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 규제변화 대응 및 Non-CO2 저감기술 국내보급/해외진출 지원 전략 방안 수립
Responding to Change of GHG Regulations and Developing Strategy for Supporting Commercialization of Non-CO2 Mitigation Techn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연구책임자 문승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0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900002432
과제고유번호 1485014098
사업명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9-06-29
키워드 온실가스 규제.국내보급확산.기술수출.사업화.사업전략.GHG regulation.Non-CO2.domestic dissemination.technology export.commercialization.business strategy.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432

초록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기후변화협약에서 온실가스 대상 확대,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국가에서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 등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나, Non-CO2 저감기술의 사업화는 부진한 실정임. 이에 세계 주요 Non-CO2 배출국가의 기술수요와 국내 수요를 파악하여 사업화 지원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

□ 연구개발결과
▪ 국제 온실가스 규제 변화 파악
▪ 전세계 Non-CO2 온실가스 배출 현황 조사
▪ 국내 Non-CO2 기술 수요 조사
▪ 온실가

Abstract

Ⅳ. Results
◦ Global Non-CO2 regulations and response
◦ Non-CO2 GHGs emissions by sectors and gas categories
◦ Domestic R&D trend,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ed in local governments and foreign market
◦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and business models
<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 약 서 ... 2
  • 요 약 문 ... 4
  • SUMMARY ... 6
  • 목차 ... 8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15
  • 1. 연구배경 및 목적 ... 18
  • 1-1. 연구배경 ... 18
  • 1-2. 연구의 필요성 ... 20
  • 1-3. 연구목적 ... 26
  • 2. 국내외 Non-CO2 주요 규제동향 및 전망 ... 28
  • 2-1. 국제기구에서의 논의 동향 ... 28
  • 2-2. COP 논의 동향 ... 36
  • 3-3. 주요 선진국의 규제 동향 ... 56
  • 2-4. F-가스 규제 동향 ... 89
  • 3. 국내외 기술 산업화 정책 및 제도 ... 106
  • 3-1. 주요 선진국의 기술 산업화 정책 ... 106
  • 3-2. 국내 기술 산업화 정책 ... 129
  • 3-3. 수출 지원 정책 ... 149
  • 4. Non-CO2 발생 현황 ... 194
  • 4-1. 전세계 Non-CO2 배출량 ... 194
  • 4-2. 국내 Non-CO2 배출량 ... 216
  • 5. 기술수요 및 관련기술 동향 ... 220
  • 5-1. 기술수요 조사 ... 220
  • 5-2. 부문별 저감기술 및 관련기술 개발 현황 ... 243
  • 6. 온실가스 규제대응 방안 ... 256
  • 6-1. 규제대응 ... 256
  • 6-2. 배출권 거래제도 하에서의 대응 방안 ... 257
  • 6-3. CDM 체제의 변화 및 상쇄제도의 활용과 대응 방안 ... 276
  • 6-4. 기타 포스트 교토 체제 하에서의 대응 방안 ... 286
  • 7. 사업화 전략 ... 288
  • 7-1.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 288
  • 7-2. 기술설명회 ... 291
  • 7-3. 사업화 지원 방향 ... 302
  • 7-4. 사업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 306
  • 7-5. 사업단 개발기술의 BM 적용 ... 319
  • 참고문헌 ... 388
  • 끝페이지 ... 391

표/그림 (25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