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 기술보고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가천대학교
Gachon University
연구책임자 전승훈
참여연구자 이형숙 , 최정권 , 차윤정 , 김민수 , 박소현 , 정지우 , 김가영 , 김채백 , 김우람 , 박상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01
과제시작연도 2018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900004646
과제고유번호 1615010127
사업명 물관리연구(R&D)
DB 구축일자 2019-07-27

초록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1.1 하천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늘날 하천 수계 및 하천환경은 광범위한 생물적 요인과 무생물적 요인의 상호작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고도의 복잡성을 지닌 역동적인 체계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체계는 홍수조절과 생산성, 그리고 생태학적 피난처로서 생물 종 보존의 핵심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어메니티, 운송, 여가 및 관광 등 사회문화적 경관의 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Verdonschot, 2000; Kamp et al., 2007)

목차 Contents

  • 표지 ... 1
  • 기술 보고서 목록 ... 3
  • 연구 참여진 ... 5
  • 목차 ... 7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27
  • 제1장 연구 개요 ... 31
  • 1.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 31
  • 1.1 하천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31
  • 1.2 현황 및 필요성 ... 32
  • 2. 연구개발의 목표 ... 34
  • 2.1 기본 방향 ... 34
  • 2.2 목표 및 목적 ... 35
  • 3. 연구의 추진체계 및 진행과정 ... 36
  • 3.1 추진 체계 ... 36
  • 3.2 진행 과정 ... 37
  • 4. 연구성과의 활용성 및 기대 효과 ... 39
  • 4.1 법·제도적 활용 ... 39
  • 4.2 국내 하천환경 관리지표 설정 및 시범사업 추진 ... 40
  • 4.3 과학기술적, 사회경제적 기대 효과 ... 40
  • 4.4 하천환경 정보의 표준화 ... 41
  • 4.5 적용의 한계 ... 41
  • 제2장 국내외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이론적 고찰 ... 44
  • 1. 하천의 유형화 및 평가단위의 검토 ... 44
  • 1.1 하천환경의 개념과 특성 ... 44
  • 1.2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개념적 틀 ... 45
  • 1.3 하천의 유형화 및 평가단위의 구분 ... 46
  • 2. 하천환경평가지표 및 기준 ... 66
  • 2.1 물리분야 ... 66
  • 2.2 생물분야 ... 68
  • 2.3 수질분야 ... 81
  • 2.4 친수분야 ... 91
  • 2.5 관련 연구동향 ... 96
  • 제3장 국내외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사례 검토 ... 101
  • 1. 국외 하천환경 평가체계 ... 101
  • 1.1 독일(LAWA)의 하천서식처 평가(River Habitat Assessment) ... 101
  • 1.2 호주의 물리적 평가규약(Physical Assessment Protocol) ... 110
  • 2. 국내 하천환경 평가체계 ... 119
  • 2.1 유역조사 지침 ... 119
  • 2.2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 ... 119
  • 2.3 하천기본계획 수립 지침 ... 121
  • 2.4 자연친화적 하천관리 통합지침 ... 124
  • 2.5 하천설계 기준·해설 ... 127
  • 2.6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 129
