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Busan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희섭
|
참여연구자 |
백영미
,
고연주
,
조혜경
,
박성훈
,
이정은
,
황혜선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1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행정안전부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000005848 |
과제고유번호 |
1315000393 |
사업명 |
기록물보존기술연구 |
DB 구축일자 |
2020-07-29
|
키워드 |
종이기록물.수리.복원.전통접착제.제조기술.paper documents.repair.restoration.traditional adhesive.manufacturing technology.
|
초록
▼
종이기록물 관련 전통접착제의 현대적 제조 기술을 연구하기 위하여 전통접착제 제조관련 미생물 분리 및 효소활성 연구, 전통접착제의 분자구조 특성 규명, 효소반응에 따른 접착 특성 및 물성과의 관계 규명, 접착제의 항균 방안 연구, 접착제 제조조건 및 대량 생산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밀가루, 2분도밀, 통밀을 삭히는 과정중에 미생물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중에서 대표적인 미생물을 16S rDNA를 분석하여 Acinetobacter baumannii와 Bacillus thuringiensis임을 밝혔으며 효소활성은 미생
종이기록물 관련 전통접착제의 현대적 제조 기술을 연구하기 위하여 전통접착제 제조관련 미생물 분리 및 효소활성 연구, 전통접착제의 분자구조 특성 규명, 효소반응에 따른 접착 특성 및 물성과의 관계 규명, 접착제의 항균 방안 연구, 접착제 제조조건 및 대량 생산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밀가루, 2분도밀, 통밀을 삭히는 과정중에 미생물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중에서 대표적인 미생물을 16S rDNA를 분석하여 Acinetobacter baumannii와 Bacillus thuringiensis임을 밝혔으며 효소활성은 미생물의 생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삭힌 기간에 따른 전통 접착제의 구조적 특성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삭히는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입자들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풀은 전반적으로 1N/5cm의 박리강도를 나타내었다. 효소처리 시간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는 효소반응시간에 따라 아밀로스의 함량 및 탄성과 점성이 감소하였으나 점도와 박리강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효소처리 농도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의 경우 효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의 감소, 점도 및 박리강도가 낮아져 고농도의 효소를 처리하였을 경우에 종이기록물에 사용가능한 정도의 박리강도를 나타내었다. 약제 및 약제 첨가 풀의 방균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백급, 명반, 빙반, 유향 및 glyoxylate를 사용하여 방균성을 측정한 결과 glyoxylate가 가장 높은 방균성을 나타내었으며, 방균제에 대한 감수성 테스트에서도 glyoxylate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접착제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생전분에 처리하는 효소 농도, 반응시간, 온도 및 반응후 처리조건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높은 효소농도에서 4시간 정도로 반응을 수행하거나 또는 적은 효소양을 처리한 후 산처리를 이용해서 pH를 2로 하였을 경우가 종이기록물 관련 접착제의 특성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로부터 현대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전통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대량생산을 통한 전통풀의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To investigate new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traditional adhesive(GOPUL) on the paper documents, we tried to study on i) Separation of microorganisms and enzyme reactions characteristics from the process of Traditional adhesive manufacturing, ii) characterization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To investigate new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traditional adhesive(GOPUL) on the paper documents, we tried to study on i) Separation of microorganisms and enzyme reactions characteristics from the process of Traditional adhesive manufacturing, ii) characterization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adhesive, iii)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d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nzymatic reaction, iv) improvement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roduced adhesive, and v)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mass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adhesive.
We investigated the microbial changes during making adhesives using wheat starch, 20% milled wheat, and whole wheat. From 16S rDNA analysis, two major microorganisms were Acinetobacter baumannii and Bacillus thuringiensis. Also, enzyme activities were related with microbial changes. We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molecular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adhesives using for repair and restoration of paper documents. As production time was increase, much amount of small particle was observed. Overall detach strength were 1N/5cm among traditional adhesives produced in Japan. According to time of enzyme treat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viscosity and detaching strength. However, the viscosity and detaching strength were decreased sufficiently as enzym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Glyoxylate showed highest inhibitory activity toward microorganisms among tested samples.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enzyme concentration, reaction time, temperature and down-stream treatments are important factors. From these results, we could suggest that control of enzyme reaction on raw starch is easiest way to make mass production of traditional adhesives.
(출처 : Summary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목차 ... 3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 4
- Summary ... 5
-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6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6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1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19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55
- 제5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56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58
- 제7장 참고문헌 ... 59
- 제8장 첨부서류 ... 60
- 총괄 연구과제 요약 ... 61
- 끝페이지 ... 6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