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 삼림부분을 중심으로 -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전성우
참여연구자 박용하 , 정휘철 , 이동근 , Yuzuru Matsuoka , Hideo Harasawa , Kiyoshi Takahashi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4039
DB 구축일자 2019-06-01

초록

Ⅲ. 연구의 주요결과
1. 연구대상지역
◦ 연구의 대상지역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한반도를 포함한 경도 120°~135°, 위도 30°~ 45°으로 설정하였음.
- 한반도 삼림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북한과 만주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을 선정하였음.
◦ 영향연구의 지역별 특성 및 영향정도의 파악을 위하여 < 그림 2 >와 같이 지역을 구분하였음.
- 기존의 삼림분포특성 연구에서 나타난 삼림생태계 분포와 기후 패턴을 고려하고 행정구역경계를 이용하여 구분한 것임.
· A지역은 남부지역인

Abstract

Climate change has now become more and more evident all over the world; consequently, the world has strived to work out strategies to mitigate the climate change processes and to adapt to the change.
For it has only been a few decades or centuries since climate change triggered by greenhouse ga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언 ... 2
  • 요약 ... 3
  • 목차 ... 11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7
  • 제1장 서론 ... 20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0
  •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23
  • 3. 연구의 흐름 ... 25
  • 제2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영향평가 선행연구결과 분석 ... 28
  • 1. 광역차원의 영향평가 ... 28
  • 가. 대기대순환모형 ... 28
  • 나. 삼림영향평가 ... 29
  • 2. 한반도 차원의 영향평가 ... 35
  • 가. 대기대순환모형 ... 35
  • 나. 삼림영향평가모형 ... 36
  • 3. 연구결과 분석 및 고찰 ... 38
  • 제3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영향평가모형 연구동향 분석 ... 40
  • 1. 모형 개발 배경 ... 40
  • 2.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영향평가모형 구분 ... 41
  • 가. 실험법 ... 41
  • 나. 유추법 ... 41
  • 다. 전문가판단 ... 42
  • 라. 정량적 모형 ... 42
  • 3. 모형 개발 동향 분석 및 고찰 ... 46
  • 제4장 삼림영향평가모형 선정 및 적용방법 ... 50
  • 1. AIM/Imapct(Korea)모형 ... 50
  • 가. 모형의 선정 ... 50
  • 나. 모형의 개발 방향 ... 51
  • 다. AIM/Impact(Korea) 모형의 구조 ... 53
  • 라. AIM/Impact(Korea) 모형의 세부 개발 내용 ... 54
  • 2. 기온상승시나리오 ... 58
  • 가. IPCC IS92 시나리오 ... 58
  • 나. SRES 시나리오 ... 61
  • 3. 대기대순환모형과 지역대기순환모형 ... 69
  • 4. 기온감율을 고려한 기온의 공간내삽방법 ... 73
  • 가. 일평균 기온감율의 추정 ... 73
  • 나. 기온감율 기반의 공간내삽모형 ... 74
  • 5. 삼림영향평가모형 ... 76
  • 6. 삼림의 적응성 추정 ... 78
  • 7. 삼림의 경제적 가치평가 ... 84
  • 제5장 모형의 적용 및 분석 ... 86
  • 1. 연구대상지역의 선정 ... 87
  • 2. 미래기후의 추정 ... 88
  • 가. 기온 ... 90
  • 나. 강수량 ... 93
  • 다. 기후예측결과 ... 94
  • 3. 삼림의 생물기후학적 분류 및 검증 ... 100
  • 가. 삼림의 생물기후학적 분류 ... 100
  • 나. 온량지수와 현존식생도를 이용한 모델의 검증 ... 102
  • 4.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의 영향 평가 ... 104
  • 가. 영향 분석의 구조 ... 104
  • 나.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의 분포 변화 평가 ... 105
  • 다.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의 적응성 평가 ... 111
  • 5. 삼림의 경제적 가치손실액 추정 ... 116
  • 제6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부분 대응방안 ... 122
  • 1. 기후변화협약 ... 122
  • 가. IPCC와 UNFCCC ... 122
  • 나. 당사국 총회 추진현황 및 주요내용 ... 125
  • 다. 교토의정서 발효 등 향후전망 ... 130
  • 2. 주요 선진국의 대응방안 사례 ... 132
  • 가. 유럽연합 ... 132
  • 나. 미국 ... 135
  • 다. 캐나다 ... 138
  • 라. 호주 ... 143
  • 마. 영국 ... 145
  • 바. 덴마크 ... 147
  • 사. 프랑스 ... 150
  • 아. 멕시코 ... 153
  • 자. 일본 ... 155
  • 차. 중국 ... 158
  • 3. 대응방안 비교 분석 ... 158
  • 제7장 요약 및 제안 ... 160
  • 1. 요약 ... 160
  • 2. 정책제안 ... 162
  •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제안 ... 168
  • 참고문헌 ... 170
  • 부록1 : IPCC SRES 시나리오 ... 186
  • 부록2 : 일본의 SRES 시나리오 ... 210
  • 부록3 : 우리나라의 삼림식물대 ... 226
  • 부록4 : 용어 설명 ... 232
  • Abstract ... 242
  • 집필자 약력 ... 245
  • 끝페이지 ... 246

표/그림 (10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