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터널화재 및 지하공간(차량화재) 초기탐지 및 화재진압 시스템 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탱크테크
연구책임자 김영한
참여연구자 지태호 , 이진오 , 이동하 , 박장범 , 백석현 , 김동현 , 이정훈 , 박지원 , 이다솜 , 임형근 , 김동석 , 곽지현 , 안병호 , 이준석 , 이주은 , 임희창 , 이영태 , 박창석 , 이영우 , 평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01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소방청
National Fire Agency
등록번호 TRKO201900014328
과제고유번호 1761000480
사업명 소방안전및119구조·구급기술연구개발
DB 구축일자 2019-09-07
키워드 물 분부기술.이동식 소화설비.화점추적.방수총.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14328

초록

□ 연구목적
장대 터널, 대심도 및 지하공간등과 같은 초기 화재 진압에 어려움이 따르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분석을 통해 화재 확산 방지 및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 장치를 장착한 오토레일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재 진압 기술 개발
◆ 터널 및 지하공간(주차장)화재 자가탐지장비 및 방수시스템 개발
◆ 지하공간(주차장)차량 연소 확대 저지 및 조기 소하를 위한 소방시설 설계 기준 제시
◆ 오토레일시스템 이용 지속적으로 화재 감시 및 소화 장치를 장착한 국내 지하공간 화재 진압 및 감시용 자동화 시스템 개발
<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초록 ... 3
  • 요 약 문 ... 5
  • 목차 ... 7
  • 그림목차 ... 15
  • 표목차 ... 25
  • 제 1 장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28
  • 제 2 장 국내외 지하주차장 관련 화재통계 분석 및 화재사례 조사 ... 31
  • 2.1 국내외 지하주차장 관련 화재통계 분석 ... 31
  • 2.1.1 국내 지하주차장 관련 화재통계 ... 31
  • 2.1.2 일본(동경도)의 지하주차장 관련 화재통계 ... 38
  • 2.1.3 국내외 지하주차장 화재 시 소화설비 작동통계 ... 40
  • 2.1.4 국내외 지하주차장 화재통계 고찰 ... 45
  • 2.2 국내외 지하주차장 화재사례 ... 46
  • 2.2.1 국내 지하주차장 화재사례 ... 48
  • 2.2.2 일본(동경도)의 지하주차장 화재사례 ... 55
  • 2.2.3 국내외 지하주차장 화재사례 고찰 ... 59
  • 제 3 장 국내외 지하주차장의 소방시설 현황 ... 60
  • 3.1 국내외 지하주차장 소방시설의 종류 및 설치대상 ... 60
  • 3.1.1 국내의 경우 ... 60
  • 3.1.2 일본의 경우 ... 62
  • 3.1.3 미국의 경우 ... 63
  • 3.2 국내 지하주차장 소방시설의 운용현황 ... 64
  • 3.2.1 지하주차장의 스프링클러설비 운용 현황 ... 65
  • 3.2.2 지하주차장의 감지기 운용 현황 ... 68
  • 3.2.3 지하주차장 제연설비의 운용 현황 ... 69
  • 제 4 장 지하주차장 소방시설의 개선점 및 성능향상방안 ... 71
  • 4.1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설비 성능향상방안 도출을 위한 기술검토 ... 72
  • 4.1.1 화재감지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검토 ... 72
  • 4.1.2 방사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검토 ... 81
  • 4.1.3 유지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검토 ... 84
  • 4.1.4 그 밖의 성능향상방안 검토 ... 85
  • 4.2.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설비 성능향상방안 요약 ... 90
  • 4.2.1 시스템 운용상 성능향상방안 ... 90
  • 4.2.2 설치 및 관리상 성능향상방안 ... 91
