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Demographics and quality analysis for matched pairs 표 mRNAseq 분석 개요도 표 MDS analysis for mRNAseq 표 DEG analysis in each brain region and GO analysis 표 MDS analysis for smallRNA seq 표 small RNA 분석 결과 개요 표 Dendrogram of gene modules for mRNA network and module-module correlation heatmap 표 Neuron enriched spatial module M38 표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map 표 우울증 모델을 활용한 후보물질 검증 표 우울증 유도 동물 모델 개발 및 우울증 및 인지 기능 행동 실험 표 CUS에 의해 나타나는 우울증 유사 행동 및 인지 기능 저하 표 CUS에 의해 나타나는 마우스 내측전전두엽피질에서의 표적유전자 발현증가 표 표적유전자 바이러스 제작 및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확인 표 내측전 전두엽피질에서 표적유전자 과발현에 의한 우울증 유사 행동 및 인지기능 저하 표 우울증 동물모델 확립을 위한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일정 표 우울증 행동의 하나인 behavioral despair에 유발하는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효과 표 Anxiety-like 행동을 유발하는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효과 표 사회성 행동에 손상을 유발하는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표 단기기억 및 장기기억등 인지 기능 측정을 위한 Y-maze와 Novelty object recognition. 대표적인 치매모델인 5xFAD 마우스에서 인지기능을 손상되어 있음을 확인 표 what-where-when occasion task에서 CUS의 효과 표 CUS에 의해 유도된 우울증 행동을 바탕으로 한 그룹핑 표 CUS에 의한 Susceptible과 Resilinet 그룹들의 우울증 행동 표 AAV2-hSyn-EGFP를 이용한 output 회로망 tracing 표 multi-site fiberphotometry 장비 표 사회적 서열 행동에 따른 신경회로 활성도 측정 표 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여러 뇌 영역의 활성 측정 표 Stress-resilient 그룹에서의 PFC, NAc, VTA 신경활성 표 Stress-susceptible 그룹에서의 PFC, NAc, VTA 신경활성 표 의 광유전학적 기법에 의한 CUS 유도 우울증 행동의 회복 표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에서 광유전학 기법의 적용 표 Susceptible과 Resilient 동물에서 샘플링 된 뇌영역 표 PCA 분석을 통한 Susceptible vs. Resilient 그룹 분리 표 CUS 동물모델에서 DEG 분석 표 CUS 동물모델에서 WGCNA 분석 표 PFC에서 syt4의 과발현 및 억제 바이러스 접종 후 syt4 mRNA 발현량 변화 표 VTA-to-PFC 신경세포의 활성에 대한 CUS의 효과 표 PCA 분석을 통한 뇌 영역 간의 분리 표 WGCNA 분석을 통한 유전자들 간의 계층적 군집화 표 뇌영역 특이적인 모듈 확인 표 단일 신경세포 특이적 전사체 분석을 통한 전전두엽의 신경세포들의 유형별 clustering 결과 표 단일 신경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세포유형 분류 표 단일 신경세포 특이적 전사체 분석을 통한 PFC 신경세포들의 분류. Glutamatergic 신경세포 (녹색), GABAergic 신경세포 (청색), 각종 interneurons (적색) 표 단일 신경세포 특이적 전사체 분석을 통한 PFC 비신경세포들의 분류. Astrocytes (청색), Oligodendrocytes (적색), Microglia (녹색) 표 공포기억 재발 시 후두정피질의 단일세포 전사체 세포 유형 분석 결과 표 피질에서 공포기억 재발 특이적인 후두정피질 유전자 발현 비교 표 Corticosterone을 복강 주사한 마우스는 공포조건화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Context (왼쪽)와 CS (-) (오른쪽)에 공포반응이 증가하는 공포일반화 증상을 보임 표 Physical stress의 유무에 따른 공포조건화 표 Physical restraint와 tail shock을 가한 생쥐에서 