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 중국(중화권) 첨단기술 모니터링 및 DB 구축사업: 우주개발 분야를 중심으로(중국 모니터링 별책)
Monitoring on High Technology in China in 2017 and Building a Database: Focused on Space Develop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춘근
참여연구자 백서인 , 최해옥 , 손은정 , 강지연 , 권용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900018451
과제고유번호 1105013034
사업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20-04-18

초록

1. 서론
□ 중국의 우주기술 개발과정은 다양한 실패와 좌절이 있었지만, 우주개척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우주기술을 산업과 국방 전 분야에 적용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기술의 활용 및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제1무역국이자 인접국으로서, 국가차원에서 이에 대한 모니터링 분석과 대응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 이와 관련하여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발사체와 위성, 우주개척과 활동, 국제협력 등 분야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음.

2. 중국의 우주개발 정책과 체계
□ 중국의 우주개발 행정체

Abstract

1. Introduction
China’ space technology has developed through various trials and errors.
Firmly based on its consistent efforts for space development, China has applied space technologies in a wide range of industries including defense industry.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impact of Chinese 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별책 ... 3
  • 목차 ... 5
  • 그림목차 ... 11
  • 중국 우주기술 동향 모니터링 ... 13
  • 1. 중국, 2045년 우주강국 부상을 위한 우주수송시스템 로드맵 구축 ... 13
  • 2. 펑윈(風雲) 3호 D 기상위성 발사 성공 ... 14
  • 3. “우주시스템-소음 테스트” 국제표준 발표 ... 15
  • 4. 2020년 세계 항공우주강국으로 부상 전망 ... 16
  • 5. 베네수엘라 원격탐사위성 2호 발사 성공 ... 17
  • 6. 중국 최초의 화성 탐사 임무 확정 ... 17
  • 7. 중력파 전자기 대응체 탐사 예정 ... 18
  • 8. 베이더우(北鬥) 3호 글로벌 항법시스템 구축 가동 ... 19
  • 9. 텐저우(天舟) 1호 화물우주선 쾌속 도킹 테스트 완성 ... 21
  • 10. 상업용 우주산업 활성화 ... 23
  • 가. 사회자본을 유치해 상업용 우주산업 발전 ... 23
  • 나. 인터넷 보급을 위한 “훙윈(虹雲) 프로젝트”실시 ... 24
  • 다. 상업 우주산업, 최적의 발전기회 맞이 ... 25
  • 11. 창정(長征) 시리즈 로켓 해상 시험 발사 예정 ... 25
  • 12. 베네수엘라와의 우주협력 새로운 단계 진입 ... 26
  • 13. 수출용 원격탐사위성 서브미터 시대 진입 ... 27
  • 14. 창정 2호 C형 발사체, 3개 위성 동시에 발사 ... 28
  • 15. 국제 상업용 발사 서비스 55회 완료 ... 29
  • 16. 우주선 궤도결정 정밀도 센티미터급으로 향상 ... 29
