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동해 지진 발생 해역 내 단층 분포 및 해석 시스템 구축 |
---|---|
주관연구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2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등록번호 | TRKO202000007746 |
과제고유번호 | 1525007377 |
사업명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 |
DB 구축일자 | 2020-07-29 |
키워드 | 해저지진.단층 분포도.지구조.탄성파 탐사.지진-단층 해석시스템.Marine Earthquake.Fault Distribution Map.Tectonic.Seismic Survey.Earthquake and Fault Interpretation System.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2000007746 |
○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고해상 및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 지자기 탐사, 해저면 지형영상 탐사, 그리고 퇴적물 시추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해저단층의 분포와 활동성을 해석하고, 지진 발생 특성 규명을 통한 발생기작을 유추하고자 한다....
○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고해상 및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 지자기 탐사, 해저면 지형영상 탐사, 그리고 퇴적물 시추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해저단층의 분포와 활동성을 해석하고, 지진 발생 특성 규명을 통한 발생기작을 유추하고자 한다.
○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은 섭입이 활발한 일본 열도와 떨어져 있어 지진 안정지역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최근 중규모의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 해역은 아직까지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지역적인 지구조적 상관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단층 분포 등은 국가 기본도로서 제작되어야 한다. 단층의 분포, 활동성 분석, 연결작용 해석은 지진재해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자료를 해석하여 단층 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단층 특성, 지구조 환경과 진화, 지진 발생 기작 및 규모별 특성 등의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할 시점이다. 한반도에는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1978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지진 특성, 발생 기작, 위치, 규모, 현상을 예측하여 향후 지진재해 대비가 필요하다. 우선 과거 지구조 운동과 연관된 구조선들이 현재 지진 유발에 관련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동해에서 천부 지진은 주로 끝부분에서 발생하고, 큰 지진은 동부 주변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중규모 지진은 한반도 남부의 동쪽 해안이나 일본 서부 주변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주향이동단층과 역단층 지진들은 동해안과 인접한 울릉분지의 서쪽 급경사면을 따라서 남북 혹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밀집된 분포를 보이는데, 이 지역의 지진활동은 지각의 수축운동과 연관되어 있다. 울릉분지 남부는 국부적인 압축력의 결과로 마이오세 후기 돌고래 구조를 따라 융기와 트러스트 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남해에서는 한반도 쪽으로 제주도와 같은 화산활동에 의한 정단층 지진이 주를 이루나, 일본 쪽으로는 쓰시마 단층 등의 영향으로 주향이동단층 및 역단층 지진이 발생한다. 황해에서 지진유발 해역의 자료 해석을 통해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대규모 해저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파악해야 한다. 지구조 운동에 의한 지진과 구분되는 동해 및 남해에서의 화산성 지진은 단층 특성과 연계함으로써 분포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과거에 발생한 지진을 분석하고 현재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하여,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단층의 위치와 크기 등을 규명할 계획이다. 지진유발 해역탐사를 통해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대규모 해저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파악하고, 과거 같은 혹은 비슷한 지점에서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한 지역의 지구조를 조사한다. 향후 일본 및 중국 해역의 자료를 수집하여 단층 분포도 작성, 지각구조 변화에 따른 지진 분석 및 잠재 지진 위험성 분석 등을 통해 지진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현장 탐사를 수행할 수 있는 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출처 : 초록 5p)
Ⅳ. Results
Target result: a distribution map of fault zones in the East Sea and an integrated earthquake disaster analysis syst...
Ⅳ. Results
Target result: a distribution map of fault zones in the East Sea and an integrated earthquake disaster analysis system
- To make a distribution map of faults in the East Sea earthquake zones
- To find connections between faults and earthquake activities
- To make a seismic cross section map and 3D geological structure map
(출처 : SUMMARY 10p)
참여 연구원 |
---|
동해 지진 발생 해역 내 단층 분포 해석 시스템 구축
주관연구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발행년월 : 2018-0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