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빅데이터 기반 의약품의 심혈관계 안전성 예측 모델 구축 연구
Investigation of the medicines based on big data for establishment of cardiovascular safety prediction mode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화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연구책임자 서정욱
참여연구자 현성애 , 이창연 , 이영주 , 류인수 , 천선화 , 김태완 , 윤덕용 , 김태영 , 장종환 , 박찬민 , 김유정 , 구예령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0-11
과제시작연도 2020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연구관리전문기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등록번호 TRKO202100007707
과제고유번호 1475011606
사업명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R&D)
DB 구축일자 2021-07-31
키워드 전자의무기록.안전성약리.심혈관계 안전성.심전도.능동감시.Electronic medical record.Safety pharmacology.Cardiovascular safety.Electrocardiogram.Active surveillance.

초록

◯ 연구 필요성
- 의약품에서 심혈관계 이상 반응은 매우 중요한 유해성 평가 분야로서, 시판 이후 심부정맥으로 인한 판매 중지 사례가 다수 발생한 바 있어 의약품 허가 신청시 안전성약리 분야 시험법으로 평가하고 있음
- 최근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2018년 “심뇌혈관질환 관리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예방. 치료를 위한 국가적 연구를 지원하고 있어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한 심혈관계 안전성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 연구 목표
- 임상 ECG 데이

Abstract

◯ Introduction
- Cardiovascular adverse effects are a very important field of risk assessment in pharmaceuticals, and since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discontinuation of sales due to arrhythmia, so it is evaluated as a safety pharmacology when applying for drug approval.
- Recently, as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 ... 2
  • 제 출 문 ... 3
  • 목차 ... 4
  • 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6
  • 국문 요약문 ... 6
  • Summary ... 8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0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10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40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88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57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161
  • 제6장 총괄참고문헌 ... 162
  • 제7장 총괄첨부서류 ... 165
  •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66
  •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167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169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70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181
  • 제5장 세부참고문헌 ... 233
  •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35
  •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236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239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241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278
  • 제5장 세부참고문헌 ... 294
  • 끝페이지 ... 295

표/그림 (2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