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량적 화산재 취약도 구축
Development of Quantitative Fragility Subjected to Volcanic Ash Hazard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함희정
참여연구자 윤윤진 , 한영지 , 남두희 , 김호 , 이지선 , 진동우 , 백성준 , 윤우석 , 최승훈 , 권오익 , 백덕운 , 박종호 , 김지우 , 박명진 , 이주호 , 나일국 , 문병길 , 김호재 , 김평래 , 조성환 , 박정혜 , 변진여 , 이재영 , 추지영 , 설은혜 , 황성희 , 정지윤 , 이나라 , 김샛별 , 김자연 , 최혜진 , 위정혁 , 최하연 , 이영섭 , 옥영석 , 정재욱 , 이영근 , 이철희 , 박미리 , 권정호 , 김은경 , 김정곤 , 김종수 , 김진호 , 김한태 , 성규식 , 송주일 , 유재환 , 장문엽 , 한종수 , 허지원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04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행정안전부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등록번호 TRKO201900017893
과제고유번호 1741000792
사업명 재난예측및저감연구개발
DB 구축일자 2019-11-30
키워드 화산재.취약도 평가.관리기준.매뉴얼.

초록

연구목적
- 화산재에 의한 국내 항공교통, 농축산물, 대기 및 보건-건강 분야의 피해예측 분석 및 화산재해 대응 매뉴얼 고도화

연구내용
- 화산재에 의한 항공교통 피해예측 분석
- 화산재에 의한 농축산물 피해예측 분석
- 화산재에 의한 보건 및 건강분야 피해예측 분석
- 화산재 취약도의 보완
- 화산재 취약도 매뉴얼 반영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구축된 화산재 취약도를 적용하여 화산재에 의한 피해예측 수행 가능
- 화산재해 대응체계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Abstract

Ⅳ. Conclusions
1. Quantification of Volcanic Ash Effects on Air Transportation
2. Analysis of Damage Prediction for Air Transportation by Volcanic ash Deposition
3.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Assessment of Volcanic Ash Effects on air transportation
4. Real-time Aeronautical Database U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초록 ... 9
  • 요 약 문 ... 11
  • SUMMARY ... 13
  • 목차 ... 17
  • 그림목차 ... 25
  • 표목차 ... 47
  • 제 1 장 서 론 ... 63
  • 1.1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 63
  • 1.1.1 연구개발의 배경 ... 63
  • 1.1.2 연구개발의 필요성 ... 64
  • 1.2 최종 목표 및 연차별 연구 목표 ... 66
  • 1.2.1 최종 목표 ... 66
  • 1.2.2 연차별 연구 목표 ... 67
  • 1.3 연구성과 활용 및 기대효과 ... 71
  • 1.3.1 연구성과 활용 ... 71
  • 1.3.2 기대효과 ... 73
  • 1.4 연구진 구성 및 추진 체계 ... 75
  • 1.4.1 연구진 구성 ... 75
  • 1.4.2 추진 전략 ... 77
  • 1.4.3 추진 체계 ... 83
  • 1.5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 86
  • 1.5.1 항공교통 분야 기술 개발 동향 ... 86
  • 1.5.2 농축산물 분야 기술 개발 동향 ... 86
  • 1.5.3 보건-건강 분야 기술 개발 동향 ... 87
  • 제 2 장 화산재 항공 장애의 실험적 정량화 및 피해예측 분석 ... 89
  • 2.1 항공교통에 대한 화산재 취약요소 및 영향성 분석 ... 89
  • 2.1.1 항공교통에 주는 취약요소 연구 ... 89
  • 2.1.2 화산재가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준 주요 화산폭발 사례분석 ... 94
  • 2.2 항공교통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방안 제시 ... 100
  • 2.2.1 관련 연구 동향 ... 100
  • 2.2.2 항공교통 피해 정량화 방안 제시 ... 102
  • 2.3 항공교통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 104
  • 2.3.1 국내 항공 현황 ... 104
  • 2.3.2 운항 정보 수집 방법 ... 110
  • 2.3.3 항공기 출/도착 정보를 활용한 항공로 추적 ... 111
  • 2.3.4 공항별 출/도착 정보를 활용한 항공로 매칭 ... 112
  • 2.3.5 시나리오 및 평가 결과 ... 119
  • 2.4 항공교통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123
  • 2.4.1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 123
  • 2.4.2 OD 정보 수집방안 ... 123
  • 2.4.3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 127
  • 2.4.4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 132