24시간 후 나타나는 공포일반화 반응 표 Stress-induced PTSD 생쥐모델에서 공포기억 소멸 학습과 공포기억 소환 반응 표 ErbB4 KO 동물의 자극 분별도(discrimination). ErbB4 KO 마우스가 감소된 discriminative index를 보임. Discriminative index는(CS- - CS+)/(CS- + CS+)의 수식으로 계산되며 낮을수록 증가된 공포일반화를 의미함 표 공포조건화 실험에서 ErbB4 KO 생쥐 모델이 대조군보다 적은 수준의 freezing을 보였으나 24시간 후에 novel cue에서 반응하여 공포반응을 보이는 공포 일반화 현상이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남 표 공포소멸 학습 실험조건하에서 ErbB4 KO 생쥐모델과 대조군의 비교 표 Coricosterone 복강주사로 발생하는 공포 일반화 현상은 도파민 수용체4 (Drd4) 길항제 (agonist)를 편도체 측핵에 투여하는 것으로 rescue하기에 충분함 표 편도체 측핵에 추체신경세포 (Pyramidal neuron)에서 ITCd와 CEl로의 흥분성 신호세기가 도파민 수용체4 길항제 (D4 agonist)에 의해 감소현상이 CORT 복강주사군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됨 표 편도체 측핵의 추체신경세포 (Pyramidal neuron) 편도체 측핵 내 SOM (+) 개재신경세포로의 흥분성 신호세기는 도파민 수용체4 길항제 (D4 agonist)에 의해 CORT 복강주사군에서 변화하지 않음 표 c-fos tTA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Tet-Off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여 편도체의 측핵에서 공포 조건화 학습에 의해 활성화 된 세포를 표지함 표 세포 종류 제한적 신경활성 의존적 표지 및 유전자 발현 시스템. c-fos tTA x Vgat-Cre 이중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Cre-lox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여 편도체 측핵에서 공포조건화 학습에 의해 활성화 된 흥분성 신경세포만 특이적으로 표지하고 채널로돕신-EYFP를 발현시킴 표 Stress-induced PTSD 마우스모델에서의 활성 신경세포 표지. (A) 트라우마 스트레스를 통한 PTSD 마우스모델 실험방법 요약. (B) 편도체 측핵에서의 활성세포 표지. (C) 편도체 중심핵에서의 활성세포 표지. 초록, 공포조건화 학습으로 인해 활성화 된 신경세포; 빨강, 트라우마 스트레스로 인해 활성화된 신경세포 표 형광타이머를 이용한 활성화 시점이 다른 신경세포군의 동시 표지 표 CORT-induced PTSD 마우스모델에서의 활성 신경세포 표지. (A) CORT 복강주사로 유도한 PTS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방법 요약. (B) CORT를 복강주사한 마우스의 편도체와 편도체 기저핵에서의 c-fos 발현 (좌, 중), Saline을 복강주사한 대조군 마우스의 편도체 기저핵에서의 c-fos 발현. (C) 편도체 측핵, 중심핵, 전전두엽에서의 c-fos 발현 비교. (D) 편도체 기저핵에서의 c-fos 발현 비교 표 Stress-induced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스트레스에 취약한 마우스 그룹과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있는 마우스 그룹 간의 c-fos mRNA 발현정도 비교 표 CORT-induced PTSD 동물모델과 대조군 사이의 편도체 내 시냅스 가소성 비교. CORT-induced PTSD 모델에서만 편도체 측핵 추체신경세포의 시냅스 내 신경전달물질 분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CORT-induced PTSD 동물 모델에서의 DRD4의 역할. DRD4 길항제 처리 후 CORT 복강주사군의 흥분성 신호세기가 약화되었으며, 신경전달 물질 분비 비율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됨을 관찰함 표 ErbB4 KO PTSD 동물모델의 편도체 중심핵 내 억제성 뉴런의 mIPSC 비교. ErbB4 KO 마우스의 경우 시냅스 내 소낭 속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적고, 분비 빈도가 적은 것을 확인함 표 신경세포타입 특이적 형광표지세포 유세포 분리 표 SST-Cre와 tdTomato line을 활용한 신경세포 분리 표 프로토콜 최적화에 따른 유세포분석 수득률 개선 표 공포기억발현 편도체 신경세포 유전자 발현분석 표 배아신경발생 모델에서 선택적 신경회로 표지기법 도입