  • 17. 톈저우(天舟) 1호 화물우주선 큐브샛(CubeSat) 예정궤도에 안착 ... 30
  • 18. 중싱(中星) 9A 위성, 홀로 3.6만km 상공 궤도에 올라 ... 31
  • 19. 주하이(珠海) 1호 원격탐사위성, 세계 제일의 빅데이터 구축 ... 31
  • 20. 하드 X선 모듈레이션 망원위성(HXMT) “후이옌(慧眼)” 최초로 발사 ... 33
  • 21. 창어(嫦娥) 4호 달탐사선, 해외 과학기기 4대 탑재 예정 ... 34
  • 22. 중국 독자적으로 개발한 과학실험 프로젝트, 최초로 국제우주정거장에 수송 ... 35
  • 23. 최초의 후방(後方)노즐 로켓엔진 시운용 성공적으로 마무리 ... 36
  • 24.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우주 분야 협력 한단계 업그레이드 ... 36
  • 25. “톈저우(天舟 1호)”화물우주선 발사 성공 ... 38
  • 26. 톈저우 화물우주선, 4건의 과학실험 실시 예정 ... 39
  • 가. 칭화대에서 담당한 “세포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미세중력의 영향 연구” ... 39
  • 나. 중국과학원이 담당한 “2상 시스템 실험플랫폼 핵심기술 연구” ... 40
  • 다. 화중(華中)과학기술대학이 담당한 “비뉴턴 중력실험 테스트를 위한 핵심기술 검증” ... 40
  • 라. 중국과학원 공간응용센터에서 담당한 “능동적 진동차단 핵심기술 검증” ... 40
  • 27. 가오징(高景) 1호 위성의 지표, 국제 선진수준에 도달 ... 41
  • 28. 중국의 골든 로켓, 창정 3호 시리즈 ... 42
  • 29. 중국 우주사업의 이모저모 ... 43
  • 30. 창어 4호, 중국 달 탐사 4기 공정의 막을 열어 ... 45
  • 31. 창어 5호, 달 탐사를 위한 막바지 테스트 8월에 개시 ... 45
  • 32. 중형 로켓 엔진 기술 관련 획기적인 성과 배출 ... 46
  • 33. 중국우주정거장 코어모듈 테스트 진행, 2018년 발사 예정 ... 47
  • 34. 달탐사를 위해 서로다른 기능의 탐사선 6개 발사 예정 ... 48
  • 35. 이산화탄소 모니터링용의 과학실험위성, 최초의 관측데이터 전송 ... 49
  • 36. 베이더우위성 사업 순조롭게 추진 중 ... 50
  • 37. 최초의 고중성자속 통신위성 발사 예정 ... 52
  • 38. 6개의 통신위성을 발사해 고속철도 안에서의 인터넷 접속 실현 예정 ... 53
  • 39. 세계 최초의 전문야광 원격위성 발사 예정 ... 54
  • 40. 2017년에 중국 최초의 우주 X선 천문위성 발사 예정 ... 54
  • 41. 가오펀(高分) 3호 위성 정식으로 운용에 투입 ... 56
  • 42. 창어(嫦娥) 5호 달탐사선의 연구제작에서 획기적인 성과 달성 ... 56
  • 43. “머즈하오(墨子號)”양자과학실험위성, 궤도 운용 시험 완성 ... 57
  • 44. 세계 최초의 자계집속홀 추진시스템, 궤도상 검증에 성공 ... 59
  • 45. 톈롄(天鏈) 중계위성 네트워크 구축 ... 60
  • 46. 궤도상 무독성 추진기술, 미래 우주“급유”의 안전성 확보 ... 62
  • 47. “윈하이(雲海) 1호” 01 위성 발사 성공 ... 63
  • 48. 위안정(遠征) 2호, 우주 속 “에어컨 셔틀버스” ... 63
  • 49. 최초의 펄서(Pulsar) 시험 위성 발사 ... 64
  • 50. 창정 5호 운반로켓의 엔진 획기적인 성과 이룩 ... 65
  • 51. 창정 5호 운반로켓, 부스터기술 혁신 ... 67
  • 52. 2020년 즈음에 실시간 융합 통신시스템인 “훙옌(鴻雁) 성좌” 구축 예정 ... 69
  • 53. 중국 로켓기업 “우주관광”일정 발표 ... 70
  • 54. 우주비행사 톈궁(宮天) 2호 우주실험실에 입주 ... 70
  • 55. 창정 2호 F형 로켓으로 선저우 11호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 ... 71
  • 56. 화성 및 달 탐사, 13차 5개년계획 기간 과기혁신발전계획에 포함 ... 72
  • 57. 성능이 우수한 우주선 광학영상센서 개발 ... 73
