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ans University |
---|---|
연구책임자 | 박선기 |
참여연구자 | 김다은 , 김완희 , 박소정 , 이상미 , 이승연 , 이예본 , 임수정 , 정슬기 , 정승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3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900002401 |
과제고유번호 | 1485013752 |
사업명 |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9-07-06 |
키워드 | 환경위성탑재체.대기-화학 결합모델.자료동화.관측연산자.최대우도앙상블필터.GEMS.atmosphere-chemistry coupled model.data assimilation.observation operator.maximum likelihood ensemble filter(MLEF).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401 |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 환경위성탑재체에서 생산되는 관측 자료의 효율적인 활용
- 첨단자료동화 시스템으로 고해상도 위성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 고해상도 위성 자료로 개선된 화학 초기장을 생성한다.
- 월경 (transboundary) 대기오염 예보의 향상시킨다.
■ 환경위성탑재체 관측 자료를 동화하는 화학 수송 자료동화 시스템 개발
- 흐름의존적(flow-dependent) 불확실성 추정이 가능한 자료동화 방법을 사용한다.
- 복사휘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한 자료동화 시스템을
Ⅳ. Results
Unit Project Name : Development of Data Assimilation System for GEMS
Results
■ Development of WRF-Chem-MLEF system
- Complete development of hybrid data assimilation method (MLEF) with coupled atmosphere-chemistry model (WRF-Chem)
- Development of assimilation capabilit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