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연구책임자 | 김성수 |
참여연구자 | 김원빈 , 홍현수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1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등록번호 | TRKO202100009414 |
과제고유번호 | 1711125257 |
사업명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DB 구축일자 | 2021-08-21 |
키워드 | 에너지 하베스팅.열전.압전.미세 발포체.고분자 복합 필름.Energy harvesting.Thermoelectric.Piezoelectic.Microcellular foams.polymer composite films. |
< 3D Bulk 형태의 탄소폼 미세 발포체 열전재료의 제조 공정 개발 >
· Bulk 형태의 열전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페놀 폼과 멜라민 폼을 발포한 후 탄화 공정을 통해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탄소 폼을 제조함.
· Fig. 1과 같이 페놀 폼이 전구체로 이용된 탄소 폼의 경우 멜라민 폼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열전 소자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Fig. 2과 같이 탄소 폼의 면 저항 또한 페놀 폼이 전구체로 이용된 탄소 폼이 가장 낮은 것으로
Ⅳ. Research development result
가. Fabrication of 3D bulk thermoelectric composite foam
- Minimize the processing tim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oams effectively by means of Microwave irradiation.
- From the compression test results of carbon foams w.r.t. precursors, the phenolic foam sho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