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한 강우사상을 고려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debris flow reduction technology, by reflecting extreme rainfall even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병식
참여연구자 전계원 , 전병희 , 이석호 , 탁원준 , 남동호 , 김영환 , 이정훈 , 강동호 , 윤병하 , 이성현 , 김성태 , 이재혁 , 이효택 , 임태완 , 윤지섭 , 지용근 , 유복만 , 이유선 , 김건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4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국민안전처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등록번호 TRKO201900016285
과제고유번호 1741000461
사업명 자연재해예측및저감연구개발
DB 구축일자 2019-10-26
키워드 극한강우.토석류.다기능 유출저감시설.수치해석.모형실험.설계시공.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16285

초록

연구목적
○ 극한 강우사상을 고려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기술 개발

연구내용
○ 극한강우를 고려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분석 및 해석기법 개발
○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최적 단면개발 및 설계표준화 구축
○ 극한 강우사상을 고려한 토석류 유출저감기술 설치효과 분석 및 최적 활용 계획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효과 모니터링
○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설계 표준화
○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기술 환류 체계 구축

(출처

Abstract

Ⅳ. Conclusions
1. Development of debris flow numerical analysis model (S-DART)
2. Development of design standardization program (DST)
3. Field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debris flow reduction facilities
4. Establishment of website for the feedback system
5. Revision of the main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초록 ... 3
  • 요 약 문 ... 4
  • SUMMARY ... 5
  • 목차 ... 7
  • 그림목차 ... 18
  • 표목차 ... 33
  • 제 1 장 서론 ... 4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41
  • 1.2 주요 연구내용 ... 43
  • 1.2.1 연구개발의 핵심 요소기술 ... 43
  • 1.2.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주요 기능 ... 44
  • 1.2.3 세부 연구의 연계 ... 46
  • 제 2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분석 및 해석을 위한 사례조사 ... 48
  • 2.1 토석류 피해사례조사 및 적지분석 연구사례 ... 48
  • 2.1.1 토석류 피해발생 사례조사 ... 48
  • 2.1.2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분석 연구사례 ... 58
  • 2.2 하천 토석류 피해저감을 위한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활용사례 ... 66
  • 2.2.1. 국내 ... 66
  • 2.2.2 국외 ... 77
  • 2.3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재료별 기능별 설치 사례 ... 87
  • 2.3.1 재료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 사례 ... 87
  • 2.3.2 기능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 사례 ... 88
  • 제 3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선정을 위한 실증자료 분석 ... 94
  • 3.1 토석류 발생 예측을 위한 극한강우 분석 ... 94
  • 3.1.1. 과거 극한강우 발생 경향분석 ... 94
  • 3.1.2 강우조건을 고려한 토석류 발생예측 ... 106
  • 3.2 토석류 유출저감기술효과 실증분석 및 지역특성별 기능유형검토 ... 120
  • 3.2.1 토석류 발생유형 분석 ... 121
  • 3.2.2 강원도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조사 ... 129
  • 3.2.3 현장조사를 통한 저감효과 정량 분석 ... 144
  • 제 4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선정 및 규모결정 ... 161
  • 4.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선정 ... 161
  • 4.1.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선정 기준 및 적용 ... 161
  • 4.1.2 현장설치를 위한 지상 LiDAR 3D스캐너 현장조사 ... 171
  • 4.2 대상지역의 홍수유출량 분석 ... 174
  • 4.2.1 확률강우량 분석 ... 174
  • 4.2.2 확률홍수량 산정 ... 202
  • 4.3 현장 지형특성을 고려한 토석류 유발시험 ... 218
  • 4.4 수치해석을 통한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위치 및 규모 결정 ... 220
  • 4.4.1 RAMMS 모형의 이론 ... 220
  • 4.4.2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분석 ... 224
  • 4.5 유출저감시설 조합효과 실험 ... 230
  • 4.5.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조합효과 실험 ... 230
  • 4.5.2 설계단면 검토 및 실험체 제작 ... 231
  • 4.5.3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조합효과 분석을 위한 실험설계 ... 234
  • 4.5.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 전·후의 저감효과 분석 ... 237
  • 제 5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최적 단면개발 및 설계표준화 구축 ... 239
  • 5.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축조재료 및 공법 제시 ... 239
  • 5.1.1 국내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축조재료 및 공법 조사/분석 ... 239
  • 5.1.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축조재료 및 공법 선정 ... 252
  • 5.2 국내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계기준 조사/분석 ... 253
  • 5.2.1 국내 설계기준 조사/분석 ... 253
  • 5.2.2 국외 설계기준 조사/분석 ... 266
  • 5.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시스템 개발 ... 275
  • 5.3.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시스템 구성 ... 275
  • 5.3.2 Unit별 단면 상세 개발 ... 277
  • 5.3.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안정성 분석 ... 302
  • 5.4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현장 시험시공 및 모니터링 ... 309
  • 5.4.1 시험시공 대상지 선정 ... 309
  • 5.4.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시험시공 실시설계 ... 313
  • 5.4.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시험시공 ... 322
  • 5.4.4 모니터링을 통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안정성 평가 ... 335
