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중구 세포외 트랩형성의 억제가 요독성 동맥경화병변의 지연에 미치는 영향 조사
Blckade of the formation of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attenuate athersclerotic changes in the aorta of uremic mi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림대학교
HalLym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좌경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06
과제시작연도 2019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1900021538
과제고유번호 1711086258
사업명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DB 구축일자 2020-05-16
키워드 내피세포기능부전.말기신부전.사망률.선천성 면역세포.예후인자.자가포식작용.혈액투석.호중구세포외트랩.

초록

□ 연구개요
1차년도 (2016):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유래된 호중구의 증가된 세포외 트랩 (NET)의 형성과 연관된 임상적 특징, 내피세포 기능부전 및 동맥경화와의 연관성 조사하였다.
2차년도 (2016-2017): 말기신부전 혈청 내 호중구 세포외 트랩 형성 증가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그 기전을 연구하였다.
3차년도 (2017-2018):2차년도에서 시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혈중 nucleosome level 의 prognositc effect를 확인하고, 세포연구를 시행하여 neutrophils- endot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요약문 ... 3
  • 목차 ... 4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2. 연구수행내용 및 연구결과 ... 5
  • 연구결과 1) 말기신부전 환자의 호중구의 활성화 상태 및 NET형성 정도가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함 ... 5
  • 연구내용 2) 말기신부전 환자의 증가된 NET과 연관이 되어 있는 임상 및 생화학적 표지인자를 확인 ... 6
  • 연구내용 3) 말기신부전 환자 및 정상인의 상완동맥의 FMD (flow-mediated dilatation)을 측정하여, 말기신부전 환자의 increased NET 정도와 혈관의 내피세포 기능장애와 연관이 있는 지를 확인함 ... 6
  • 연구내용 4) 혈중 NET을 반영하는 serum biomarker를 찾기 위해, circulating nucleosome level, serum MPO(myeloperoxidase) level 및 DNase I level을 측정하여 비교함 ... 7
  • 연구내용 5) 증가된 NET 형성정도를 정량하기 위해 neutrophil에서 유래된 neutrophil elastase (NE) level 을 측정하고, confocal microscopy를 이용하여 direct visualization으로 확인 후, 정상인 및 환자에서 neutrophil을 isolation하여 기저상태 및 PMA 자극에 대한 NET 반응정도가 다른 지를 확인함 ... 7
  • 연구내용 6) 호중구 내 자가포식작용(autophagy)를 정상인과 투석환자에서 비교한 후 자가포식작용과 NET형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함 ... 9
  • 연구내용 7) In vitro test를 위해, HL-60 cell line 을 neutrophil 로 분화시켜, 말기신부전 환경의 각종 자극에 대한 NET formation을 확인하여 어떤 인자가 중요한지 확인 ... 10
  • 연구내용 8) 위에서 유리된 NET을 HUVEC line에 처리하여 direct endothelial cell toxicity를 확인하 ... 11
  • 연구내용 9) Increased NET의 prognostic marker 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투석 시작당시의 nucleosome level 과 long-term all-cause mortality 및 fatal and nonfatal cardiovascular outcomes을 확인함 ... 11
  • 3.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12
  • 4. 참고문헌 ... 13
  • 5. 연구성과 ... 14
  • 대표적 연구실적 ... 15
  • 끝페이지 ... 26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