  • 2.5 화산재에 의한 항공교통 피해예측 분석 ... 161
  • 2.5.1 화산재에 의한 항공교통 피해예측 분석 및 검증 ... 161
  • 2.5.2 항공교통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보완 ... 165
  • 2.6 소결 ... 173
  • 제 3 장 농축산물 화산재 저항성능의 실험적 정량화 및 피해예측 분석 ... 175
  • 3.1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요소 및 영향성 분석 ... 175
  • 3.1.1 화산재의 일반적 특성 ... 175
  • 3.1.2 노지 재배 작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요소 및 영향성 분석 ... 180
  • 3.1.3 주요 노지 재배 작물 및 목초지의 화산재 영향성 분석 ... 184
  • 3.1.4 시설 재배에 대한 화산재 취약요소 및 영향성 분석 ... 189
  • 3.1.5 축산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요소 및 영향성 분석 ... 193
  • 3.2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의 영향성 정량화 방안 제시 ... 197
  • 3.2.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분석 ... 197
  • 3.2.2 노지/시설 재배 농작물에 대한 계절적 영향계수 평가 방안 ... 200
  • 3.2.3 노지 재배 작물의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방안 ... 204
  • 3.2.4 시설 재배 작물의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방안 ... 206
  • 3.2.5 작물 재배 실험을 통한 농작물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방안 ... 218
  • 3.2.6 축산물의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방안 ... 225
  • 3.2.7 농축산물 피해 평가 대상 선정 ... 232
  • 3.2.8 농축산물 영향성의 활용방안 ... 233
  • 3.3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의 영향성 정량화 ... 234
  • 3.3.1 작물 재배 실험을 통한 농작물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 234
  • 3.3.2 화산재 영향성 평가를 위한 계절적 영향계수 정량화 ... 265
  • 3.3.3 노지 재배 작물의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 268
  • 3.3.4 시설 재배 작물의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 270
  • 3.3.5 축산물의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 272
  • 3.4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의 영향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277
  • 3.4.1 노지 재배 작물의 연간 생산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 277
  • 3.4.2 시설 재배 작물의 연간 생산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 279
  • 3.4.3 축산물의 연간 생산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 281
  • 3.5 화산재에 의한 농축산물 피해예측 분석 ... 285
  • 3.5.1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및 데이터베이스 보완 ... 285
  • 3.5.2 화산재에 의한 농축산물 피해예측의 분석 및 검증 ... 297
  • 3.6 소결 ... 313
  • 제 4 장 보건 및 건강분야 화산재 저항성능의 실험적 정량화 및 피해예측 분석 ... 315
  • 4.1 대기 및 보건-건강 분야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의 실험적 정량화 기법 개발 ... 315
  • 4.1.1 보건-건강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방안 제시 ... 315
  • 4.1.2 보건-건강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정량화 ... 326
  • 4.1.3 보건-건강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328
  • 4.2 화산재에 의한 대기오염에 따른 보건-건강분야 영향성의 수치 실험적 정량화 ... 329
  • 4.2.1 보건-건강에 대한 화산재의 영향성 정량화 ... 329
  • 4.2.2 보건-건강에 대한 화산재 피해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343
  • 4.3 화산재에 의한 보건 및 건강분야 피해예측 분석 ... 347
  • 4.3.1 보건 및 건강분야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의 보완 ... 347
  • 4.3.2 화산재에 의한 보건 및 건강분야 피해예측의 분석 및 검증 ... 369
  • 4.3.3 CMAQ 결과를 통해 도출된 화산재 농도에 대한 건강분야 피해예측 ... 401
  • 4.4 소결 ... 411
