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 대비 기존 지하수 관정 활용을 위한 정책 로드맵 연구
A Study on a Policy Roadmap for Using the Exsiting Groundwater Wells for Drought Countermeasur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현윤정
참여연구자 정우현 , 차은지 , 정아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09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2000031098
DB 구축일자 2020-12-12
키워드 가뭄 대책.지하수 관정.공공활용.나눔지하수사업.정책로드맵.Drought Management.Groundwater Wells.Public Use.Na-Noom Groundwater Project.Policy Roadmap.

초록

최근 들어 가뭄이 지역적인 편차는 있으나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등 가뭄이 상시화되고 있다. 주로 강수량의 변동성 또는 지리, 지형적인 이유로 댐, 저수지 등 대규모 지표수원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는 지역에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주로 가뭄 대비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가능하고 지리적으로 접근성이 용이한 지하수를 활용한다. 최근에는 지하댐, 지하저류지 등의 지하수자원확보시설을 설치하여 용수를 확보하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아직까지 특정 지역에 해당되고 대부분의 경우 가뭄 발생 시 지자체 또는 개

Abstract

Droughts occur almost annually in recent years and they are becoming regular.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and unstable water supplies from local water resources(dam, reservoir, etc) often cause drought.
In such areas, groundwater can be a good alternative because it is ubiqu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3
  • 제1장 서 론 ... 15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5
  • 2. 연구의 범위 ... 18
  • 3.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 18
  • 제2장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현황 ... 20
  • 1. 지하수 개발·이용시설의 인허가 현황 ... 20
  • 가. 지하수 시설의 개발·이용 추이 및 지역별 특성 ... 20
  • 나. 지하수 시설의 개발·이용용도 현황 ... 26
  • 다. 지하수 개발·이용시설의 인허가 유형별 이용 특성 ... 27
  • 2. 지하수 관정의 취수가능량 실태 조사: 충청남도 대용량 지하수 조사 사례 ... 33
  • 가. 충청남도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현황 ... 33
  • 나. 충청남도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중 가뭄 대비 확보가능량 검토 ... 36
  • 3. 소결 ... 37
  • 제3장 가뭄 시 기존 지하수 관정의 공공활용 및 제도 현황 분석 ... 39
  • 1. 가뭄 대비 기존 지하수 관정의 공공활용 실태조사 분석 ... 39
  • 가.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 40
  • 나. 국가지하수관측망 ... 48
  • 다.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 51
  • 라. 소결 ... 56
  • 2. 기존 지하수 관정 활용 관련 제도 현황 및 개선점 ... 57
  • 가. 기존 지하수 관정 활용 관련 법제도 현황 ... 57
  • 나. 행정적 측면 ... 60
  • 다. 재정적 측면 ... 65
  • 제4장 가뭄 대비 기존 지하수 관정의 공공활용을 위한 정책방향 및 로드맵 ... 69
  • 1. 가뭄 시 지하수 관정 활용을 위한 정책방향 ... 69
  • 가. 정책수요 분석 ... 69
  • 나. 정책방향 ... 71
  • 2. 정책 추진과제 ... 72
  • 가. 지하수 관정의 공공활용 인프라 강화 ... 72
  • 나. 비상시 기존 지하수 관정의 활용 활성화 ... 74
  • 다. 지자체의 가뭄 대응력 강화 ... 79
  • 3. 단계별 정책 로드맵 ... 82
  • 제5장 결론 ... 84
  • 참고문헌 ... 85
  • 부록. ‘가뭄 대비 기존 지하수 관정 활용’ 설문조사 ... 89
  • Abstract ... 107
  • 끝페이지 ... 110

표/그림 (5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