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하천관리 기술 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김규호
참여연구자 김지성 , 홍일 , 정상화 , 이찬주 , 김주훈 , 전호성 , 김우람 , 최흥식 , 장창래 , 이남주 , 이웅희 , 박지훈 , 황지웅 , 심규랑 , 모선재 , 이지행 , 최용환 , 최승제 , 최종근 , 김기정 , 조형진 , 안우기 , 송영진 , 황효 , 신지혜 , 백태효 , 강태욱 , 김진우 , 홍석희 , 김지현 , 김예림 , 이훈석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01
과제시작연도 2018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900004628
과제고유번호 1615010125
사업명 물관리연구(R&D)
DB 구축일자 2019-07-27
키워드 하천복원.복원 프레임워크.하천교란 적응관리.안정하도 설계.원격 계측.River restoration.Restoration framework.Disturbance-adaptive management.Stable channel design.Remote sensing.

초록

최근 하천유역 관리분야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와 가뭄, 이에 대한 물관련 사업의 대응과 적응관리 그리고 산업화와 도시화로 사라져 가는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위하여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하천관리 기술개발을 수행함. 세부기술로는 유역흥수 지체저류, 생물서식 기능 등 하천 고유기능 회복을 위한 공간복원 기술개발, 하천교란 저감 및 적응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교란관리 기술개발, 실시간 유량 자료 생산과 친환경 구조물 개발로 하천생태환경 관리역량 증진을 위한 하천관리 기술개발이 있음

(출

Abstract

Purpose & Contents
Purpose
Development of river management technology to deal with environmental change
·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secure and utilize river area
· Development of disturbance-adaptation management technology due to river facility
· Development of functional transver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연 구 참 여 진 ... 5
  • 보고서 요약서 ... 9
  • 국문요약문 ... 11
  • SUMMARY ... 13
  • 목차 ... 15
  • 표목차 ... 21
  • 그림목차 ... 29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51
  • 제 1 절 연구개발 목적 ... 51
  • 제 2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52
  • 제 3 절 연구개발의 범위 ... 55
  •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 59
  • 제 1 절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활용기술 개발 ... 59
  • 1. 국내관련사업 동향 분석 ... 59
  • 2. 국외관련사업 동향 분석 ... 60
  • 제 2 절 하천구조물로 인한 교란적응 관리기술 개발 ... 62
  • 1. 국내관련사업 동향 분석 ... 62
  • 2. 국외관련사업 동향 분석 ... 64
  • 제 3 절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 구조물 개발 ... 65
  • 1. 국내 관련사업 동향 분석 ... 65
  • 2. 국외관련사업 동향 분석 ... 68
  •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성과 ... 73
  • 제 1 절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활용기술 개발 ... 73
  • 1. 세부 연구목표 및 연구개발 수행내용 ... 73
  • 2.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활용기술 개발 ... 75
  • 3. 하천공간 복원의 가치평가 ... 254
  • 제 2 절 하천구조물 최적적응관리시스템 구축과 안정 하도 설계기법 개발 ... 311
  • 1. 세부 연구목표 및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개발기술 간의 연계 ... 311
  • 2. 하천시설물 도입에 따른 하천 교란평가 방법 개발과 하천 교란 최적적응 관리 시스템 구축 ... 314
  • 3. 하도구조물에 의한 하도의 적응 및 변화예측 기술개발 ... 371
  • 4.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 개발 ... 476
  • 5. 실용화 방안 ... 533
  • 제 3 절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 구조물 개발 ... 536
  • 1. 세부 연구목표 및 연구개발 수행내용 ... 536
  • 2. WIA & River-HQ 시스템 개발 ... 537
  • 3. 친환경 횡단구조물의 개발 ... 676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 761
  • 제 1 절 목표 달성도 ... 761
  • 1.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 활용기술 개발 ... 761
  • 2. 하천 구조물 인한 교란적응 관리기술 개발 ... 763
  • 3.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 구조물 개발 ... 766
  • 제 2 절 관련분야 기여도 ... 769
  • 1.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 활용기술 개발 ... 769
  • 2. 하천 구조물 인한 교란적응 관리기술 개발 ... 770
  • 3.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 구조물 개발 ... 771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773
  • 제 1 절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활용기술 개발 ... 773
  • 제 2 절 하천구조물로 인한 교란적응 관리기술 개발 ... 775
  • 제 3 절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 구조물 개발 ... 776
  • 1. 연구성과의 활용 분야 및 방안 ... 776
  • 2. 기업화 및 기술이전 계획 ... 776
  • 제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 777
  • 제 1 절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활용기술 개발 ... 777
  • 제 2 절 하천구조물로 인한 교란적응 관리기술개발 ... 796
  • 제 3 절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 구조물 개발 ... 800
  • 1. 유량관측의 고도화 매뉴얼 ... 800
  • 2. Arduino와 Raspberry Pi를 이용한 수문 관측 장비 제작 ... 801
  • 3. HEC-RAS를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 802
  • 4. 불연속 갤러킨 천수방정식 모델에 대한 완전 음해법 ... 803
  • 5. 불연속 지형 처리를 위한 표면경사법 ... 804
  • 6. 격자 볼츠만 방법 기반 천수방정식 모의에서 난류 재현 ... 804
  • 7. 격자 볼츠만 방법 기반 천수방정식 모의에서 이동경계 모의 ... 805
  •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 807
  •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809
  •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 실적 ... 811
  •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 813
  • 1. 주요 핵심성과 ... 813
  • 2. 주요 연구실적 ... 815
  • 제11장 참고문헌 ... 821
  • 제 1 절 하천공간 확보 및 최적활용기술 개발 ... 821
  • 제 2 절 하천구조물로 인한 교란적응 관리기술 개발 ... 826
  • 제 3 절 하천 환경관리를 위한 기능성 횡단구조물 ... 836
  • 끝페이지 ... 845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