표 Demographics and quality analysis for matched pairs 표 mRNAseq 분석 개요도 표 MDS analysis for mRNAseq 표 DEG analysis in each brain region and GO analysis 표 MDS analysis for smallRNA seq 표 small RNA 분석 결과 개요 표 Dendrogram of gene modules for mRNA network and module-module correlation heatmap 표 Neuron enriched spatial module M38 표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map 표 우울증 모델을 활용한 후보물질 검증 표 우울증 유도 동물 모델 개발 및 우울증 및 인지 기능 행동 실험 표 CUS에 의해 나타나는 우울증 유사 행동 및 인지 기능 저하 표 CUS에 의해 나타나는 마우스 내측전전두엽피질에서의 표적유전자 발현증가 표 표적유전자 바이러스 제작 및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확인 표 내측전 전두엽피질에서 표적유전자 과발현에 의한 우울증 유사 행동 및 인지기능 저하 표 우울증 동물모델 확립을 위한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일정 표 우울증 행동의 하나인 behavioral despair에 유발하는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효과 표 Anxiety-like 행동을 유발하는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효과 표 사회성 행동에 손상을 유발하는 만성 미예측성 스트레스 표 단기기억 및 장기기억등 인지 기능 측정을 위한 Y-maze와 Novelty object recognition. 대표적인 치매모델인 5xFAD 마우스에서 인지기능을 손상되어 있음을 확인 표 what-where-when occasion task에서 CUS의 효과 표 CUS에 의해 유도된 우울증 행동을 바탕으로 한 그룹핑 표 CUS에 의한 Susceptible과 Resilinet 그룹들의 우울증 행동 표 AAV2-hSyn-EGFP를 이용한 output 회로망 tracing 표 multi-site fiberphotometry 장비 표 사회적 서열 행동에 따른 신경회로 활성도 측정 표 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여러 뇌 영역의 활성 측정 표 Stress-resilient 그룹에서의 PFC, NAc, VTA 신경활성 표 Stress-susceptible 그룹에서의 PFC, NAc, VTA 신경활성 표 의 광유전학적 기법에 의한 CUS 유도 우울증 행동의 회복 표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에서 광유전학 기법의 적용 표 Susceptible과 Resilient 동물에서 샘플링 된 뇌영역 표 PCA 분석을 통한 Susceptible vs. Resilient 그룹 분리 표 CUS 동물모델에서 DEG 분석 표 CUS 동물모델에서 WGCNA 분석 표 PFC에서 syt4의 과발현 및 억제 바이러스 접종 후 syt4 mRNA 발현량 변화 표 VTA-to-PFC 신경세포의 활성에 대한 CUS의 효과 표 PCA 분석을 통한 뇌 영역 간의 분리 표 WGCNA 분석을 통한 유전자들 간의 계층적 군집화 표 뇌영역 특이적인 모듈 확인 표 단일 신경세포 특이적 전사체 분석을 통한 전전두엽의 신경세포들의 유형별 clustering 결과 표 단일 신경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세포유형 분류 표 단일 신경세포 특이적 전사체 분석을 통한 PFC 신경세포들의 분류. Glutamatergic 신경세포 (녹색), GABAergic 신경세포 (청색), 각종 interneurons (적색) 표 단일 신경세포 특이적 전사체 분석을 통한 PFC 비신경세포들의 분류. Astrocytes (청색), Oligodendrocytes (적색), Microglia (녹색) 표 공포기억 재발 시 후두정피질의 단일세포 전사체 세포 유형 분석 결과 표 피질에서 공포기억 재발 특이적인 후두정피질 유전자 발현 비교 표 Corticosterone을 복강 주사한 마우스는 공포조건화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Context (왼쪽)와 CS (-) (오른쪽)에 공포반응이 증가하는 공포일반화 증상을 보임 표 Physical stress의 유무에 따른 공포조건화 표 Physical restraint와 tail shock을 가한 생쥐에서 24시간 후 나타나는 공포일반화 반응 표 Stress-induced PTSD 생쥐모델에서 공포기억 소멸 학습과 공포기억 소환 