  • 제 5 장 지하주차장 소방시설의 개선을 위한 효율화 실험 ... 93
  • 5.1 라지 콘 칼로리미터 실물 차량 화재 시험 ... 93
  • 5.1.1 시험 조건 ... 93
  • 5.1.2 차량 1대 화재 시험 ... 98
  • 5.1.3. 차량 2대 화재 전이 시험 ... 103
  • 5.1.4 차량간 화재확산 시뮬레이션 기법 확보 ... 108
  • 5.2 화원에 따른 소화 설비 종류별 동작 실험 ... 112
  • 5.2.1 목재 화재 ... 113
  • 5.2.2 유류 화재 ... 118
  • 5.3 보를 고려한 화재감지기 동작실험 ... 120
  • 5.3.1 실험 개요 ... 120
  • 5.3.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 120
  • 5.3.3 실험결과 및 고찰 ... 124
  • 5.4 스프링클러헤드 이격거리에 따른 동작시간 비교실험 ... 130
  • 5.4.1 실험 개요 ... 130
  • 5.4.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 130
  • 5.4.3 실험결과 및 고찰 ... 132
  • 5.5 스프링클러헤드 감열체 종류에 따른 동작시간 비교실험 ... 138
  • 5.5.1 실험 개요 ... 138
  • 5.5.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 138
  • 5.5.3 실험결과 및 고찰 ... 139
  • 5.6. 실물차량 화재실증실험 ... 142
  • 5.6.1 실험 개요 ... 142
  • 5.6.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 143
  • 5.6.3 실험결과 및 고찰 ... 144
  • 5.7 감지기 종류에 따른 응답특성 실험사례 ... 150
  • 5.7.1. 실험 개요 ... 150
  • 5.7.2 실험장치 및 시험방법 ... 151
  • 5.7.3 실험결과 고찰 ... 152
  • 5.8 지하주차장 화재실증실험 결론 ... 153
  • 제 6 장 지하주차장 소방시설 기준 개선안 및 설계지침 제시 ... 155
  • 6.1 지하주차장 소방시설 관련 화재안전기준 개선안 ... 156
  • 6.1.1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개선안 ... 156
  • 6.1.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개선안 ... 158
  • 6.2 지하주차장 소방시설기준 개선안의 설계지침 ... 159
  • 6.2.1 지하주차장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성능향상방안 관련 설계지침 ... 159
  • 6.2.2 기타 설계지침 ... 161
  • 제 7 장 도로터널 화재사례 및 화재특성 및방재시스템 ... 162
  • 7.1 국내 도로터널 현황 ... 162
  • 7.2 도로터널 화재사례 및 분석 ... 163
  • 7.2.1 국내 도로터널 화재 사례 ... 164
  • 7.2.2 국외 도로터널 화재사례 ... 170
  • 7.2.3 국내외 도로터널 화재사례 고찰 ... 177
  • 7.3 도로터널 화재의 특성 ... 178
  • 7.3.1 도로터널 화재특징 ... 178
  • 7.3.2 도로터널에서의 화재성장특성 ... 181
  • 7.4 도로터널 방재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 183
  • 7.4.1 국내 도로터널 방재시스템 관련 기준 ... 183
  • 7.4.2 국내‧외 도로터널 방재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 184
  • 제 8 장 국외 터널 자동화재 진압장치의 최신 동향 ... 188
  • 8.1 미국 ... 188
  • 8.1.1 터널화재 자동진압장치 설치 사례 및 연구동향 분석 ... 188
  • 8.2 유럽 ... 195
  • 8.2.1 터널화재 자동진압장치 설치 사례 및 연구동향 분석 ... 195
  • 8.3 일본 ... 198
  • 8.3.1 터널화재 자동진압장치 설치 사례 및 연구동향 분석 ... 198
  • 제 9 장 터널화재에 적합한 최적 소화방식 선정 ... 201
  • 9.1 수계소화설비의 특징 및 터널화재의 적용성 ... 201
  • 9.1.1 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특징 및 터널화재 적용성 ... 201
  • 9.1.2 터널의 고정식 소화설비(FFFs)의 적용성에 대한 세계도로협회 (PIARC)와 미국방화협회(NFPA)의 의견 ... 202
