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용급 가스‧액화 플랜트 기술개발사업 기획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고등기술연구원
Institute for Advanced Englineering
연구책임자 윤용승
참여연구자 이진욱 , 박영수 , 변용수 , 이재용 , 윤석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08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2000030831
DB 구축일자 2020-11-14

초록

- 각 세부기술별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및 세부사업별 예산안을 산출하였으며, 세부과제를 6개로 구분하여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산을 산정 제시하였으며,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여 B/C ratio와 NPV를 산출
-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 플랜트 건설기술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기획을 수행하였고 각 세부과제별 플랜트 용량 등 기술개발 방안을 제시
- 사업단 구성에 대한 RFP, 6개의 세부과제에서 총 18개의 RFP 등 총 19개의 RFP를 작성하였으며, 과제 평가를 위한 성과목표, 지표, 최종성과물 등 평가에 필요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목차 ... 21
  • 표목차 ... 27
  • 그림목차 ... 39
  • 수식목차 ... 47
  • 제 1 장 사업 개요 ... 48
  • 제 1 절 배경 및 필요성 ... 48
  • 1. 사업 추진배경 ... 48
  • 2. 정부지원의 필요성 ... 62
  • 3. 사업추진의 시급성 ... 68
  • 4. 세부기술별 기술개발의 필요성 ... 72
  • 제 2 절 사업 추진현황 및 근거 ... 91
  • 1. 사업 추진현황 ... 91
  • 2. 사업 추진근거 ... 93
  • 제 3 절 기획 추진 체계 및 경과 ... 98
  • 1. 사업기획 추진체계 ... 98
  • 2. 사업기획 추진경과 ... 101
  • 3. 사업기획 추진절차 ... 105
  • 제 2 장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의 개념 및 사업환경 분석 ... 107
  • 제 1 절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의 정의 및 범위 ... 107
  • 1.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의 관련 용어의 정의 ... 107
  • 2.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 건설 사업의 정의 및 범위 정립 ... 108
  • 제 2 절 대내외 환경 분석 ... 139
  • 1. 메가트렌드 분석 ... 139
  • 2. 사회적 환경 분석 ... 143
  • 3. 기술적 환경 분석 ... 147
  • 4. 국내외 시장 환경 분석 ... 166
  • 5. 생태적 환경 분석 ... 219
  • 6. 정책적 환경 분석 ... 229
  • 7. 주요 시사점 ... 248
  • 제 3 절 국내 R&D 역량분석 ... 250
  • 1. R&D 투자 현황 ... 250
  • 2. 논문/특허 동향 분석 ... 255
  • 3. 기술수준 분석 ... 279
  • 4. R&D 인프라 현황 ... 281
  • 5. 주요 시사점 ... 285
  • 제 3 장 기존 사업 성과 분석 ... 286
  • 제 1 절 기존 사업현황 및 추진경과 ... 286
  • 1. 기존 사업 현황 ... 286
  • 2. 기존 사업 추진경과 ... 288
  • 제 2 절 기존 사업 성과분석 ... 291
  • 1. 종합적 성과분석 ... 291
  • 2. 대표적 성과분석 ... 292
  • 3. 성과분석 결과 ... 297
  • 제 3 절 종합분석 ... 299
  • 1. 기존 사업의 우수점 ... 299
  • 2. 기존 사업의 시사점 ... 300
  • 3. 기존 성과 활용방안 ... 301
  • 제 4 장 사업설계를 위한 조사분석 ... 304
  • 제 1 절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 건설 사업 관련 사전조사 ... 304
  • 1. 기술수준 조사 ... 304
  • 2. 기술수요 조사 ... 309
  • 3. 공청회 ... 317
  • 제 2 절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 관련 사업 추진현황 ... 325
  • 1. 유사사업 현황 및 중복성 검토 ... 325
  • 2. 국토교통부 고유 사업과의 중복성 검토 ... 326
