
  • 1.1 대공간 화재사례 및 빈도 분석 ... 386
  • 1.2 대공간 화재재사고 시나리오 작성 및 확률 모델 ... 421
  • 1.3. 이벤트 트리 기법 적용을 위한 분기비 작성 ... 439
  • 1.4 화재위험도 정량화를 위한 사망자 추정 기법4) ... 465
  • 2. 대공간 화재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기준 ... 485
  • 2.1 대공간 화재위험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 485
  • 2.2 대공간 정량적 화재위험도 평가 기준안 ... 513
  • 3. 대공간의 화재확대모델 고도화 및 국제공동실험연구 ... 519
  • 3.1 화염비산에 의한 2차 화재확대 구현 모델 ... 519
  • 3.2 침대 매트리스 국제공동실험(국제 표준화 연구) ... 525
  • 3.3 대공간 화재해석 고도화를 위한 실물화재실험 ... 530
  • 4. Case Study를 통한 화재위험도 평가 방법 분석 ... 532
  • 4.1 건축물 화재위험도 평가 방법 ... 532
  • 4.2 Case Study 분석 ... 541
  • 제6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활용계획 ... 551
  • 1. 연구 개발 목표 달성도[전체연도] ... 551
  • 1.1 연구목표 및 성과물 ... 551
  • 1.2 정량적 연구성과 ... 554
  • 2. 활용계획 ... 561
  • 2.1 연구의 파급효과 및 기대효과 ... 561
  • 2.2 성과확산 계획 및 활용방안 ... 563
  • 참고문헌 ... 566
  • 부록 ... 572
  • 1. 대공간 건축물 내화설계 기준(안) ... 573
  • 2. 대공간 건축물 연기제어 기준(안) ... 694
  • 3. 대공간 건축물 피난안전 기준(안) ... 704
  • 서지자료 ... 734
  • Bibliographic Data ... 735
  • 끝페이지 ... 736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