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정책 수립 : 해안침식 영향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Coast due to Sea-level Rise and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Assessment of Shoreline Retrea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조광우
참여연구자 김경준 , 정주철 , 박원경 , 강태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900000069
DB 구축일자 2019-05-18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이 우리나라 연안에 미치는 영향 (해안침식, 범람, 하구퇴적, 염분침투 등)을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연안역의 지속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차년도 연구로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 해수면 상승에 대한 취약성의 지표로서 해안의 후퇴거리(해안침식률) 산정 및 기본적인 대응 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조위계 및 위성고도계 자료를 통한 우리나라 해수면 변화는 상승 경향을 뚜렷이 보이고 있다. 1993~2008년(16년간) NASA의 Topex/Poseidon 및 Jason 위성고도계 자료에

Abstract

The overall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astal zone through the integrated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flooding/inundation, estuary sedimentation, and saltwater intrusion due to sea level rise and other factors induced by climate change. For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7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1
  • 제1장 서 론 ... 15
  • 제2장 해수면 상승과 영향 ... 21
  • 1. 해수면 변화 기구 ... 22
  • 가. 해양의 열팽창 ... 23
  • 나. 해빙 ... 25
  • 2. 해수면 측정방법 ... 31
  • 가. 조위계 ... 31
  • 나. 위성고도계 ... 33
  • 3. 지구 해수면 상승 ... 35
  • 가. 현황 ... 35
  • 나. 예측 ... 43
  • 다. 지역 분포 ... 45
  • 4. 해수면 상승 영향(Impact) ... 48
  • 가. 자연생태계 ... 49
  • 나. 사회․경제 시스템 ... 51
  • 제3장 우리나라 해수면 및 외력 변화 현황 ... 55
  • 1. 해수면 변화 ... 56
  • 가. 조위계 ... 56
  • 나. 위성고도계 ... 60
  • 다. 모델 예측 자료 ... 64
  • 2. 태풍 ... 67
  • 3. 파고 ... 71
  • 제4장 해안침식 영향평가 ... 75
  • 1. 개요 ... 77
  • 2. 우리나라 해안침식 현황 ... 81
  • 3. 평가방법론 ... 85
  • 가. 이론 ... 85
  • 나. 대상 자료 및 매개변수 ... 87
  • 다. 평형단면이론의 적정성 ... 90
  • 4. 해안침식 평가 ... 93
  • 제5장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침식 대응 방향 ... 101
  • 1. 대응 방향 ... 102
  • 2. 대응 과정 ... 106
  • 제6장 결언 ... 111
  • 참고 문헌 ... 117
  • 부록1: 연안지역의 취약성 및 적응 평가를 위한 방법론 ... 125
  • 부록2: 유럽의 해안침식 연구: Eurosion ... 137
  • 부록3: 하와이주 마우이 해안에 대한 사빈관리계획 ... 145
  • Abstract ... 157
  • 끝페이지 ... 164

표/그림 (7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