  • 3. 과제단위 중복성 검토 ... 327
  • 4. 민간기술 연계방안 ... 344
  • 제 3 절 주요 시사점 ... 348
  • 제 5 장 사업 추진계획 ... 349
  • 제 1 절 사업추진방향 및 과제 도출 ... 349
  • 1. 사업 추진방향 도출 방법 ... 349
  • 2. 종합분석 ... 350
  • 3. 종합분석을 통한 사업 전략방향 도출 ... 354
  • 4. 사업의 중점 추진분야 도출 ... 357
  • 5. 중점과제 및 핵심기술의 도출 ... 362
  • 6. 종합 분석 ... 366
  • 제 2 절 사업 비전 및 목표 ... 375
  • 1. 비전 체계도 ... 375
  • 2. 기본 방향 ... 375
  • 3. 사업 비전 ... 380
  • 4. 사업 목표 ... 381
  • 5. 논리모형 ... 382
  • 6. 추진전략 ... 384
  • 7. 연계체계 ... 407
  • 제 6 장 중점 기술개발 내용 ... 415
  • 제 1 절 중점기술별 상세내용 ... 415
  • 1. 합성가스 생산을 위한 순산소 가스화 기술 ... 415
  • 2. 고함수 바이오매스(유기성) 기반 CO2-free 수소 생산 플랜트 건설 기술 ... 418
  • 3. 잉여전기 이용 수소 생산 및 산소 활용 기술 ... 421
  • 4.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을 위한 개질 및 변환 기술 ... 424
  • 5. 합성가스/바이오가스 고도 정제 및 고순도 수소 분리 기술 ... 427
  • 6.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 플랜트 공통 핵심기술 ... 430
  • 7. 세부분야별 적정 설비규모 산정 ... 433
  • 제 2 절 중점기술별 핵심 R&D 필요기술 추진계획 ... 436
  • 1. 합성가스 생산을 위한 순산소 가스화 기술 ... 436
  • 2. 고함수 바이오매스 (유기성) 기반 CO₂-free 수소 생산 플랜트 건설 기술 ... 458
  • 3. 잉여 전기 이용 수소 생산 및 산소 활용 기술 ... 483
  • 4.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을 위한 개질 및 변환 기술 ... 497
  • 5. 합성가스/바이오가스 고도 정제 및 고순도 수소 분리 기술 ... 515
  • 6.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 플랜트 공통 핵심기술 ... 533
  • 제 3 절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세부과제별 기술로드맵 및 성과로드맵 ... 551
  • 1. 우선순위 및 기술개발 일정 ... 551
  • 2. 기술개발 로드맵 및 성과목표 ... 552
  • 3.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로드맵 ... 557
  • 4. 성과목표의 선정근거 ... 560
  • 제 4 절 성과 활용 및 사업화 전략 ... 566
  • 제 5 절 파급효과 ... 571
  • 1.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 571
  • 2.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 574
  • 제 7 장 사업운영계획 및 소요예산 ... 581
  • 제 1 절 사업추진체계 및 관리방안 ... 581
  • 1. 사업추진체계 ... 581
  • 2. 사업관리방안 ... 581
  • 제 2 절 소요예산 및 재원조달방안 ... 585
  • 1. 사업비 ... 585
  • 2. 재원조달방안 ... 604
  • 3. 소요인력 ... 605
  • 제 8 장 사전타당성 분석 ... 606
  • 제 1 절 사전타당성 분석 방법론 ... 606
  • 1. 개요 ... 606
  • 2. 영역별 타당성 분석 수행 체계 ... 608
  • 제 2 절 정책적 타당성 분석 ... 620
  • 1. 정부 지원의 필요성 ... 620
  • 2. 정책적 일관성 및 사업 추진의지 ... 628
  • 3. 사업추진 상의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 633
  • 제 3 절 기술적 타당성 분석 ... 636
  • 1. 사업 기획의 적절성 ... 636
  • 2.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검토 ... 643
  • 3.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 ... 643
  • 4.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 645
  • 제 4 절 경제적 타당성 분석 ... 652
  • 1. 사업의 비용구조 ... 652
  • 2. 사업의 편익구조 ... 653
  • 3. 사업의 경제성 분석 ... 668
  • 끝페이지 ... 670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