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경상대학교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연구책임자 | 김외연 |
참여연구자 | 이성신 , 이다연 , 허진성 , 정송이 , 신경임 , 지명근 , 최홍민 , 구성순 , 성현정 , 김진아 , 랍 맥클링 , 데이비드 소머즈 , 김연정 , 정미정 , 이수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2 |
과제시작연도 | 2017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800043291 |
과제고유번호 | 1395050216 |
사업명 | 차세대바이오그린21 |
DB 구축일자 | 2018-12-15 |
키워드 | 저온 저항성.생체시계.애기장대.배추.Cold tolerance.Circadian clock.Arabidopsis.Brassica.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43291 |
연구 개발 목표
애기장대에서 저온스트레스에 관여하는 생체시계 인자들의 탐색 및 생화학, 유전학적 기법을 통해 저온내성 기작을 규명하려하며, 더 나아가 배추 작물의 저온내성과 생체시계 간의 연결고리를 탐색 및 선별하고, 애기장대에서 밝혀진 생체시계 인자들의 배추내 도입을 통해 저온내성 작물 개발 및 배추 생산성 극대화를 목적에 두고 있음.
연구 개발 성과
○ 저온내성 조절 인자인 HOS15, histone deacetylation 단백질 HDA9과 evening complex인자들간 단백질 복합체 형성을 통한
Purpose&Cont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ld tolerance mechanisms by circadian clock factors using by biochemical and genetic tools in Arabidopsis. Furthermore, we introduced the mechanisms into Brassica rapa to increase the crop productivity against cold stress.
Results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