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리빙랩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mart City Service Living Lab.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백남철
참여연구자 장춘만 , 김성식 , 임성한 , 송수원 , 김두식 , 이상문 , 류문선 , 김솔람 , 김민주 , 유예진 , 임세미 , 알사지드
보고서유형연차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12
과제시작연도 2019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000029661
과제고유번호 1711101136
사업명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20-09-12
키워드 스마트시티.서비스 리빙랩.smart city.service living lab.

초록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수행한 과제로서, 본 연구는 시민 편의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기술 서비스들을 고양시 덕양구 일대(덕양구청-화정역 인근)에 적용. 이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개선해나가는 리빙랩 기반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시민들이 삶의 질 향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편의, 건강, 안전측면의 기술들을 적용하고,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시민들이 제공함으로써 도시 개선에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출처 : 서지자료 160p)

Abstract

This study is applied to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civic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near Dukyang - gu and Goyang city office and Hwajeong Station.
Also, we aim to develop smart cities based on Living Lab w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Executive Summary ... 5
  • 목차 ... 7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12
  • 제1장 서론 ... 17
  • 1. 연구개발의 배경 ... 17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17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9
  • 1. 보행유동성/LBS 기술 ... 19
  • 1.1 국내 현황 ... 19
  • 1.2 국외 현황 ... 22
  • 2. 대중교통 실내 공기질 개선 기술 ... 23
  • 2.1 국내 현황 ... 23
  • 2.2 국외 현황 ... 24
  • 3. 공공건물 에너지/실내환경 최적화 기술 ... 25
  • 3.1 국내 현황 ... 25
  • 3.2 국외 현황 ... 26
  • 4. 위험상황 자동 인지/대응 기술 ... 31
  • 4.1 국내 현황 ... 31
  • 4.2 국외 현황 ... 36
  • 4.3 요약 및 한계점 ... 37
  •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40
  • 1. 공공 기반시설의 보행유동성/LBS 기술 개발 ... 40
  • 1.1 시민수요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리빙랩 도출 및 도시문제 개선 ... 40
  • 1.2 보행자 QVK를 고려한 도심지 보행교통류의 효율적 개선방향 수립 ... 47
  • 2. 대중교통 실내 공기질 개선 기술 개발 ... 52
  • 2.1 대중교통차량 실내외환경 실시간 모니터링 ... 53
  • 2.2 대중교통차량 실내외 공기질 실시간 모니터링 ... 57
  • 3. 공공건물 에너지/실내환경 최적화 기술 개발 ... 60
  • 3.1 리빙랩 (공공건물) 에너지/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 ... 60
  • 3.2 리빙랩 (공공건물) 에너지소요량 시뮬레이션 및 개선 방안 도출 ... 73
  • 3.3 리빙랩 (공공건물) 재실세서 연동 개별 냉난방 제어 시스템 시작품 제작 및 설치 ... 125
  • 4. 공공 기반시설의 방범/안전 기술 개발 ... 133
  • 4.1 비상상황 유형별 영상 학습데이터 구축 ... 133
  • 4.2 비상상황 학습 영상데이터 DB 구축 ... 139
  • 4.3 지능형 비상상황 인지 학습 알고리즘 적용 ... 143
  • 4.4 영상 정보 기반 지능형 비상상황 인지 시스템 구축 ... 145
  • 제4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149
  • 1. 활용 방안 ... 149
  • 1.1 보행유동성/LBS 기술 ... 149
  • 1.2 대중교통 실내 공기질 개선 기술 ... 149
  • 1.3 공공건물 에너지/실내환경 최적화 기술 ... 149
  • 1.4 위험상황 자동 인지/대응 기술 ... 150
  • 1.5 사업화 방안 ... 150
  • 2. 기대 효과 ... 152
  • 2.1 과학기술적 가치 및 기대효과 ... 152
  • 2.2 사회경제적 가치 및 기대효과 ... 152
  •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내용 ... 154
  • 1. 보행유동성/LBS 기술 개발 ... 154
  • 1.1 향후 연구계획 ... 154
  • 2. 대중교통 실내 공기질 개선 기술 개발 ... 155
  • 2.1 연구내용 소결 ... 155
  • 2.2 향후 연구계획 ... 155
  • 3. 공공건물 에너지/실내환경 최적화 기술 개발 ... 155
  • 3.1 연구내용 소결 ... 155
  • 3.2 향후 연구계획 ... 155
  • 4. 공공 기반시설의 방범/안전 기술 개발 ... 156
  • 4.1 연구내용 소결 ... 156
  • 4.2 향후 연구계획 ... 156
  • 참고문헌 ... 157
  • 서지자료 ... 160
  • Bibliographic Data ... 161
  • 끝페이지 ... 162

표/그림 (16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