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S(Smart, Sustainable, Speedy) 이노베이션 기반 순환형 모듈화 건설기술 개발 기획연구
A Planning and development of 3S (Smart, Sustainable, Speedy) innovation based re-cyclic modular construction techn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박금성
참여연구자 임석호 , 이문환 , 허병욱 , 황은경 , 이상섭 , 곽명근 , 정준수 , 김은영 , 채지용 , 설욱제 , 부윤섭 , 이종호 , 이상윤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12
과제시작연도 2019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000029580
과제고유번호 1711101242
사업명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20-09-12
키워드 3S.이동 및 재사용.순환형 모듈러.일반건축물.산업활성화.3S.Move and reuse.Recycle Modular.General building.Industry activation.

초록

공장생산에 기반한 모듈러 건설은 타 산업에 비해 심각하게 낮은 건설생산성 문제, 낮은 고용의 질과 현장 인력난 심화문제, 제조업 대비 작업 낭비시간의 과다, 건설산업의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관심은 매우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 모듈러 사업은 정주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국내 정주형 모듈러시스템은 기존구법 대비 경제성, 시장확장성, 생산성 향상 등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노동생산성의 저하, 건설기능인력의 부족 등 국내 건설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듈화 건설시스템이 주목받고

Abstract

Modular construction based on factory production has been developed worldwide due to the severely lower construction productivity problem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low employment quality and intensified manpower, excessive waste time compared to manufactur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Executive Summary ... 7
  • 목차 ... 10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4
  • 제1장 기술의 정의 및 필요성 ... 16
  • 1. 기술의 정의 및 분류 체계 ... 16
  • 1.1 기술의 정의 ... 16
  • 1.2 기술의 분류 ... 18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19
  • 2.1 기술개발의 시급성 및 중요도 ... 19
  • 2.2 사회적 이슈 해결 방안 ... 24
  • 2.3 주요사업 지원의 필요성 ... 27
  • 제2장 국내외 동향 및 환경 분석 ... 30
  • 1. 국내외 정책 동향 ... 30
  • 2. 국내외 시장동향 및 전망 ... 31
  • 2.1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 31
  • 2.2 해외 시장현황 및 전망 ... 32
  • 3. 국내외 기술동향 ... 34
  • 3.1 특허 및 논문 분석 ... 34
  • 3.2 메가트렌드분석 ... 46
  • 4. 기술개발 사업 추진상의 기회와 위협요인 분석 ... 49
  • 4.1 SWOT 요인 도출 ... 49
  • 4.2 SWOT Matrix ... 51
  • 5. 중점연구분야 도출 ... 52
  • 6. 국내외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 55
  • 6.1 관련분야 기업 및 산업체, 연구기관 현황 ... 55
  • 제3장 기술수요 및 수준예측 조사 ... 68
  • 1. 기술수요조사 ... 68
  • 1.1 1차 기술수요조사 ... 69
  • 1.2 2차 기술수요조사 ... 70
  • 2. 기술수준 및 예측조사 ... 79
  • 1.1 순환형 모듈러 설계 및 PLM 시스템 개발 ... 79
  • 1.2 올-모듈러 구조 시스템 개발 ... 81
  • 1.3 부품화 기반의 순환형 내/외장 및 설비시스템 기술개발 ... 83
  • 1.4 생산 공정 혁신 기반 프리캐스트 모듈 상품성 향상 기술 ... 85
  • 1.5 순환형 모듈러 보급·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적 기반 마련 ... 87
  • 3. 기술개발 추진방향 정립 ... 89
  • 제4장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전략 ... 90
  • 1. 비전 및 목표 ... 90
  • 1.1 비전 및 핵심기술 ... 90
  • 1.2 단계별 개발 목표 ... 96
  • 1.3 기술개발에 따른 미래상 ... 98
  • 2. 중점추진 분야 및 연구개발과제 구성 ... 102
  • 2.1 중점추진 분야 구성 ... 102
  • 2.2 후보과제 Pool 구성 ... 108
  • 2.3 유사과제 중복성 검토 ... 112
  • 2.4 후보과제 우선순위 평가 ... 120
  • 3. 세부과제별 주요내용 ... 123
  • 3.1 중점추진분야 1(순환형 모듈러 설계 및 PLM 시스템 개발) ... 123
  • 3.2 중점추진분야 2(All-Modular 구조 시스템) ... 124
  • 3.3 중점추진분야 3(부품화 기반의 순환형 내/외장 및 설비시스템 구축) ... 125
  • 3.4 중점추진분야 4(생산 공정 혁신 기반 프리캐스트 모듈 상품성 향상 기술) ... 126
  • 3.5 중점추진분야 5(순환형모듈러보급·활성화를위한제도및정책적기반마련) ... 128
  • 4. 주요성과 지표 ... 129
  • 4.1 중점추진분야 1(순환형 모듈러 설계 및 PLM 시스템 개발) ... 129
  • 4.2 중점추진분야 1(All-Modular 구조 시스템 개발) ... 130
  • 4.3 중점추진분야 3(부품화 기반의 순환형 내/외장 및 설비시스템 구축) ... 131
  • 4.4 중점추진분야 4(생산 공정 혁신 기반 프리캐스트 모듈 상품성 향상 기술) ... 132
  • 4.5 중점추진분야 5(순환형 모듈러 보급·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적 기반 마련) ... 133
  • 5. 기술개발 로드맵 ... 134
  • 5.1 총괄 로드맵 ... 134
  • 5.2 세부과제별 기술/성과 로드맵 ... 134
  • 6. 연구개발 추진 전략 ... 137
  • 6.1 연구개발 전략 ... 137
  • 6.2 기술성숙도(TRL) 단계별 목표 ... 139
  • 6.3 단계별 연구개발 전략 ... 144
  • 7. 실용화 추진 전략 (필요시) ... 147
  • 8. 연구추진체계 ... 150
  • 제5장 사전타당성 자체 검토 ... 151
  • 1. 정책적 타당성 ... 151
  • 1.1 국가전략의 중요성 ... 151
  • 1.2 상위계획 부합성 ... 152
  • 2. 기술적 타당성 ... 153
  • 2.1 기술개발 계획의 적절성 ... 153
  • 2.2 기술수준 및 성공가능성 ... 153
  • 2.3 기존 사업(과제)과의 중복성 검토 ... 154
  • 3. 기술 개발의 파급효과 ... 157
  • 3.1 경제적 파급효과 ... 157
  • 3.2 기술적 파급효과 ... 157
  • 3.3 사회적 파급효과 ... 157
  • 참고문헌 ... 158
  • 서지자료 ... 160
  • Bibliographic Data ... 161
  • 끝페이지 ... 162

표/그림 (3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