반응 표 ErbB4 KO 동물의 자극 분별도(discrimination). ErbB4 KO 마우스가 감소된 discriminative index를 보임. Discriminative index는(CS- - CS+)/(CS- + CS+)의 수식으로 계산되며 낮을수록 증가된 공포일반화를 의미함 표 공포조건화 실험에서 ErbB4 KO 생쥐 모델이 대조군보다 적은 수준의 freezing을 보였으나 24시간 후에 novel cue에서 반응하여 공포반응을 보이는 공포 일반화 현상이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남 표 공포소멸 학습 실험조건하에서 ErbB4 KO 생쥐모델과 대조군의 비교 표 Coricosterone 복강주사로 발생하는 공포 일반화 현상은 도파민 수용체4 (Drd4) 길항제 (agonist)를 편도체 측핵에 투여하는 것으로 rescue하기에 충분함 표 편도체 측핵에 추체신경세포 (Pyramidal neuron)에서 ITCd와 CEl로의 흥분성 신호세기가 도파민 수용체4 길항제 (D4 agonist)에 의해 감소현상이 CORT 복강주사군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됨 표 편도체 측핵의 추체신경세포 (Pyramidal neuron) 편도체 측핵 내 SOM (+) 개재신경세포로의 흥분성 신호세기는 도파민 수용체4 길항제 (D4 agonist)에 의해 CORT 복강주사군에서 변화하지 않음 표 c-fos tTA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Tet-Off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여 편도체의 측핵에서 공포 조건화 학습에 의해 활성화 된 세포를 표지함 표 세포 종류 제한적 신경활성 의존적 표지 및 유전자 발현 시스템. c-fos tTA x Vgat-Cre 이중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Cre-lox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여 편도체 측핵에서 공포조건화 학습에 의해 활성화 된 흥분성 신경세포만 특이적으로 표지하고 채널로돕신-EYFP를 발현시킴 표 Stress-induced PTSD 마우스모델에서의 활성 신경세포 표지. (A) 트라우마 스트레스를 통한 PTSD 마우스모델 실험방법 요약. (B) 편도체 측핵에서의 활성세포 표지. (C) 편도체 중심핵에서의 활성세포 표지. 초록, 공포조건화 학습으로 인해 활성화 된 신경세포; 빨강, 트라우마 스트레스로 인해 활성화된 신경세포 표 형광타이머를 이용한 활성화 시점이 다른 신경세포군의 동시 표지 표 CORT-induced PTSD 마우스모델에서의 활성 신경세포 표지. (A) CORT 복강주사로 유도한 PTSD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방법 요약. (B) CORT를 복강주사한 마우스의 편도체와 편도체 기저핵에서의 c-fos 발현 (좌, 중), Saline을 복강주사한 대조군 마우스의 편도체 기저핵에서의 c-fos 발현. (C) 편도체 측핵, 중심핵, 전전두엽에서의 c-fos 발현 비교. (D) 편도체 기저핵에서의 c-fos 발현 비교 표 Stress-induced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스트레스에 취약한 마우스 그룹과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있는 마우스 그룹 간의 c-fos mRNA 발현정도 비교 표 CORT-induced PTSD 동물모델과 대조군 사이의 편도체 내 시냅스 가소성 비교. CORT-induced PTSD 모델에서만 편도체 측핵 추체신경세포의 시냅스 내 신경전달물질 분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CORT-induced PTSD 동물 모델에서의 DRD4의 역할. DRD4 길항제 처리 후 CORT 복강주사군의 흥분성 신호세기가 약화되었으며, 신경전달 물질 분비 비율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됨을 관찰함 표 ErbB4 KO PTSD 동물모델의 편도체 중심핵 내 억제성 뉴런의 mIPSC 비교. ErbB4 KO 마우스의 경우 시냅스 내 소낭 속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적고, 분비 빈도가 적은 것을 확인함 표 신경세포타입 특이적 형광표지세포 유세포 분리 표 SST-Cre와 tdTomato line을 활용한 신경세포 분리 표 프로토콜 최적화에 따른 유세포분석 수득률 개선 표 공포기억발현 편도체 신경세포 유전자 발현분석 표 배아신경발생 모델에서 선택적 신경회로 표지기법 도입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