  • 58. 근우주 관광용 유인우주선 2017년에 발사 예정 ... 74
  • 59. 중국판 해사위성 “톈퉁(天通) 1호 01” 발사 ... 75
  • 60. 베이더우 위성항법시스템, 라오스에 대한 서비스 가동 ... 76
  • 61. 창어 3호 “옥토끼(玉兔)호”월면차 작업 중단 ... 77
  • 62. 최대 추력의 고체 로켓 엔진 시운전 성공 ... 79
  • 63. 독립관제 가능한 위성광대역 글로벌서비스망 개통 ... 79
  • 64. 근우주탐사용 로봇시스템 최초의 비행시험에 성공 ... 80
  • 65. 세계 최대의 우주선 완제품 조립테스트센터 구축 ... 81
  • 66. 우주쓰레기 처리 능력 향상 ... 81
  • 67. 창정 7호 운반로켓 최초의 비행에 성공 ... 82
  • 68. SpaceX보다 더욱 선진적인 재활용 운반로켓 개발 중 ... 84
  • 69. 벨로루시, 중국 우주사업 국제화의 신천지 개척 ... 85
  • 70. 12차 5개년계회 기간 총 90회의 운반로켓 발사 ... 86
  • 71. 가오펀 4호 위성, 원격탐사위성의 새로운 시대 열어 ... 87
  • 가. 새로운 기능, “고공 응시”가능 ... 87
  • 나. 신기술, 원격탐사위성 운행의 새로운 모델 구축 ... 88
  • 다. 새로운 용도, 재난 방지와 대지관측 ... 88
  • 72. 완제품 위성 9개 수출 ... 89
  • 가. 나이지리아 통신위성1호(고장으로 이미 효력 상실) ... 89
  • 나. 베네수엘라 1호 통신위성(궤도에서 정상 운행 중) ... 89
  • 다. 라오스 1호 통신위성(제작 중) ... 90
  • 라. 파키스탄 1R 통신위성 (궤도에서 정상 운행 중) ... 90
  • 마. 나이지리아 1R 통신위성(궤도에서 정상 운행 중) ... 90
  • 바. 볼리비아 통신위성(궤도에서 정상 운행 중) ... 91
  • 사. 벨로루시 통신위성(제작 중) ... 91
  • 아. 인도네시아 146E 위성(제작 중) ... 91
  • 자. 베네수엘라 1호 원격탐사위성(궤도에서 정상 운행 중) ... 92
  • 73. 최초의 암흑물질입자 탐지위성 발사 ... 92
  • 74. 차세대 베이더우(北鬥) 항법위성 핵심기술 검증 ... 93
  • 75. 싱젠(星箭)특수유리회사, 우주정거장 조명시스템의 창유리 개발 ... 95
  • 76. 우주 분야 국제협력의 새로운 모델 구축 ... 96
  • 가. 두 단계로 프로젝트 추진 ... 96
  • 나. 신기술에 의한 새로운 체험 ... 97
  • 다. 국제시장에서의 밝은 전망 ... 97
  • 77. 메가급 중국산 위성통신시스템 발표 ... 98
  • 78. 창정 3호 A 시리즈 운반로켓 “3.0 시대” 진입 ... 99
  • 79. 중국의 화성탐사선 최초로 공개 ... 100
  • 80. 위성통신의 새로운 돌파구 모색 ... 102
  • 81. 0.5m급 고해상도 상업용 원격탐사위성 발사 예정 ... 103
  • 82. 야타이(亞太) 9호 통신위성의 성과 ... 104
  • 83. 위성탑재용 항공목표 신호의 궤도상 수신 성공 ... 105
  • 84. 베이더우 위성, 아라비아 국가에 항법서비스 제공 예정 ... 106
  • 85. 베이더우 우주관측 시스템, 정확한 고공기상관측 기능 확보 ... 107
  • 86. 중국 최초의 우주핵추진기술 공동실험실 설립 ... 108
  • 87. 창정 5호 운반로켓, “방한복” 착용 ... 109
  • 88. 중국 최초의 태양전지판 드라이브장치 위성에 적용 ... 110
  • 89. 차세대 베이더우 위성, 자국산 부품 다량 사용 ... 111
  • 가. 위성 부품의 자립화율 98% 기록 ... 111
  • 나. 2020년 즈음에 글로벌 베이더우 항법시스템 구축 예정 ... 112
  • 90. 우주정거장의 대형 로봇팔 샘플 역학환경실험에 성공 ... 113
  • 91. 근우주 상업용 비행체 운행 최초로 성공 ... 114
  • 92. 3세대 도킹용 광학영상센서 개발 ... 115
  • 93. 독자 개발한 전기추진시스템 2020년에 발사 예정 ... 116
  • 94. 베이더우 항법시스템의 칩과 모듈, 600만개 매출량 돌파 ... 118
  • 95. 중국항천과기그룹, 20kw급 서보(servo)기술 개발 ... 119
