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대한결핵협회 The Korea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
연구책임자 |
최홍조
|
참여연구자 |
김희진
,
오경현
,
정혜주
,
김혜영
,
김명희
,
김종건
,
김창훈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1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0142 |
DB 구축일자 |
2019-06-08
|
키워드 |
결핵.사회적 결정요인.지역기반연구.건강불평등.Tuberculosis.Social determinants.Community-based research.Heatlh inequity.
|
초록
▼
연구배경 및 목표: 국내 결핵부담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등도 부담 국가로 분류한다. 기존의 결핵정책은 ‘위험집단 접근’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지만, ‘인구집단 접근’으로의 변화 등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역/계층 단위의 중재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에서의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취약지역 및 계층 결핵관리를 위한 시범사업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모델 개발을 위한 현황분
연구배경 및 목표: 국내 결핵부담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등도 부담 국가로 분류한다. 기존의 결핵정책은 ‘위험집단 접근’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지만, ‘인구집단 접근’으로의 변화 등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역/계층 단위의 중재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에서의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취약지역 및 계층 결핵관리를 위한 시범사업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모델 개발을 위한 현황분석은 다음의 차원에서 진행한다. 첫째로, 지역기반 결핵사업 기획을 위한 국내외 선행사례를 검토하고, 둘째로, 양적방법론을 통해 결핵신고자료와 지역수준의 변수를 활용하여 치료결과에 영향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셋째로, 질적연구방법론을 통해 현재의 결핵정책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확인한다. 현황분석 결과에 기반 하여 PATCH (the 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Health) 방법론에 따라 시범사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시범사업 수행 이후의 예상 효과를 추정해 본다.
연구결과: 선행사례 분석결과에서 건강정책의 접근법에 따른 결핵프로그램의 국내외 격차가 확인되었고, 단기와 중장기 계획의 기본 방향을 정리하였다. 정량적 심층분석을 통한 치료결과 영향 요인 분석의 결과, 지역수준에서는 빈곤율, 인구밀도, 노인인구 등이 위험요인이었으며 개인수준에서는 고령, 남성, 이주민, 균양성 결핵, 약제내성 결핵, 전원횟수 등이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성적 심층분석 결과, 환자 지원인력의 문제, 모니터링 지표의 부족, 취약계층 결핵관리 컨트롤타워의 부재 및 지역사회의 거버넌스 구조 등의 필요성이 파악되었다. 이를 통한 모형개발에서는 (가칭) 지역사회 기반 결핵 코흐트 사업단을 구성하고, 위험요인 층화에 따른 사례관리와 홈리스/이주민 등 취약계층 특화 관리의 방안이 제안되었다.
(출처 : 보고서 요약문 14p)
Abstract
▼
Background and study objective: South Korea was categorized as one of intermediate TB burden countries, even though TB incidence has gradually decreased. Current NTP is mainly focused on ‘Population-at-risk approach’, but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perspective of NTP to ‘population approach’. I
Background and study objective: South Korea was categorized as one of intermediate TB burden countries, even though TB incidence has gradually decreased. Current NTP is mainly focused on ‘Population-at-risk approach’, but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perspective of NTP to ‘population approach’.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identify social determinants of TB and design or develop interventional strategies based on specific region or group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identify social determinants of TB at the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 and develop a pilot model of TB managemeng and care for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regions and groups.
Methods: There are several dimensions to analyze current status. Firstly, the study review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focused on community-based TB program. Secondly, the study examine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nsuccessful treatment outcome at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 through TB notification data analysis. Thirdly, the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to diagnose current NTP and identify solutions. Based on those results from three dimensions, the study develop a pilot model according to the PATCH (the 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Health) method. In addition we construct regional network to conduct the pilot projcet. Lastly, we try to estimate the potential impact of the pilot project.
Results: We identified knowledge gap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s and identified some potential ways of TB policy at short-term and mid/long-term perspectiv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nsuccessful treatment outcome were old age, male, immigrants, bacteriologically positive TB, drug-resistant TB and number of transfer at individual level, and poverty rate, density and rate of the elderly at regional level. The qualitative study identified human resource shortages, lack of monitoring system, lack of supervising system for vulnerable population and a neccessity of governance. With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pilot model which mainly include to construct ‘community-based TB cohort project team’and conduct risk stratification of TB patients and case management based on their risks. In addition, there were a special team to manage and care homeless and immigrant TB patients.
(출처 : Summary 1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표목차 ... 3
- 그림목차 ... 10
- 글상자목차 ... 12
- 보고서 요약문 ... 14
- Summary ... 15
-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16
- 제1장 최종 목표 ... 16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24
-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 30
- 제4장 최종 연구결과 ... 32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45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47
-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51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52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53
- 제10장 참고문헌 ... 55
- 제11장 첨부서류 ... 57
- 붙임 1. 국내외 사례조사 – 건강형평성 관점에서의 국내결핵정책의 방향 ... 58
- 붙임 2. 정량적 심층분석 ... 94
- 붙임 3. 정성적 심층분석 ... 187
- 붙임 4. 사회경제적 취약지역 및 계층 결핵관리 시범사업 모형 개발 ... 266
- 붙임 5. 참고문헌 ... 293
- 부록-1. 결핵시범사업 수행 시 구성 가능한 네트워크(안) ... 303
- 부록-2. 부산광역시 마을건강센터 운영 현황 ... 306
- 부록-3. 부산지역 취약계층 결핵진료 및 관리 개선방안 ... 307
- 부록-4. 부산지역 홈리스 결핵현황 조사 ... 309
- 부록-5. 시범사업 예상성과 비교분석 ... 316
- 부록-6. 정량적 심층분석 부록자료 ... 319
- 끝페이지 ... 45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