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고신대학교 Kosin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동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2 |
과제시작연도 |
2017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14132 |
과제고유번호 |
1465025020 |
사업명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
DB 구축일자 |
2019-09-07
|
키워드 |
모기.색상.명도.선호성.흡혈원.mosquito.color preference.blood feeding.Aedes albopictus.Culex pipien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14132 |
초록
▼
지구온난화에 따라 지카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등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의 발생분포가 확대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해 효율적인 개인방어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의 감염병 매개 주요종 중에 주행성으로서 Dengue virus와 Zika virus를 매개하는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와 야행성으로서 West Nile virus (WNV)를 매개하는 빨간집모기 (Culex pipiens)를 대상으로 흡혈원에 대한 색상 (Hue) 및 명도 (Value)에 따른 선호성/비선호성 정도와 그 특징을 밝혀 이를 이용한 개
지구온난화에 따라 지카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등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의 발생분포가 확대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해 효율적인 개인방어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의 감염병 매개 주요종 중에 주행성으로서 Dengue virus와 Zika virus를 매개하는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와 야행성으로서 West Nile virus (WNV)를 매개하는 빨간집모기 (Culex pipiens)를 대상으로 흡혈원에 대한 색상 (Hue) 및 명도 (Value)에 따른 선호성/비선호성 정도와 그 특징을 밝혀 이를 이용한 개인방어법을 개발하여 활용하기 위한 과학적 자료를 얻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 모기는 2016년에 채집하여 사육중인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 (Culex pipiens) 암컷을 사용하였다. 실내실험은 두 색상을 한 실험 그룹으로 하여 실시하고 Mosquito Preference Index (MPI)를 사용하여 선호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MPI치는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MPI =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at a trap with subject color / Total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traps with different colors. 색상에 따른 선호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내실험에서는 흑색, 백색,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보라색을 비교하였고, 명도에 따른 선호성을 조사하기 위해 흑색, 백색, 흑/백 가로줄무늬, 흑/백 세로줄무늬, 적색 계열 3색 (원색, 연색, 암색), 황색 계열 3색, 녹색 계열 3색, 청색 계열 3색, 보라색 계열 3색을 비교하였다. 야외실험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의 옷을 입힌 트랩과 마네킹을 24시간 동안 야외에 노출시켜 채집된 모기수를 조사하여 매개모기의 선호성을 알아내었다.
색상에 따른 선호성 연구 결과, 흰줄숲모기는 노출 후 2.0 시간의 선호도가 흑색, 적색, 청색, 보라색 (MPIs, 0.7-0.6)에 대해 동일하게 높았고, 녹색은 중간 선호도를 보였으며 (MPI, 0.5), 백색과 황색 (MPIs, 0.3-0.2)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p<0.05). 빨간집모기도 노출 2.0 시간 경과 후에 흑색과 적색 (MPIs, 0.7)의 선호도가 녹색과 청색 및 보라색 (MPIs, 0.6), 황색 (MPI, 0.3)과 백색 (MPI, 0.2)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명도에 따른 선호성 결과, 흰줄숲모기와 빨간집모기는 공통적으로 적색, 황색, 녹색, 청색계열에서 명도가 낮을수록 선호도가 높았고, 흑/백 가로 또는 세로무늬보다 명도가 낮은 흑색을 선호하였으며, 백색에 비해서는 줄무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p<0.05). 한편 흰줄숲모기는 세로무늬 (MPI, 0.7)를 가로무늬 (MPI, 0.3)보다 더 선호하는 반면 빨간집모기는 무늬의 종류에 따른 선호도 차이가 없었다 (p<0.05). 또한 흰줄숲모기는 보라색 계열의 명도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빨간집모기는 보라색의 명도가 낮을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종에 따라 일부의 차이를 보였다 (p<0.05). 야외실험 결과 적색, 청색, 황색, 녹색 트랩에 채집된 비율을 비교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적색 (43.4%)과 청색 (31.92%)을 녹색 (13.6%)과 황색(11.1%) 보다 선호하였고,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도 흰줄숲모기와 유사하게 청색 (64.3%)과 적색(19.6%)을 녹색 (3.6%)과 황색(12.5%) 보다 선호하였다 (p<0.05).
