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Defective RPTK의 수용체 발굴을 통한 발암 기전 분석 및 기능 저해법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06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1900020910 |
과제고유번호 | 1711071060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DB 구축일자 | 2020-05-09 |
키워드 | 비활성 수용체성 티로신키나아제.발암 신호전달.중화 항체.PTK7.EphA10. |
□ 연구개요
- 비활성 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 (RPTK)는 tyrosine kinase domain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비활성 상태가 된 RPTK들임. 비활성 RPTK 중에서 발암 효능을 ...
□ 연구개요
- 비활성 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 (RPTK)는 tyrosine kinase domain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비활성 상태가 된 RPTK들임. 비활성 RPTK 중에서 발암 효능을 보이는 PTK7과 EphA10을 대상으로 발암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 제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함.
-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비활성 RPTK인 PTK7의 세포표면 수용체, 신호전달 과정 및 발암 기전을 규명하고, PTK7 중화 항체를 개발하여 발암 제어 가능성을 타진함. 비활성 RPTK인 EphA10의 발현에 따른 발암 표현형의 변화, 신호전달 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수용체 발굴을 통한 발암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확립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PTK7과 EphA10의 발암 기전과 PTK7 중화 항체 개발을 통한 항암 요법을 개발하고자 다음 연구들을 수행함.
(1) PTK7 결합 세포표면 수용체 발굴: 식도암에서 발현 유전체 분석 및 검증으로 PTK7 결합 세포표면 수용체 단백질로 FGFR1을 발굴함.
(2) EphA10의 발암 표현형 분석: 췌장암과 유방암 세포에서 EphA10 발현 의존적으로 발암 표현형이 양성 상관관계를 보임.
(3) PTK7와 수용체 경유 발암 기전 분석: PTK7에 의한 FGFR1의 활성화 및 발암 신호전달 활성화를 관찰함.
(4) PTK7 extracellular domain의 단일클론 항체 제작: PTK7의 extracellular domain을 항원으로 단일클론 항체 제작 및 결합력 우수 clone을 확보함.
(5) EphA10 유도 발암 신호전달 과정 분석: 췌장암 세포에서 EphA10 발현에 따른 발암 표현형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의 양성 상관성을 관찰함.
(6) 실험동물에서 PTK7과 수용체의 발암 효능 분석: 식도암 세포의 xenograft 분석으로 PTK7에 의한 in vivo 발암 효능을 확인함.
(7) PTK7 중화항체에 의한 신호전달 제어 분석: PTK7의 단일클론 항체 중 중화 효능이 있는 clone을 선별하고, PTK7-FGFR1 신호전달계 저해를 확인함.
(8) EphA10 결합 수용체 발굴 및 발암 신호전달 네트워크 확립: 비활성 RPTK인 EphA10를 활성화하는 리간드 분석으로 활성 RPTK인 EphA4 및 EphA5를 수용체로 하여 발암 신호전달을 활성화할 것으로 제시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PTK7와 EphA10을 대상으로 각각 식도편평상피세포암과 췌장암에서 발암 기전을 최초로 규명하였음. PTK7과 EphA10이 비활성 RPTK임에도 중요 항암 표적 분자임을 제시하였고, 발암 기전 확립으로 독창적인 학문적 성과를 달성함.
- 본 연구에서 개발한 PTK7의 중화 단일클론 항체는 비활성 RPTK인 PTK7의 기능 저해를 통하여 새로운 항암 치료제로 가능성을 제시함.
- 본 연구에 참여한 박사후 연구원과 대학원생은 표적 발굴, 분자 기전 확립, 연구 결과의 산업화 과정을 경험하게 되어 생명과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인력으로 성장하게 될 것임.
(출처 : 요약문 2p)
참여 연구원 |
---|
Defective RPTK의 수용체 발굴을 통한 발암 기전 분석 및 기능 저해법 개발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발행년월 : 2019-06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