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고령화를 고려한 폭염 노출위험인구 전망 및 지역별 대응전략
A Projected Population Exposed to Future Hot Weather Events Considering the Korean Society with Low Birth Rate and Rapid Aging: For Supporting Regional Policy Measur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심창섭
참여연구자 김오석 , 한지현 , 송슬기 , 나건수 , 김기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10
과제시작연도 2019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2000031115
과제고유번호 1105014609
사업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R&D)
DB 구축일자 2020-12-12
키워드 기후변화.폭염.저출산·고령화.장래인구추계.폭염 노출위험인구.Climate Change.Heatwaves.Low Birthrate and Aging.Estimate Future Population.Vulnerable Population.

초록

Ⅳ. 연구 결과
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폭염 전망
❏ 2020년대 대비 2050년대의 여름 최고기온 상승이 매우 빠를 것으로 전망됨
ㅇ 5월의 온도 상승 폭이(~1.9°C) 6월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며 2030년대의 6월의 최고 기온 월평균은 2020년대의 7월의 최고기온 평균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됨
ㅇ 가장 더운 7월과 8월의 온도 상승 폭도 클 것으로 예상되어(1.8℃~2.0°C) 현재보다 극심하고 장기적인 폭염이 전망됨
❏ 2030년대부터 폭염의 강도와 빈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Abstract

The increasing risk of heat waves in Asia, including Korea, is a significant threat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s mentioned in the IPCC Fifth Report (AR5). In Korea, heat waves have been notably stronger in summer since 2010, and in 2018, the heatwaves in Korea were historic.

Moreover, 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요 약 ... 5
  • 목차 ... 15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18
  • 제1장 서 론 ... 23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3
  • 2. 연구의 목적 및 주요 연구내용 ... 25
  • 3. 주요 연구 사례 검토 ... 26
  • 제2장 문헌 고찰 ... 28
  • 1. 폭염 ... 28
  • 2. 인구 저출산과 고령화 ... 33
  • 제3장 연구 방법 ... 38
  • 1. 기후변화 시나리오 ... 38
  • 2. 장래인구추계 ... 41
  • 3. 폭염 노출위험인구 ... 57
  • 제4장 연구 결과 ... 60
  • 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폭염 전망 ... 60
  • 2. 지역별 장래인구추계 결과 ... 77
  • 3. 장래 폭염 노출위험인구 전망 ... 85
  • 제5장 국내외 폭염 정책 현황 분석 ... 98
  • 1. 국내 폭염 대책 현황 ... 98
  • 2. 국외 폭염 대책 현황 ... 112
  • 3.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121
  • 제6장 결 론 ... 122
  • 1. 결론 ... 122
  • 2. 정책 제언 ... 124
  • 참고문헌 ... 127
  • 부록. 권역별 인구피라미드 ... 133
  • Executive Summary ... 173
  • 끝페이지 ... 192

표/그림 (8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