  • 2.7 하천자연도 평가기법 ... 131
  • 2.8 물 환경관리 기본계획 ... 133
  • 제4장 한국형 표준화된 하천환경 진단 및 평가체계의 구축 ... 136
  • 1. 기본 원칙 및 용어 정의 ... 136
  • 1.1 기본 원칙 ... 136
  • 1.2 용어 정의 ... 137
  • 2. 하천환경 진단 및 평가체계의 구성 ... 139
  • 2.1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개요 ... 139
  • 2.2 하천환경 평가의 흐름도 ... 140
  • 3. 목적 및 적용 범위 ... 141
  • 3.1 목적 ... 141
  • 3.2 적용 범위 ... 142
  • 4. 하천의 유형화 및 평가단위의 체계화 ... 143
  • 4.1 하천의 유형화 ... 143
  • 4.2 하천환경의 평가단위(Assessment Unit) ... 147
  • 5. 기준도면 작성 ... 147
  • 5.1 기본방향 ... 147
  • 5.2 기준도면의 작성 ... 148
  • 5.3 표준조사 체계의 적용 ... 150
  • 6. 하천환경의 평가분야 및 평가지표 ... 151
  • 6.1 평가분야의 설정 ... 151
  • 6.2 분야별 평가항목 및 지표 ... 152
  • 6.3 평가기준의 정립 ... 154
  • 6.4 하천환경의 평가 및 등급 구분 ... 154
  • 7. 평가 분야별 평가체계 ... 155
  • 7.1 물리분야 ... 155
  • 7.2 생물분야 ... 167
  • 7.3 수질분야 ... 208
  • 7.4 친수분야 ... 215
  • 8. 한국형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구축 ... 225
  • 8.1 기본방향 ... 225
  • 8.2 하천환경 자연도와 하천 친수도의 산정 및 평가등급화 ... 226
  • 제5장 시험하천 적용 및 검증 ... 228
  • 1. 시험하천의 개념정의 및 선정 ... 228
  • 1.1 시험하천과 참조하천 ... 228
  • 1.2 시험하천의 선정 및 운영 ... 229
  • 1.3 기준도면의 작성 및 평가단위 체계화 ... 230
  • 2. 분야별 평가체계의 적용 및 검증 ... 239
  • 2.1 물리분야 ... 239
  • 2.2 생물분야 ... 249
  • 2.3 수질분야 ... 277
  • 2.4 친수분야 ... 282
  • 3.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적용 및 검증 ... 298
  • 3.1 하천환경 자연도 및 하천 친수도 ... 298
  • 3.2 공동 시험하천 적용 및 평가 ... 299
  • 제6장 정책제도화 및 공공성 확보 ... 303
  • 1. 법제도적 적용성 검토 및 제안 ... 303
  • 1.1 현황분석 ... 303
  • 1.2 시사점 ... 304
  • 1.3 정책 제안 ... 305
  • 2. 하천기본계획 수립 지침의 제·개정 ... 307
  • 2.1 기본방향 ... 307
  • 2.2 하천기본계획 수립 지침의 개정(안) ... 309
  • 3. 하천환경 관리를 위한 지구지정 기준(안) 제시 및 적용성 검토 ... 312
  • 3.1 지구 지정의 법적 근거 ... 312
  • 3.2 법제도적 지침의 검토 ... 314
  • 3.3 지구지정(안) 제시 및 적용성 검토 ... 321
  • 4. 수자원조사 및 관리법의 하천환경 자연도 산정 및 고시를 위한 적용성 검토 ... 328
  • 4.1 배경 및 목적 ... 328
  • 4.2. 관련 법 및 지침 ... 328
  • 4.3 하천의 유형화 및 평가단위 구분 ... 328
  • 4.4 평가지표 및 평가기준 ... 329
  • 4.5 평가지표 조사 방법론 ... 331
  • 4.6 하천환경 자연도 산정 ... 332
  • 4.7 시험하천 기준의 적용성 검토 ... 332
  • 4.8 하천기본계획 수립 보고서를 활용한 적용성 검토 ... 341
  • 5. 국내 하천사업 용역대가 비용 사례분석 ... 355
  • 5.1 개요 ... 355
  • 5.2 실비정액가산방식 관련 국내·외 문헌 및 사례 조사 ... 356
  • 5.3 하천환경 평가체계와 국내 관련 지침 간의 유사항목 비교 검토 ... 357
  • 5.4 원가의 구성 ... 358
  • 5.5 적정 용역대가 산정을 위한 국내 관련 주요 지침 비용 분석 ... 360
  • 5.6 향후 과제 ... 366
  • 참고문헌 ... 367
  • 끝페이지 ... 380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