색상 및 명도와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흰줄숲모기는 동종 색상의 명도(L)가 낮을수록 (r= -0.640, p<0.01), 청색(b)에 가까울수록 (r= -0.372, p<0.05) 선호하였고, 빨간집모기도 명도가 낮을수록 (r= -0.703, p<0.01) 선호도가 높았으나 흰줄숲모기와 달리 청색성을 선호하는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p<0.05). 한편 두 종 모두 적색, 황색, 녹색, 청색 계열에서 명도가 낮을수록 선호도가 증가하였으나, 보라색 계열에 대하여 빨간집모기는 다른 색상과 동일하게 명도가 낮을 수록 선호도가 증가한 반면 흰줄숲모기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출처 : 요약문 5p)
Abstract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if main domestic vector mosquitoes, Aedes albopictus as a diurnal species and Culex pipiens as a nocturnal species, have color preference for blood feeding activity. Laborat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and compared to assess color attractiveness using seve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if main domestic vector mosquitoes, Aedes albopictus as a diurnal species and Culex pipiens as a nocturnal species, have color preference for blood feeding activity. Laborat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and compared to assess color attractiveness using seven fundamental colors including black, white, red, yellow, green, blue, and purple with their three different reflect luminous intensities for brightness preference. The experimental bodies were used BioGents Sentinel traps (BG traps) with 20g dry ice, which covered outside of the traps attached with each different colored sheets. In each experiment, a pair of BG traps was placed in a 1.8 m x 3.7 m x 1.8 m screened enclosure. The enclosure maintained at 26±2℃, 65±5% RH, and 100 lux illumination. Evaluations were performed for two hours between 10:00 and 16:00 for each 25 Ae. ablopictus females and 15 hours from 18:00 to 9:00 for each 25 Cx. pipiens females. Field evaluations were performed at the Amnam park, Busan in September, 2017. To attract and collect field mosquitoes, dummy sets were set at the field with BG traps and dry ice that were covered with four colored cotton cloths including red, yellow, green, and blue. Mosquitoes were collected at the traps of the colored dummy sets at every 24 hours. The mosquito collection rates in the different colors were analyzed for mosquito color preference.
As a result, black traps collected the largest number of Ae. albopictus as a mean 0.7 of 1.0 for Mosquito Preference Index (MPI), followed closely by red, blue, and purple (MPIs, 0.6) tha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green (MPI, 0.5), white (MPI, 0.3), and yellow (MPI, 0.2). Similarly, the MPIs for Cx. pipie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black and red traps (MPIs, 0.7) but the MPIs at yellow (MPI, 0.3) and white (MPI, 0.2) trap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ose of the other colors at 100 lux illumination in the enclosure. Aedes albopictus and Cx. pipiens were attracted significantly more at black color than black/white (B/W) strips.
Aedes albopictus preferred vertical B/W strips (MPI, 0.7) than horizontal B/W strips (MPI, 0.3) but Cx. pipiens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wo different strip shapes (p<0.05). In the field tests, Aedes albopictus and Ae. togoi were collected significantly more at red (43.4%, 19.6%) and blue (31.9%, 64.3%) colors than green (13.6%, 3.6%) and yellow (11.1%, 12.5%) colors, respectively (p<0.05). At the tests for the effects of reflect luminous intensities (L-value) of colors including light. Primary, and dark colors of each red, yellow, green, and blue color, Ae. albopictus and Cx. pipiens preferred more to lower L-values and correlated negatively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luminous intensities of the colors such as r= -0.640 (p= 0.000) and r=-0.703 (p= 0.000), respectively. Therefore, two mosquito species preferred significantly darker colors (p<0.05).
(출처 : Summary 6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최종결과보고서 ... 2
- 목차 ... 3
- 연구결과최종보고서 요약문 ... 5
- Summary ... 6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7
- 제1장 최종 목표 ... 7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9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12
- 3.1 연구 개발 추진 전략·방법 ... 12
- 3.2 연구 개발 추진 체계 ... 21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22
- 4.1 색상에 따른 선호성 ... 22
- 4.2 명도에 따른 선호성 ... 55
- 4.3 야외실험 ... 87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89
- 5.1 고찰 ... 89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93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94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94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당해년도) 및 연구원 분담표 ... 95
- 제10장 참고문헌 ... 97
- 끝페이지 ... 9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