  • 96. 펑윈(風雲) 2호 G 위성, 기상관측과 재해경보 수준 향상 ... 119
  • 97. 창정 5호 상단(upper stages), 분리 시험 완성 ... 120
  • 98. 우주엔진기술의 다변수 제어 분야 중요 성과 ... 122
  • 99. 28개 우주 육종 품종 검증에 통과 ... 122
  • 100. 가오펀(高分) 2호 위성, 원격위성데이터 공유수준 향상 ... 123
  • 101. 신형의 창정 시리즈 운반로켓, “중국산 심장” 보유 ... 124
  • 102. 우주 입자검출기 분야 단계적 성과 달성 ... 125
  • 103. 창정 5호 운반로켓의 주엔진 구동시스템 시범운용에 성공 ... 126
  • 104. 우주시스템의 임베디드식 소프트웨어 개발 ... 127
  • 105. 우주용 고순도 수질 시스템 양산화 실현 ... 127
  • 106. 중국 우주선, 최초로 라그랑주 L2 포인트에 도착 ... 128
  • 107. 최초의 전기 로켓 개발 성공 ... 129
  • 108. 창어 5호 달탐사선을 위한 귀환기술 검증에 성공 ... 131
  • 109. 중국과 브라질, 우주 분야에서 가시적인 협력성과 달성 ... 132
  • 110. 민용 고해상도 입체제도 위성기술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어 ... 134
  • 111. 옥토끼호 월면차 설계수명을 다해 ... 134
  • 112. 텐궁 1호 실험용 우주정거장의 응용데이터 사용정책 발표 ... 135
  • 113. 중국위성회사, 베이더우 산업체인 구축에 총력 ... 136
  • 114. 베이더우 항법시스템의 정보보정제안 국제적인 인정을 받아 ... 137
  • 115. 탐사선 휴면기 생존기술 돌파 ... 138
  • 116. 창어 3호, 달표면 탐사 성공적으로 진행 ... 138
  • 117. 신형의 메탄올 수소제조시스템 개발 ... 139
  • 118. 창어 3호 달탐사선 발사 성공, 중국과 유럽 간의 우주협력 촉진 ... 140
  • 119. 위안왕(遠望) 7호 측량선, 베이더우 우주탐사스템 장착예정 ... 141
  • 120. 중국 최대의 우주환경 시뮬레이터 개발 ... 141
  • 121. 볼리비아를 위한 통신위성 인재 육성 ... 142
  • 122. 중국과 베네수엘라 간의 우주기술협력 새로운 성과를 거두어 ... 143
  • 123. 우주협력을 통해 우주비행사 교육프로그램 운영 예정 ... 144
  • 124. 선저우 10호 우주선이 탑재한 찻잎 종자 인계 ... 145
  • 125. 중국의 위성발사 횟수 전 세계의 30% 차지할 것으로 예측 ... 145
  • 126. 스젠(實踐) 9호 위성, 중국산 프로그램 가능 칩 사용 ... 147
  • 127. 창어(嫦娥) 2호 위성, 5000만km의 심우주 비행 ... 148
  • 128. 중국 우주분야 연구인력 중 80%는 1980년대에 출생 ... 149
  • 129. 중국의 신형 운반로켓 12차 5개년계획 기간에 첫 비행임무수행 예정 ... 150
  • 130. 우주설비 간 다방향 도킹 시험에 최초로 성공 ... 151
  • 131. 선저우 10호 우주선에서 최초의 우주강의 진행 ... 151
  • 132. 중국과학원 산하 연구소, 우주설비 간 도킹 지원 ... 152
  • 133. 가오펀 1호 위성의 첫 데이터 공개 ... 154
  • 134. 베이더우 항법시스템 응용에 “중국 칩”사용 강조 ... 155
  • 135. 최초의 우주과학 자발적 실험 성공 ... 157
  • 136. “창정 7호”운반로켓의 중요한 용접설비 계약 체결 ... 158
  • 137. 베이더우 항법시스템, 간섭방지용 “전자기 방패” 개발에 성공 ... 158
  • 138. 올해 16회의 우주 발사를 통해 20개 위성 발사 예정 ... 160
  • 139. 자원 3호 위성, 중국 최초의 기록 4건 달성 ... 160
  • 140. 우주용의 2세대 구조복합소재 연구과제 입안 ... 161
  • 참고문헌 ... 163
  • 끝페이지 ... 176

표/그림 (13)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