  • 5.5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계 표준화 ... 339
  • 5.5.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계 프로그램 개발 ... 339
  • 5.5.2 설계도서 작성 ... 347
  • 제 6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효과 모니터링 ... 357
  • 6.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계측시스템 구축 ... 357
  • 6.1.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계측시스템 설치 ... 357
  • 6.1.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시험시공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 ... 363
  • 6.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효과모니터링(2017.07.04. ~ 05.) ... 367
  • 6.2.1 수문분석 ... 367
  • 6.2.2 RAMMS 모형을 이용한 저감효과 분석 ... 369
  • 6.3 LiDAR 3D 스캐너를 이용한 홍수기 전·후 현장 모니터링 ... 371
  • 6.3.1 시험시공 완료 전·후 현장모니터링 ... 371
  • 6.3.2 홍수 발생 전·후의 지형변화 분석 ... 375
  • 제 7 장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개발 ... 380
  • 7.1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개발 ... 380
  • 7.1.1 토석류 프로그램 개요 ... 380
  • 7.1.2 토석류 프로그램 구조 ... 380
  • 7.1.3 모형의 개발 이론 ... 393
  • 7.2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S-DART) 적용 ... 397
  • 7.2.1 대상지역 현황 ... 397
  • 7.2.2 프로그램 적용 결과 ... 398
  • 제 8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비용/편익 분석 ... 403
  • 8.1 VE(Value Engineering)기법 개요 및 목적 ... 404
  • 8.2 VE 수행 방법 ... 405
  • 8.2.1 다단계 성능평가(Multi-Level Performance Measurement) 기법 ... 405
  • 8.2.2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 분석 ... 405
  • 8.2.3 VE 기능분석 수행 방법 ... 409
  • 8.2.4 성능평가 척도 수립 ... 410
  • 8.2.5 기능분석 ... 414
  • 8.3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VE 분석 ... 415
  • 8.3.1 콘크리트 본댐 ... 415
  • 8.3.2 브레이커 ... 419
  • 8.3.3 버트레스 ... 422
  • 8.3.4 강재틀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 426
  • 8.3.5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 429
  • 8.3.6 VE 검토 결과 ... 433
  • 제 9 장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유지관리 지침 제시 ... 435
  • 9.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유지관리 기법검토 ... 436
  • 9.1.1 국내 시설물 유지관리 현황 조사 ... 436
  • 9.1.2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유지관리방안 검토 ... 440
  • 9.2 기존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유지관리 지침 조사 ... 454
  • 9.2.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유지관리 매뉴얼의 구성 체계 ... 454
  • 9.2.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유지관리 지침에 적용 가능한 내용 도출 ... 456
  • 9.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유지관리 사례조사 ... 460
  • 9.3.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유지관리 현황 ... 460
  • 9.3.2 문제점 및 제한요소 개선방안 수립 ... 467
  • 9.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Unit별 특성을 반영한 유지관리 지침 제시 ... 469
  • 9.4.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관리 ... 469
  • 9.4.2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점검 ... 470
  • 9.4.3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안전진단 ... 471
  • 9.4.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안전조치 ... 472
  • 제 10 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제도 및 관련법령 보완 ... 473
  • 10.1 현행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관련 법령․제도 검토 및 개선사항 도출 ... 473
  • 10.1.1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관련 법령 및 제도 검토 ... 473
  • 10.1.2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관련 법령 및 제도 개선사항 도출 ... 481
  • 10.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제도 및 법령 보완 제시 ... 482
  • 10.2.1 우수유출저감시설과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관련 제도 및 법령 비교·검토 ... 483
  • 10.2.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을 위한 제도 및 법령 보완 제시 ... 488
  • 10.2.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을 위한 법령 제시 ... 488
  • 제 11 장 환류체계 제시 ... 491
  • 11.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 대상 소유역 선정 기법 제시 ... 492
  • 11.2 Case Study ... 499
  • 11.2.1 대상 소유역 선정 ... 499
  • 11.2.2 유역내 인자 분석 ... 500
  • 11.2.3 유역 하류부 인자분석 ... 504
  • 11.2.4 최종 분석 결과 및 표준화 ... 506
  • 11.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환류체계 플랫폼 구축(안) ... 509
  • 11.3.1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플랫폼 컨텐츠 ... 509
  • 11.3.2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환류체계 플랫폼 ... 519
  • 제 12 장 결 론 ... 526
  • 참고문헌 ... 529
  • 부록1.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S-DART 매뉴얼 ... 536
  • 부록2. 설계표준화프로그램 DST 매뉴얼 ... 544
  • 부록3.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현장점검 요령 ... 553
  • 부록4.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안전점검 요령 ... 556
  • 부록5. VE기법을 이용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비용 편익분석(요약본) ... 561
  • 부록6. 소하천정비법 개정(안) ... 591
  • 부록7.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사업법 개정(안) ... 612
  • 부록8. 방재시설의 유지·관리 기준(안) ... 630
  • 끝페이지 ... 630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