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 구조용 탄성복원력 80% 이상의 실링 마감시공기술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연구책임자 김성래
참여연구자 김홍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08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800042786
과제고유번호 1615009558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
DB 구축일자 2018-11-24
키워드 실링.탄성복원.창호.마감재.실증화.Sealing.Elastic.Windows and Doors.Finishes.Practical.

초록

현재 국내에서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는 구조용 실링마감 재료들은 용도별로 각각 분류되어 있으나 용도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한 채 재료 자체의 성능만으로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KS F 4910에서 건축용 실란트에 국한되어 있으며, 표준 시방서에도 재료 선정 및 줄눈 설계 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이다. 실제 사용환경에서 필요한 요구성능은 반영되지 못하여 하자 발생을 촉진시키고 있으나, 반면 미국 등의 해외 구조용 실란트 규격(ASTM C 920 등)은 실란트를 등급분류와 사용용도 및 움직임(Movement)

Abstract

□ Purpose & Contents
▢ Purpose
○ Durability of sealing compound material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 Developing the technology for durability more than twenty years
- Deducting the deterior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al use in skyscraper
- pollution performance, ultraviole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국문요약문 ... 4
  • SUMMARY ... 7
  • 목차 ... 11
  • 표목차 ... 16
  • 그림목차 ... 20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8
  • 제1절. 연구개발 목적 ... 28
  • 1. 연구개발 최종목표 ... 28
  •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33
  •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33
  • 2. 연구개발의 중요성 ... 36
  • 3. 최종성과물의 기술성숙도 설정근거 ... 45
  • 4. 타산업 연계 및 국제협력 가능성 ... 45
  • 제3절. 연구개발 범위 ... 46
  • 1.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 46
  •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 52
  • 제1절. 관련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학술적 성과 ... 52
  • 1. 국가 연구개발사업 유사연구 실적 ... 52
  • 2 국내외 관련 기술 특허 동향 ... 54
  • 3. 국내외 시장분석 및 산업동향 ... 57
  • 4. 종합결론 ... 61
  •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성과 ... 63
  • 제1절. 국내외 실링마감기술 분석 ... 63
  • 1. 실링재 기술의 분류 ... 63
  • 2. 구조용 실리콘 그레이징(SSG공법) ... 66
  • 3. 실링기술의 적용분야 및 관련시장 분석 ... 70
  • 4. 실링재 열화인자 및 시공상의 하자 원인 ... 74
  • 5. 실링재의 수명향상 내구성능 평가지표 도출 ... 79
  • 6. 실링재의 시험·평가방법에 대한 해외동향(국제표준과 부합여부, 차별성) ... 80
  • 제2절. 변성실란트 실링마감재 개발 ... 81
  • 1. 구조용 실란트의 화학조성 기본 레시피 ... 81
  • 2. 건축 구조용 실란트의 시제품 개발의 시행착오 ... 84
  • 3. 변성 실리콘 실란트 실링 마감재 개발 ... 88
  • 4. 변성 실리콘 실란트 중간체 합성 ... 98
  • 5. 변성실리콘 실란트 물성평가 ... 100
  • 6. 변성실리콘 실란트 물성개선 ... 107
  • 7. 2액형 우레탄 실링재와 1액형 구조용 번성실리콘 실링재의 성능 비교 ... 110
  • 8. 시제품(2액형 우레탄 실란트, 1액형 변성실리콘 실란트)의 경제성, 친환경성 분석 ... 111
  • 9. 본 연구개발로 도출된 실링재의 사업화 계획 및 표준화 계획 ... 112
  • 제3절. 내구성 평가기법 및 장치개발 ... 117
  • 1. 건축 구조용 실링공법의 성능평가방법(안) 개발 ... 117
  • 2. 실링마감공법의 Mock-up 시험을 통한 실증화 방법 연구 ... 127
  • 3. 구조용 실링재의 Mock-up 성능평가장치의 설계 ... 131
  • 4. 건축 구조용 실링마감공법의 성능평가방법 보완 및 외압거동대응 변위장치 제작 ... 133
  • 제4절. 옥외폭로를 통한 실증화 평가방법(안)개발 ... 147
  • 1. 옥외폭로시험방법(안) ... 147
  • 2. 커튼월 시험방법 ... 149
  • 3. 구조용 실링재의 변위거동 옥외폭로시험 ... 159
  • 4. 시험체 옥외폭로 1년 후 커튼월 시험 결과 및 비교 ... 170
  • 5. 실링재의 성능평가 및 시험장치의 신뢰성 확보 방안 및 자문 ... 176
  • 제5절. 실링 노즐 공법(안) 개발 ... 178
  • 1. 실링 노즐 공법의 설계 기준 ... 178
  • 2. 선행 실링 노즐 공법의 조사 ... 178
  • 3. 실링 노즐 공법의 개발 ... 179
  • 4. 실링 마감재 사용에 따른 시공성 개선 효과 ... 183
  • 제6절. 시제품 성능평가 및 품질관리 매뉴얼 작성 ... 184
  • 1. 국내·외 실링기술 관련 규격/제도 검토 ... 184
  • 2. 변성 실리콘 실링재 시제품의 기본 물성 평가 ... 185
  • 제7절. 연구의 고찰 ... 192
  • 1. 연구목표(내구성능 20년 이상 보증)의 목표설정 배경과 달성도 ... 192
  • 2. 본 연구의 실링재 성능평가방법 및 시험장치의 신뢰성 확보 방안, 활용계획 ... 193
  • 3. 본 연구의 실링재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국제표준과 부합 여부 비교 ... 194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 195
  • 1. 목표 달성도 ... 195
  • 2. 관련 분야 기여도 ... 196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197
  • 제1절.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 197
  • 제2절.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198
  • 1. 기대효과 ... 198
  • 제6장.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 200
  • 제1절. INTERNATIONAL STANDARD ... 200
  • 제2절. ASTM STANDARD ... 202
  • 제3절. Academic Paper ... 205
  • 제4절. Technology report ... 206
  • 제5절. Guide book ... 208
  •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 209
  •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210
  •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 조치 이행 실적 ... 211
  •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 실적 ... 212
  • 제11장. 참고 문헌 ... 213
  • 제12장. 부 록 ... 219
  • 제1절. 품질관리메뉴얼(안) ... 219
  • 제2절. 현장시방서(안) ... 293
  • 끝페이지 ... 380

표/그림 (25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