  • 제 5 장 기타분야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고도화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413
  • 5.1 기타분야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의 고도화 ... 417
  • 5.1.1 종합병원, 학교, 주택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 417
  • 5.1.2 농지 및 삼림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 425
  • 5.1.3 상·하수도시설, 전력시설, 교통시설에 대한 화산재 영향성 ... 429
  • 5.2 기타분야에 대한 화산재 피해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431
  • 5.2.1 종합병원 데이터베이스 ... 431
  • 5.2.2 학교 데이터베이스 ... 433
  • 5.2.3 주택 데이터베이스 ... 434
  • 5.2.4 농지 경지면적 데이터베이스 ... 435
  • 5.2.5 삼림 면적 데이터베이스 ... 437
  • 5.2.6 상·하수도 시설 데이터베이스 ... 440
  • 5.2.7 전력시설 데이터베이스 ... 443
  • 5.2.8 교통시설 데이터베이스 ... 445
  • 5.3 소결 ... 450
  • 제 6 장 화산재 취약도 통계적 정량화 기법 개발 및 구축 ... 451
  • 6.1 해외 자연재해 취약도 개발 기법 분석 ... 451
  • 6.2 확률/통계에 의한 화산재 취약도 개발 방안 제시 ... 459
  • 6.2.1 경험적 취약도 구축 방법 ... 459
  • 6.2.2 몬테카를로 모사 기법을 이용한 취약도 구축 방법 ... 461
  • 6.2.3 FOSM 기법을 이용한 취약도 구축 방법 ... 463
  • 6.2.4 분야별 취약도 평가 방법 ... 466
  • 6.3 화산재 취약도의 개발 ... 470
  • 6.3.1 항공분야 화산재 취약도 구축 ... 470
  • 6.3.2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 구축 ... 471
  • 6.3.3 보건 및 건강분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 구축 ... 485
  • 6.3.4 기타분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 구축 ... 487
  • 6.4 화산재 취약도의 보완 ... 498
  • 6.4.1 농축산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의 보완 ... 498
  • 6.4.2 보건 및 건강분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의 보완 ... 505
  • 6.4.3 기타분야 화산재 취약도 보완 ... 507
  • 6.5 소결 ... 510
  • 제 7 장 화산재 취약도 반영을 위한 매뉴얼 개선방향 도출 ... 511
  • 7.1 화산재해 관리기준 및 매뉴얼 관련 법규체계 조사 ... 511
  • 7.1.1 화산재해 관련 매뉴얼 현황 조사 ... 511
  • 7.1.2 화산재해 관련 법규체계 현황 ... 573
  • 7.2 매뉴얼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법규체계 및 현장작동방안 개선사항 ... 586
  • 7.2.1 관리기준 및 매뉴얼 관련 현행 법규체계 개선방안 제시 ... 586
  • 7.2.2 화산재해 매뉴얼의 현장작동을 위한 개선방안 제시 ... 598
  • 7.3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화산재해 관리기준 반영 매뉴얼 개선방안 제시 ... 609
  • 7.3.1 항공분야 관리기준 반영 매뉴얼 개선방안 제시 ... 613
  • 7.3.2 농축산분야 관리기준 반영 매뉴얼 개선방안 제시 ... 624
  • 7.3.3 보건건강분야 관리기준 반영 매뉴얼 개선방안 제시 ... 647
  • 7.4 화산재 취약도의 매뉴얼 반영 ... 662
  • 7.4.1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정량적 관리기준(안) ... 664
  • 7.4.2 국내 매뉴얼 관리기준 검토 ... 675
  • 7.4.3 연구성과의 매뉴얼 반영방안 ... 680
  • 7.4.4 화산재 취약도 매뉴얼 반영 ... 690
  • 7.5 소결 ... 693
  • 제 8 장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반영 기술 ... 697
  • 8.1 항공 분야의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반영 기술 ... 697
  • 8.2 농축산 분야의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반영 기술 ... 697
  • 8.3 보건 및 건강 분야의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반영 기술 ... 698
  • 제 9 장 연구 추진계획 대비 진행현황 ... 699
  • 제 10 장 결론 및 향후 연구 제안 ... 705
  • 10.1 결론 ... 705
  • 10.2 향후 연구 제안 ... 707
  •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및 연구실 안전조치 이행실적 ... 709
  • 국가과학기술 종합 정보 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710
  • 참 고 문 헌 ... 711
  • 참고 URL ... 731
  • 끝페이지 ... 732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