  • 9.2 터널 수계소화설비의 화재방호원리 ... 204
  • 9.2.1 적용 현황 ... 204
  • 9.2.2 화재진압 기본 방식 ... 204
  • 9.3 터널 수계소화설비의 실규모 화재시험 사례 ... 206
  • 9.4 터널 고정식 수계소화설비의 효용성 평가 ... 209
  • 9.5 터널화재에 적합한 최적 소화방식의 선정 ... 211
  • 제 10 장 터널화재 확산 시뮬레이션 및 방수총 유로해석 ... 212
  • 10.1 터널화재 확산 시뮬레이션 ... 212
  • 10.2 방수총 유로해석 ... 218
  • 제 11 장 차량간 화재 전파시 화재 특성 메커니즘 분석 ... 227
  • 11.1 수치해석 설정 ... 227
  • 11.1.1 수치해석 목적 ... 227
  • 11.1.2 수치해석 조건 및 분석 방법 ... 228
  • 11.2 단일 차량화재에서 종횡비에 따른 화재 특성 ... 232
  • 11.2.1 단일 차량화재 수치해석 결과 ... 232
  • 11.2.2 단일 차량화재 수치해석 결론 ... 239
  • 11.3 다중 차량화재에서 종횡비에 따른 화재 특성 ... 240
  • 11.3.1 다중 차량화재 수치해석 결과 ... 240
  • 11.3.2 다중 차량화재 수치해석 결론 ... 246
  • 제 12 장 이상기류가 자동 소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47
  • 12.1 터널 내 환기/배연용 제트 팬 설치 및 운영 지침 조사 ... 247
  • 12.1.1 제트팬 설계기준 ... 247
  • 12.1.2 임계 환기 속도 (Critical velocity) ... 248
  • 12.1.3 종류식 제연 설비에서의 제트 팬 운영 ... 249
  • 12.2 터널 내 환기/배연용 제트 팬 영향 분석 ... 251
  • 12.2.1 수치해석 목표 ... 251
  • 12.2.2 수치해석 조건 및 분석 방법 ... 251
  • 12.2.3 수치해석 결과 ... 261
  • 12.2.4 수치해석 결론 ... 266
  • 제 13 장 화점추적 화재감지 카메라 ... 267
  • 13.1 화재감지 카메라 개발 필요성 및 목표 ... 267
  • 13.2 영상신호의 분석 및 화재 판단 알고리즘 개발 ... 269
  • 13.3 화점 추적 알고리즘 개발 ... 275
  • 13.4 전동방수총 제어 및 화재감지 거리 계산 알고리즘 개발 ... 277
  • 13.5 화재발생, 화재감지, 화점추적, 방수포 분사에 관한 결과 영상 ... 279
  • 13.6 화재감지 카메라 개발 ... 281
  • 13.7 화점추적 소프트웨어 개발 ... 286
  • 제 14 장 자동 화점추적 이동식 자동소화장치의 개발 및 성능평가 ... 289
  • 14.1 자동 화점추적 이동식 자동소화장치 ... 289
  • 14.1.1 전동방수총 설계 및 제작 ... 289
  • 14.1.2 대차 설계 및 제작 ... 291
  • 14.1.3 이동식 전동방수총 제어시스템 ... 298
  • 14.1.4 모형터널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 300
  • 14.2 성능평가항목 ... 303
  • 14.3 항목별 성능시험방법 ... 303
  • 14.3.1 주행성능시험 ... 303
  • 14.3.2 방수성능시험 ... 304
  • 14.3.3 화재감지성능시험 ... 304
  • 14.3.4 종합기능시험 ... 306
  • 14.3.5 차량 화재진압성능시험 ... 306
  • 14.4 자동 화점추적 이동식 전동방수총의 성능평가 및 분석 ... 311
  • 14.4.1 주행성능시험 ... 313
  • 14.4.2 방수성능시험 ... 315
  • 14.4.3 화재감지성능시험 ... 317
  • 14.4.4 종합기능시험 ... 320
  • 14.4.5 차량 화재진압성능시험 ... 321
  • 14.5 개선 및 보완 사항 검토 ... 335
  • 14.6 사업성 검토 ... 336
  • 제 15 장 결론 및 추후과제 ... 340
  • 참고문헌 ... 341
  • 부록 (Appendix) ... 342
  • 부록1. “이동식소화장치 및 화재자가탐지장비” 운영매뉴얼 ... 343
  • 부록2. “터널화재 진압용 자동 화점추적 이동식 전동방수총” 설계기준(안) ... 360
  • 부록3. “자동 화점추적 이동식 전동방수총” 시험성적서 ... 362
  • 부록4. “자동 화점추적 카메라” 성능인증 ... 367
  • 끝페이지 ... 370

표/그림 (27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