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동중국해의 수온과 해류 변화 연구 - 쿠로시오 변동이 동중국해의 해양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
---|---|
주관연구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연구책임자 | 민홍식 |
참여연구자 | 강석구, 김미경, 김성대, 나한나, 신창웅, 이재학, 구본화, 김동국, 김연경, 김은진, 박혁민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2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등록번호 | TRKO202000007731 |
과제고유번호 | 1525007347 |
사업명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 |
DB 구축일자 | 2020-07-29 |
키워드 | 동중국해.쿠로시오.해양순환.변동성.해수면.East China Sea.Kuroshio.Ocean Circulation.Variability.Sea Level.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2000007731 |
○ 북서태평양 경계역 쿠로시오 해류의 시공간적 변동성 연구
- 쿠로시오 변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류 관측은 한국-일본-중국의 공동참여로 추진
- 일본(가고시마대학)은 연구선 제공 및 종합 탐사 주관
- 해양과학기술원...
○ 북서태평양 경계역 쿠로시오 해류의 시공간적 변동성 연구
- 쿠로시오 변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류 관측은 한국-일본-중국의 공동참여로 추진
- 일본(가고시마대학)은 연구선 제공 및 종합 탐사 주관
- 해양과학기술원은 2대의 해류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쿠로시오 관측 수행
- 위성 고도계 자료와 계류점 관측 자료 비교를 통한 쿠로시오 특성 파악
- 2년간의 현장관측 자료와 위성 고도계 자료를 비교하여 1993~2017년 기간의 쿠로시오 변동성 시계열 자료 작성
○ 동중국해 물리 해양환경 변동성 연구
- 2년간의 현장관측 자료와 자료동화된 수치모델 결과의 쿠로시오 변동성 비교
- 쿠로시오 수송량과 연관된 동중국해의 수온, 해류 변동성 조사
- 쿠로시오 수송량과 동중국해 대륙붕으로의 쿠로시오 유입 상관성 분석
- 조석 및 위성 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여 1993년 이후의 동중국해 해수면의 정량적 상승 및 상승기작 분석
(출처 : 초록 5p)
Ⅳ. Results
○ Investigation of variability of Kuroshio in the East China Sea
– Conducte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between ...
Ⅳ. Results
○ Investigation of variability of Kuroshio in the East China Sea
– Conducte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to deploy mooring instruments in the southern East China Sea including Japanese EEZs
– Operated two sets of current monitoring system by KIOST to monitor Kuroshio variability from June 2015 to June 2017.
–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Kuroshio by comparing in situ observation and satellite altimetry data
– Obtained 25-year-long time series of Kuroshio variability from 1993 to 2017
– Obtained observation data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where Kuroshio water flows before entering the Korean water area
○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Kuroshio and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ast China Sea
– Compared Kuroshio variability from June 2015 to June 2017 simulated by a data assimilated model with observation data
– Investigated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and current in the East China Sea related to Kuroshio variability from 1993 to 2017
– Investigated intrusion of the Kuroshio into the East China Sea shelf in the northwest of Taiwan related Kuroshio variability
○ Sea level rise and its mechanism of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 Collected and analysed data of tide gauge, satellite, temperature and salinity since 1993
– Investigated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e sea level rise, e.g. density, fresh water, water mass redistribution, etc.
(출처 : SUMMARY 13p)
참여 연구원 | 강석구, 김미경, 김성대, 나한나, 신창웅, 이재학, 구본화, 김동국, 김연경, 김은진, 박혁민, 백규남, 안성민, 오경희, 이호원, 홍창수, 황초롱, 전동철, 안혜림, 이승현, 최은지, 서옥희, 김용엽, 진현근, 서성봉, 김민우, 김응, 이희열, 임보영, 전찬형, 이윤경, 이강진, 박재훈, |
---|
동중국해의 수온과 해류 변화 연구 -쿠로시오 변동이 동중국해의 해양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주관연구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책임연구자 :
민홍식
발행년월 : 2018-0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