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Ecological Network Planning and Land Use Strategies for Sustainable Urban Landscape and Land Management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박창석
참여연구자 오규식 , 이영숙 , 김재호 , 이동우 , 김기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7-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4193
DB 구축일자 2019-06-01

초록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압축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공급중심의 계획과 개발로 인해 자연생태환경이 훼손되고, 대기, 수질 등의 환경은 오염되었다. 녹지와 생물서식지 등의 도시생태계는 각종 주택과 주거단지, 도로 및 철도 등의 무분별한 개발과 외연적 확산으로 훼손과 단편화가 진행되었고, 실제 생물이 서식하는 녹지는 감소하여 생물 다양성은 저하되었다.
도시에서 생물 다양성과 자연과의 공존, 삶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도시녹지와 생태계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보전 및 관리가 중요하다. 개발과 보전의 상충을 사전에 해소하고 지속가능

Abstract

Urban ecological networks challenge popular perceptions regarding green space planning and protection. For many people, open space is simply land that is not yet developed, and green space refers to isolated parks and natural areas. Urban ecological network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pen space a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 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7
  • 제1장 ․ 서 론 ... 2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1
  • 가. 연구 배경 ... 21
  • 나. 연구 목적 ... 23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24
  • 가. 연구 범위 ... 24
  • 나. 연구 방법 및 과정 ... 26
  • 3. 선행연구 고찰 ... 30
  • 제2장 ․ 도시생태네트워크의 필요성과 정의 ... 33
  • 1. 개념과 구성 ... 33
  • 가. 개념 ... 33
  • 나. 유형과 구성요소 ... 40
  • 2. 필요성과 효과 ... 45
  • 가. 현명한 보전 촉진 ... 46
  • 나. 환경적 효과 ... 46
  • 다. 사회․문화적 효과 ... 48
  • 라. 경제적 효과 ... 50
  • 3. 정의와 계획요소 ... 52
  • 가. 구축목적과 유형에 대한 전문가 의식조사 ... 52
  • 나. 계획적 정의와 계획요소 ... 55
  • 제3장 도시생태네트워크 관련현황과 문제점 ... 62
  • 1. 도시생태네트워크 훼손현황과 문제점 ... 62
  • 가. 개발사업(행위)에 따른 훼손 ... 62
  • 나. 도시생태환경 훼손 실태에 대한 전문가 의식조사 ... 63
  • 다. 도시생태네트워크의 훼손에 대응한 계획전략 ... 66
  • 2. 도시토지이용 및 관련 법·제도 현황과 문제점 ... 68
  • 가.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및 특징 ... 69
  • 나. 용도지역의 현황 및 특징 ... 70
  • 다. 공원녹지 및 관련사업의 현황 및 특징 ... 74
  • 라. 토지이용계획제도의 문제점 ... 77
  • 3. 도시생태네트워크 관련계획의 현황과 문제점 ... 80
  • 가. 도시생태네트워크 관련계획의 현황과 문제점 ... 80
  • 나. 도시 및 환경계획 등 관련지침의 문제점 분석 ... 88
  • 다. 도시생태네트워크 저해요인 등 전문가 의식조사 ... 92
  • 4. 시사점 도출 ... 95
  • 제4장 ․ 해외사례 검토 및 시사점 도출 ... 98
  • 1. 해외사례의 선정 ... 98
  • 2. 해외 도시생태네트워크 사례분석 ... 99
  • 가. 유럽 ... 99
  • 나. 미국 ... 114
  • 다. 일본 ... 122
  • 3. 시사점 도출 ... 128
  • 제5장 ․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 사례적용 ... 132
  • 1.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모형 설정 ... 132
  • 가. 기본방향 ... 132
  • 나.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모형 ... 132
  • 다. 산림녹지의 평가체계 구성 ... 135
  • 2. 사례대상지역의 일반현황 ... 138
  • 가. 입지 및 토지이용현황 ... 138
  • 나. 자연환경 현황 ... 138
  • 다. 개발사업 및 계획현황 ... 138
  • 3. 산림녹지의 가치 평가 및 유형 구분 ... 141
  • 가. 보전가치 평가 ... 141
  • 나. 개발위험성 평가 ... 156
  • 다. 기능성 평가 ... 174
  • 4. 핵심보전녹지의 연결성 평가 ... 180
  • 가. 형태지수 산출 ... 180
  • 나. 핵심보전녹지 네트워크 분석 ... 182
  • 다. 연결경로 설정에 따른 연결녹지 도출 ... 184
  • 5.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계획안 마련 ... 188
  • 가.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대안 마련과 평가 ... 188
  • 나.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대안 구조 특성 비교 ... 192
  • 다.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안 마련과 특징 ... 195
  • 6. 도시토지이용과의 정합성 검토 ... 199
  • 가. 보전개념에 기초한 토지이용의 분류 ... 199
  • 나.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과 토지이용의 정합성 검토 ... 205
  • 다. 도시생태네트워크 관리방안 마련 ... 213
  • 라. 광역도시계획 및 광역생태축과의 연계 ... 223
  • 제6장 ․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의 개선 ... 226
  • 1. 계획체계의 개선 ... 226
  • 가. 선진 외국의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체계 분석 ... 226
  • 나. 계획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식조사 ... 227
  • 다.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계획체계 개선방안 ... 229
  • 2. 생태적 토지이용계획의 강화 ... 231
  • 가.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모형의 적용과 기본 틀 마련 ... 231
  • 나. 도시생태네트워크에 기초한 생태적 토지환경관리 강화 ... 237
  • 다.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의 개선 ... 242
  • 3. 효율적인 집행 및 이행방안 마련 ... 248
  • 가. 환경계획 및 도시계획의 활용 강화 ... 248
  • 나. 사전환경성 검토 및 환경영향평가 활용 활성화 ... 248
  • 다. 훼손지 복원 및 단절지역 연결사업에 활용 ... 249
  • 라. 주민참여 활성화에 따른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 ... 250
  • 제7장 ․ 요약 및 결론 ... 251
  • 참고 문헌 ... 257
  • 부 록-1 : 생태네트워크 구축 관련 사례 ... 269
  • 부 록-2 :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의 특징과 적용 ... 279
  • 부 록-3 : 플로리다 및 메릴랜드 생태네트워크 계획 특성 ... 284
  • 부 록-4 : 도시생태네트워크와 토지이용과의 상충 현황 ... 288
  • 부 록-5 : 전문가 설문지 ... 291
  • Abstract ... 307
  • 끝페이지 ... 308

표/그림 (160)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